새글들
-
"그러니까... 그건 쨉도 안돼."새글들/나를 울린 명대사 2025. 9. 16. 10:09
돈이면 다 되는 세상, 돈보다 더 큰 가치를 말하는 '백번의 추억' 영례(김다미)의 엄마가 리어커를 혼자 끌고 오르막을 오르다 크게 다치고, 리어커는 망가져 버린다.가난한 삶의 유일한 생계수단이었던 리어커가 망가져 막막해지자, 버스 안내양으로 일하는 영례는 어떻게든 돈을 구해 리어커를 다시 사주려고 한다. 하지만 버스 회사도 심지어 갚을 빚이 있는 작은아버지조차 선뜻 영례의 사정을 들어주지 않는다.그 때 종희(신예은)가 선뜻 인형을 선물로 건네며 "이래뵈도 배가 꽤 두둑한 선물"이라고 한다. 그 뱃속에는 어디서 난 것인지 꽤 많은 돈이 들어 있다. 이걸 어떻게 받냐고 거절하던 영례에게 끝끝내 인형을 선물하자 영례는 눈물을 보인다. 그러자 종희가 말한다. "너 쉽다. 돈이면 되네?" 그러자 영례가 말한다...
-
첫, 사랑, 사람, 삶새글들/나를 울린 명대사 2025. 8. 7. 11:59
죽어라 노력해 의대생이 됐지만뇌종양이 자라고 있다는 걸 알게 된 딸.그 딸의 뒷바라지를 위해 남의 집 짓는 건설 현장 소장으로 거칠게 살았지만정작 자신은 집 하나 갖지 못한 채 허덕이며 살아가는 엄마.이들에게 사랑은, 사람은 혹은 삶은과연 진짜였을까. 혹시 모두가 가는 길 바깥으로 나가면 죽을 것 같은불안과 강박 때문은 아니었을까. 눈 앞의 파도가 무서워 바다를 가지 않는다는 게 말이 안되는 것처럼당장의 불안감에 '나중에'만 언급하며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건진짜 사랑, 사람, 삶이 아닐까.아직까지 진짜를 해보지 않아모든 것이 '첫' 일 수밖에 없는사랑, 사람, 삶.
-
아름다운 미완성에 대한 찬사, ‘삼매경’에 놀라고, 웃고, 울었다새글들/무대읽기 2025. 8. 4. 16:33
‘삼매경’, 지춘성 배우가 온몸으로 그려낸 연극 같은 우리네 삶연극이 시작되기 전, 배우들이 무대 위로 등장한다. 한 가운데 가부좌를 튼 동자승이 바위처럼 앉아있고, 다른 배우들은 기이한 소리를 내거나 동작을 반복하면서 무대 위를 오고 간다. 처음에는 저게 무언가 싶다. 하지만 계속 보다 보면 그것이 바람과 나무와 새들 같은 자연을 표현한 것이라는 걸 알게 된다. 그저 텅 빈 무대이거나, 어딘가 천정이 새는 지하실 음습한 연습실 같아 보이던 무대가 순간 거대한 숲속으로 보이는 순간, 관객은 말 그대로 ‘삼매경’에 빠진다. 연극 으로 들어가기 위한 몸풀기라고나 할까. 연극이 시작되면 거기 배우 지춘성이 서 있다. 그는 진짜 배우 지춘성이지만, 이 연극에서는 지춘성을 연기하는 배우이기도 하다. 지춘성이 지..
-
골이 아니야, 트라이지새글들/나를 울린 명대사 2025. 7. 31. 09:57
왜 럭비는 점수를 낼 때 '골'이라 부르지 않고 '트라이'라고 하는지 궁금했다.그건 점수를 낸 골 자체가 아니라무수히 여러 변수들을 뚫고 지나간 과정 자체를이 스포츠는 더 중요한 가치로 삼기 때문이다.무언가를 얼마나 얻었는가가 그 사람의 가치를 평가하는 시대에각각에게 매겨진 점수들이 오롯이 자신의 능력 때문이었다고 착각하는 시대에는 그것이 그저 운이 조금 좋았을 뿐이라고 말한다. 물론 그 운도 어디로 튈 지 알 수 없는 삶의 과정 속에서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노력한 자만이 가질 수 있는 것이지만설사 점수를 내지 못한 삶이라도 매번 노력하고 도전한(트라이한) 삶이라면 그 자체로 가치 있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