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스타
-
지적질 아닌 팬심으로, '더 팬'에 나도 모르게 공감한다는 건옛글들/명랑TV 2018. 12. 11. 10:19
‘더 팬’, 오디션 그 후, 새 스토리텔링 찾는 음악프로그램오디션 프로그램이 가장 뜨겁게 우리네 시청자들을 사로잡은 건 2009년부터였다. Mnet 가 그 포문을 열었고, 2010년 이 프로그램의 시즌2는 케이블 채널 역사상 첫 두자릿 수 시청률을 기록하는 놀라운 성과를 냈다. 지상파들도 오디션 트렌드에 뛰어들었고 그 성공작으로 얘기되는 SBS 가 2011년 방영되며 이 흐름을 이어갔다. 하지만 아마추어들의 데뷔와 심사위원들의 심사로 이뤄지는 이 오디션 트렌드는 이내 꺼져버렸다. 2016년 는 결국 종영을 선언했고, 도 2016년 말 ‘더 라스트 찬스’라는 제목으로 대미를 장식했다. 이후 Mnet 같은 프로그램들이 아이돌 연습생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오디션을 시도했지만 이 형식은 이미 지나간 트렌드가 되어..
-
'신서유기3', 나영석 PD의 일요일 공략이 성공한다면옛글들/명랑TV 2016. 12. 28. 09:59
tvN 예능, 금요일에서 주중으로 그리고 주말로 영역확장 중 tvN은 이제 일요일로도 영역을 넓힐 것인가. 새로 시작하는 가 일요일 밤 9시20분으로 편성시간대를 옮긴 건 여러모로 주목할 만한 사건이다. tvN은 편성전략에 있어서 정면공격보다는 우회하거나 비껴가는 쪽을 택해왔던 게 사실이다. 주로 금요일 밤을 집중 공략한 건 그래서다. 지상파처럼 보편적인 시청층을 대상으로 하는 플랫폼은 아무래도 주말이 시작되는 금요일 밤의 시청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금요일 밤은 지상파들이 시청률의 무덤이라고 불릴 정도로 드라마도 예능도 그다지 힘을 발휘하지 못했던 경험들이 있다. 물론 지금은 금요일이 격전지가 되어 있지만 이렇게 된 건 전적으로 tvN과 Mnet이 금요일 시간대에 와 나영석표 예능 프로그램들 ..
-
2016년 슬럼프에 빠진 예능 그 이유옛글들/명랑TV 2016. 12. 23. 09:18
툭하면 쿡방, 스타MC 집착, 슬럼프를 불렀다 2016년 한 해의 예능 프로그램들을 들여다보면 한 마디로 말해 ‘슬럼프’라는 표현이 적확할 것 같다. 무언가 한 해를 대표할만한 새로운 예능이 탄생하지 않았고, 그저 과거의 명성을 이은 장수예능들이 자리를 지키고 있었을 뿐이기 때문이다. 한 때 트렌드였다고는 해도 여전히 비슷비슷한 쿡방을 내놓고, 이제는 한 물 간 스타MC 중심의 예능 프로그램들을 기획한다. 이래서는 예능 프로그램들이 이 깊은 슬럼프에서 헤어날 길이 없다. 쿡방, 먹방 트렌드가 생긴 건 벌써 몇 년 전 일이다. JTBC 나 tvN 가 나온 게 언제인가. 하지만 지금도 여전히 예능 프로그램들은 이 언저리를 맴돌고 있다. tvN의 경우 이 트렌드의 수혜를 가장 많이 입었다고 볼 수 있다. 사실..
-
노후된 주말예능, 음악 혹은 추억이 된 까닭옛글들/명랑TV 2016. 12. 13. 12:01
지상파 주말예능의 시대, 이미 저물어가고 있다 KBS 가 15.5%(닐슨 코리아)의 시청률을 낸 건 단연 덕분이다. 도 여전히 10% 정도의 시청률을 유지하고 있지만 은 순간 시청률이 23.4%까지 오를 정도로 전방위에서 끌어주고 있기 때문. 이 날 이 이런 힘을 발휘한 건 ‘김종민 특집’으로 원년멤버로서 지금까지 이 프로그램을 이끌어온 김종민에 대한 헌사가 뭉클한 감동을 선사해서다. 하지만 의 이러한 선전은 어딘지 쓸쓸한 느낌을 주는 게 사실이다. 무려 10년을 이어온 예능 프로그램이 앞으로 나가며 무언가 새로운 시도들을 하기 보다는 과거의 추억을 회고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같은 장수 프로그램에서 김종민 같은 원년멤버에 대한 헌사는 충분히 의미 있는 일이다. 그렇지만 의 이런 면면이 한 때..
-
어차피 공식대로? '슈퍼스타K'의 초라한 퇴장옛글들/명랑TV 2016. 12. 10. 10:13
, 어쩔 수 없이 오디션은 막을 내리나 어차피 우승은 김영근? Mnet 의 첫 회에 김영근이 무대에 올랐을 때 벌써부터 시청자들은 그런 이야기를 꺼냈다. 첫 회의 출연자가 최소한 톱10에 들어가고 그 중에서 독보적인 칭찬을 받은 참가자는 최종까지 갈 확률이 높다는 것이 이미 의 공식처럼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2014년에 치러졌던 에서는 첫 회에 곽진언이 출연해 ‘후회’라는 노래를 불러 심사위원을 눈물 흘리게 만들었던 바 있다. 곽진언은 결국 파이널까지 진출해 김필과 대결을 벌였고 그 해에 우승했다. 이런 상황은 작년 에서도 비슷했다. 첫 회에 출연했던 뉴욕 태생 엄친아 케빈 오는 결국 파이널에서 그 해의 슈퍼스타K가 되었다. 이번 에서는 파이널에 오른 김영근과 이지은이 모두 첫 회에서 눈도장을 확실히 ..
-
마지막에 거는 기대, 'K팝스타'의 선택은 옳았다옛글들/명랑TV 2016. 11. 22. 09:24
보다 두 배 시청률, 의 반전 SBS 에는 ‘더 라스트 찬스’라는 부제가 붙었다. 이번이 마지막 시즌이라는 얘기다. 가 시즌5에 이어 시즌6를 ‘마지막’으로 치르려는 데는 현재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심이 뚝 떨어진 것과 무관하지 않다. 너무 많은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등장했고 비슷한 형식들을 반복했다. 원조격인 도 고개를 숙였고 그나마 힘이 남아있던 오디션이 바로 다. 이런 변화에 의 선택은 규모를 축소하고 음악에 집중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생각보다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적 관심은 그리 많지 않았다. 그것은 오디션 프로그램의 핵심은 결국 참신한 참가자들로부터 나오기 마련인데, 생각만큼 그런 가능성을 보인 참가자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는 ‘마지막’이라는 카드를 빼들었다. 그리고 이 선..
-
오디션 세상, '위키드'처럼 배려하면 안될까옛글들/명랑TV 2016. 4. 9. 08:39
가 떠올린 오디션 프로그램의 배려 어쩌다 우리는 경쟁을 당연한 현실로만 받아들이며 살게 된 걸까. TV만 켜면 여기 저기 쏟아져 나오는 게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걸 그룹이 되기 위한 같은 오디션이 있는가 하면 힙합 뮤지션들의 같은 오디션도 있다. 대형 기획사들이 참여하는 는 시즌5가 진행 중이고 이 밖에도 , , 등등. 이제 경쟁 없이 음악을 듣는 프로그램 찾기가 쉽지 않아졌다. 물론 프로그램마다 성격은 다 다르다. 경쟁이라고 하지만 은 다양한 이들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면을 씌우고, 나 는 기성가수들과 함께 아마추어들이 기량을 뽐낼 수 있는 무대를 만들어준다. 하지만 성격이 다르다고 해도 그 기반이 경쟁인 것은 어쩔 수 없다. 가창력 경쟁을 벌이는 음악 오디션은 그래서 고음이 얼마..
-
전현무라는 종합엔터테이너의 탄생옛글들/명랑TV 2015. 9. 16. 09:37
전현무, 싹수부터 남달랐던 전무후무한 방송인 사실 우리네 방송가에 전현무라는 엔터테이너의 탄생과정은 전무후무하다. 물론 아나테이터들이 과거에도 없었던 건 아니다. 이미 전현무 이전에 강수정이나 김성주 같은 아나운서들이 프리랜서의 길을 활짝 열어놓은 바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현무의 행보가 전무후무라 말할 수 있는 건 프리선언을 하기 전부터 그 이후까지 그가 가진 독특한 자기만의 영역을 특화시킨 면이 있기 때문이다. 그는 KBS 아나운서 시절부터 에 게스트로 나와 샤이니의 ‘루시퍼’를 싼 티 가득한 춤과 함께 보여주었고, 아이유의 ‘좋은 날’ 3단 고음을 선보임으로써 확실한 자기 존재감을 만든 인물이다. 물론 뉴스 브리핑도 했었고 라디오 방송도 했던 그였지만 아나운서로서는 이례적으로 에 고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