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친코’가 담아내고 있는 한국인의 저력
“1910년 일본은 제국을 확장하며 한국을 식민지로 삼았다. 일제 치하에서 많은 한국인이 생계를 잃고 고향을 뒤로하고 외국 땅으로 떠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은 견뎠다. 가족들은 견뎠다. 여기 몇 세대에 걸쳐 견뎌낸 한 가족이 있다.”
애플 오리지널 시리즈 <파친코>는 이런 자막으로 시작한다. 이 드라마는 시작부터 한 가족이 4대에 걸쳐 버텨내고 견뎌낸 삶을 담겠다고 한다. 자못 비장한 자막이 흘러나온 후 드라마는 선자의 어머니 양진(정인지)의 결의에 찬 얼굴을 비춰준다. ‘몇 세대에 걸쳐 견뎌낸 한 가족’을 그리는 것이지만, 그 중심에 바로 여성이 있다는 걸 드라마는 그렇게 말한다.
무당을 찾아온 양진은 어머니가 박복했고 자신까지 낳아 고생하다 돌아가셨고 아버지는 마음이 아파 술만 먹고 다녀 자신과 동생은 거지처럼 빌어먹고 자랐다고 한다. 아버지는 자신을 언챙이라 장가를 못간 하숙집 아들과 혼인시키고, 그래서 아이를 셋이나 낳았는데 모두 죽었다는 것. 그가 무당을 찾아온 건 어떻게든 지금 또 가진 아이를 살리고 싶어서였다. 그렇게 양진은 딸 선자(전유나)를 낳는다.
딸이 너무나 귀한 아버지는 선자에게 다짐하듯 말한다. “니 숨이 붙어 있는 동안에는 내 뭔 짓을 해서라도 이 세상 드러운 것들이 니 건들지도 못하게 할 거라고. 아버지 그 약속 지킬기다.” 그런 아버지는 결국 병으로 돌아가신다. 그 앞에서 오열하는 어린 선자의 모습에 아버지가 남긴 목소리가 내레이션으로 흘러나온다.
“옛날에는 내 팔자가 왜 이리 모진가 할 때가 있었다. 오만천지 다 행복해도 내랑은 평생 먼 얘긴지 싶었데이 그런데 니 엄마가 내게 오고 니도 생겼지. 그라고 보니께 팔자랑 상관이 없는 기라. 내가 니 부모될 자격을 얻어야 되는 거더라. 선자야. 아버지가 강해져갖고 세상 더러분 것들 싹다 쫓아버렸으니까 아인나 니도 금세 강해질 거다. 나중에는 니 얼라들도 생기겠지. 그 때 되면 니도 그럴 자격이 되야 된다. 선자 니는 할 수 있다. 나는 니를 믿는다.”
<파친코> 첫 회에 담긴 선자네 가족의 이야기는 1915년 일제강점기의 시대적 상황을 가족의 이야기로 풀어낸다. 세상 더러운 것들이 건들지도 못하겠다 했던 아버지는 결국 그렇게 죽음을 맞이하고 그 모질고 힘든 세상 앞에 선자가 마주하게 되는 것. 그가 걸어갈 한 평생의 삶을 우리는 근현대사를 통해 이미 알고 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고, 원폭 투하와 일본의 항복 선언 그리고 터진 한국전쟁 등등. 그 과정에서 선자는 일본으로 넘어가 파란만장한 삶을 버텨낸다. 김치를 리어커로 만들어 팔아가며 자식들을 부양해온 삶.
<파친코>는 선자네 가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 파란만장한 한 세기를 살아온 한국인들의 끈질긴 생명력을 그리고 있다. 첫 회, 선자네 하숙집에서 술 한 잔을 마시며 하루의 피로를 푸는 아저씨들이 ‘뱃놀이’를 부르는 모습은 그 자체로 뭉클한 면이 있다. 어찌 보면 일제가 다 빼앗아가는 통에 더 가난하고 더 고단한 하루하루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지만, 이들의 노래에는 한과 더불어 흥이 가득하다. 가난하지만 나눠 먹는 상이 풍족하고, 일제의 폭력 앞에 짓밟히지만 당당하다.
<파친코>가 그리는 선자네 가족을 비롯한 일제강점기 시절 우리네 조상들의 모습은 그래서 그 자체로 뭉클한 면이 있다. 그것은 무수한 외세의 침탈을 받아온 한국인들이 끝까지 버텨내는 끈질긴 생명력과 더불어, 가난해도 정이 있고 또 당당한 삶의 면면들이 묻어나서다. 이런 모습은 선자라는 캐릭터에 그대로 투영되어 나타난다.
선자(김민하)가 갖지 말아야할 아이를 가졌다는 사실을 알고는 하숙집에서 양진의 보살핌으로 죽다 살아난 이삭은 딴에는 도움이 되겠다며 선자에게 입양을 하면 어떻겠냐고 이야기한다. 그러자 선자는 단호한 얼굴로 이렇게 말한다.
“저는 세상이 다 무시하는 사람의 사랑 받으면서 컸어예. 우리 아부지. 이래가 아부지 생각하는 게 뭐 염치가 없지만서도 다들 우리 아부지 평생 장가도 못가고 자식도 없을 기라캤는데 지가 요래 있잖아예. 없어야 할 아가 요 있다 아입니까. 야도 있으면 안되는 아지만 요 배 속에 잘 있심니더. 야도 사랑받으면서 클기라예. 지가 밤낮으로 일해가 손톱이 다 부러지고 허리가 뽀사지고 배를 쫄쫄 굶는 한이 있어도 내 아는 부족한 거 하나 없이 키울 겁니더. 그래 약속했십니더. 지 아부지 지한테 약속하신 것처럼예. 안돼지예. 지 아는 못 버립니더.”
세상 더러운 일들이 삶을 업신여기고 힘들게 만들어도 끝끝내 버텨내는 힘이 만들어내는 끈질긴 생명력. 선자는 그렇게 부모의 간절함 속에서 태어났고, 선자 역시 그렇게 자신에게 온 아이를 키우려 한다. 그리고 그 삶의 무게는 이제 노년의 선자(윤여정)의 얼굴 주름 하나하나 속에 각인되어 있다.
1989년의 선자와 1915년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온 선자의 파란만장한 이야기가 절묘하게 교차되면서 전해지는 <파친코>에서 노년의 선자 역할을 하는 윤여정의 연기 하나하나가 예사롭지 않게 느껴지는 건 그래서다. 옛 이야기를 하다 눈물을 흘려도 거기에 만만찮은 삶의 무게가 느껴진다. 하지만 그렇게 밤낮으로 일해 손톱이 다 부러지고 허리가 부서지고 배를 쫄쫄 굶으면서도 당당함을 잃지 않는 것. 아이만큼은 부족한 거 하나 없이 키우겠다는 다짐. 그것이 한국인의 저력이라고 선자의 패인 주름은 말하고 있다.(사진:애플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