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눈물
-
슬픈 정글과 <총,균,쇠> 그리고 카메라새글들/책으로 세상보기 2013. 3. 15. 15:43
정글은 왜 점점 슬퍼지는가 30년 전 한 사내가 뉴기니의 해변을 걷다가 얄리라는 남자를 만났다. 그는 이 사내에게 이렇게 물었다. “왜 백인들은 짐이 많은데 우리 뉴기니인들은 짐이 적은 걸까요?” 뉴기니에서 짐이라는 단어는 재산이라는 뜻이다. 이 뉴기니인 얄리의 질문은 지극히 단순해 보였고 쉽게 답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됐다. 하지만 이 사내는 그 질문에 쉽게 답하지 못했다. 그 질문은 사실 같은 지구에 살면서도 왜 누구는 부자로 살게 됐고 또 누구는 가난하게 살게 됐는가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이 담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내는 그 답을 찾기 시작했다. 그렇게 30년이 흘렀고 그 해답은 라는 방대한 분량의 책으로 쓰여졌다. 이 사내의 이름은 재레드 다이아몬드였다. 그는 이 책으로 1998년 퓰리처상..
-
무엇이 '눈물' 다큐에 열광하게 하나카테고리 없음 2012. 1. 7. 09:00
'남극의 눈물'은 또 어떤 감동을 전할까 '남극의 눈물'이 돌아왔다. 북극에서 시작해 아마존을 거쳐 아프리카를 넘어서 남극까지. 지구를 한 바퀴 종단했다. 이로써 '눈물' 다큐는 '지구의 눈물'을 온전히 보여준 셈이다. 프롤로그를 통해 보여준 '남극의 눈물'의 영상들은 역시 '눈물' 다큐다운 기대감을 갖게 만들었다. 그 중에서도 압권은 역시 황제펭귄이다. 심지어 기품이 느껴지는 이 신비한 존재의 생태를 가까이서 담아냈다는 것만으로도 '남극의 눈물'이 가진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북극의 눈물'의 실제 주인공이 북극곰이었다면, '남극의 눈물'의 주인공은 황제펭귄이 될 듯 싶다. 물론 '눈물' 다큐들이 그랬듯이 '남극의 눈물' 역시 자연다큐멘터리가 아니다. 따라서 황제펭귄의 생태를 그저 기록하는데서 멈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