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어째서 '시그널'은 지상파에 제2의 '미생'이 됐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어째서 '시그널'은 지상파에 제2의 '미생'이 됐나

D.H.Jung 2016. 2. 3. 16:06
728x90

<시그널>이 보내는 향후 드라마 판도의 시그널

 

tvN 금토드라마 <시그널>은 이미 알려진 대로 지상파에서 먼저 편성이 거론됐던 작품이다. 드라마업계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시그널>의 김은희 작가와 여러 작품을 해왔던 SBS는 물론이고 지상파 3사가 모두 이 드라마의 편성을 고민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는 모두 이 드라마를 포기했고 tvN이 제작하게 됐다는 것이다.

 


'시그널(사진출처:tvN)'

이 그림은 어째 낯설지가 않다. 재작년에 tvN에서 방영됐던 <미생>과 완전히 판박이이기 때문이다. 당시 <미생>이 지상파에서 거부됐던 건 멜로의 부재 때문이었다. 지상파는 드라마의 성공을 위해 멜로를 추가하기를 요구했지만 원작자인 윤태호는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tvN이 이를 받아들여 제작하게 됐고 결과는 의외로 대성공이었다.

 

당시 이 <미생>의 성공은 지상파 드라마 관계자들에게 적지 않은 충격을 주었다. 그래서 <미생>의 성공이 말해주는 의미들, 이를 테면 완성도 높은 작품에서 굳이 멜로를 끼워 넣지 않아도 성공이 가능하다는 식의 자성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시그널>의 사례는 이러한 자성도 지상파라는 플랫폼의 특성 때문에 또다시 반복될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왜 지상파는 <시그널>을 거부했을까. 그것은 이미 여러 보도에서 잘 알려져 있듯이 본격 장르물에 대한 부담때문이다. 적절한 장르와 지상파에 친숙한 코드들(이를테면 멜로나 가족 같은)이 버무려진 복합 장르물은 그나마 지상파가 추구할 수 있는 것들이었다. 괜찮은 장르물의 외형에 익숙한 드라마적 코드들을 넣음으로써 지상파 드라마에 익숙한 시청층과 장르물을 선호하는 시청층을 모두 끌어안는 전략이었다.

 

하지만 <시그널>은 김은희 작가의 작품들이 그러하듯이 본격 장르물에 해당한다. 거기에는 전형적인 멜로구도가 들어가 있지도 않고, 드라마의 전개도 본격 추리물과 스릴러처럼 촘촘하게 꾸며진데다 그 속도도 만만찮게 빠르다. 완성도 높은 장르물이지만 지상파 드라마에 익숙한 시청자들에게는 진입장벽이 꽤 높을 수밖에 없다. 잠깐 놓치면 이야기 전개가 이해되지 않는 드라마다. 그만큼 몰입도가 높지만 그건 또한 더 깊은 집중력을 요구한다.

 

<시그널>tvN에서 방영되어 이처럼 성공하고 있는 걸 보는 지상파 드라마 관계자들이 대단히 아쉬워할 것처럼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그것이 지상파가 아닌 케이블에서 방영됐기 때문에 그만한 성과가 나오는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즉 지상파를 보는 시청자들의 시청 패턴과 케이블을 보는 그것이 사뭇 다르다는 것. 보편적으로 틀어 놓는 지상파와는 달리 선택적 시청을 통해 지금의 위상이 만들어진 tvN은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들의 몰입이 훨씬 높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시청 패턴의 차이는 <미생>에 이어 <시그널>처럼 멜로 없는 본격 장르물로도 tvN 드라마들이 성공적일 수 있는 근본적인 이유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 tvN은 훨씬 더 영화처럼 드라마를 찍어낸다. <미생>도 그랬지만 <시그널> 역시 김원석 감독은 드라마라기보다는 거의 영화에 가까운 디테일과 연출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지상파 드라마의 경향과는 너무나 다른 방식이 아닐 수 없다.

 

단지 지상파에서 거부한 작품이 케이블에서 성공하고 있다고 해서 그걸로 지상파가 배 아파할 것이라는 시각은 너무 이 문제를 단순화시킨다. 그보다는 더 근본적인 불안감이 지상파에 드리워져 있다. 그건 지상파 드라마의 제작패턴보다 점점 더 케이블 드라마의 제작패턴에 미래의 드라마가 손을 들어주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 관점으로 보면 현재의 콘텐츠 시대에 케이블 플랫폼이 지상파 플랫폼보다 훨씬 유리한 지점에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시그널>의 성공이 보내는 향후 드라마 판도의 시그널은 바로 그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