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곡성', 해외까지 현혹시킨 미끼의 정체

728x90

관객에게 빙의체험을 하게 하는 <곡성>

 

나홍진 감독의 <곡성>은 호불호가 극명하게 나뉘는 영화다. 어떤 이들은 이 영화의 엄청난 에너지에 놀라고 기독교적 세계관을 뒤집어놓은 도발적인 구상에 혀를 내두른다. 하지만 어떤 이들은 영화가 일종의 미끼를 던져놓고 관객을 끝까지 이리저리 끌고 다닌다며 불편해 한다.

 

사진출처:영화<곡성>

영화 평론가나 기자 같은 전문가들은 <곡성>에 대해 대체로 호의적이다. 이것은 해외에서 특히 더 두드러진다. 칸 영화제에서 시사회가 끝난 후 전 세계 언론과 평단은 <곡성>에 대한 찬사를 서둘러 쏟아냈다. ‘올해의 영화’, ‘칸 영화제의 정신을 번쩍 들게 하는 걸작’, ‘왜 경쟁부문에 안 올라왔는지 모르겠다’, ‘악마에 홀린 듯 대단한 걸작’, ‘넋이 나갈 만큼 좋다’, ‘최근 한국영화 중 최고등등 찬사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다.

 

해외의 반응이 이처럼 뜨거운 건 이 영화가 지금껏 해왔던 그 어떤 영화들보다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저 작은 마을에 벌어지는 이상한 사건들과 죽어나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그 안에는 스릴러적인 요소는 물론이고 무당과 귀신이 등장하는 오컬트적 요소, 나아가 악마와 좀비까지 등장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아우르고 있다.

 

<곡성>의 독특한 점은 어떤 명쾌한 메시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것은 그 자체로 <곡성>이라는 영화의 메시지다. 낚시라는 상징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물고기는 자신이 왜 미끼에 걸려 이리저리 휘둘리다 비극적인 끝을 맞이하는지 알지 못한다. 그래서 이런 저런 의심을 하고 추정을 하고 믿어보기도 하지만 또 불신하며 배신한다. <곡성>의 종구(곽도원)은 그 과정을 몸으로 겪는 인물이다.

 

그리고 관객이 종구라는 인물을 통해 그 불가해한 일들을 겪어내며 풀어보려 안간힘을 쓴다는 점에서 그는 또한 관객의 매체가 되는 셈이다. 마치 무당이 귀신을 불러내어 그들의 세계를 들여다보고 그걸 이해해보려 하는 것처럼 종구는 관객에게는 <곡성>이라는 이해할 수 없는 세계를 들여다보게 만드는 무당 같은 존재라는 것이다.

 

사실 어떤 상정된 메시지를 향해 당연히 달려가는 일반적인 영화를 보던 관점으로 <곡성>을 들여다보면 불편하기 이를 데가 없다. 종구라는 인물 속에 빙의되지만 그 인물이 보고 판단하는 것들이 오류투성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구는 도대체 왜 이런 일이 마을에 벌어지는가를 궁구하며 그 깊숙이 파고 들어가지만 그럴수록 더 깊은 미궁에 빠져 허우적댄다.

 

영화 후반부에 일광(황정민)이라는 무당이 등장해 한판 살풀이굿을 하는 장면은 그래서 관객에게는 굉장한 에너지로 다가온다. 처음에는 이 조금은 허술해 보이는 종구라는 인물을 통해 코미디처럼 실실 웃으며 <곡성>의 영화 속으로 이끌려 들어간 관객들은 그가 처한 막막함과 절망감에 숨이 턱턱 막힌다. 마치 귀신들린 사람 같은 느낌을 관객 역시 똑같이 느끼게 된다. 그러니 일광의 살풀이는 마치 그걸 풀어줄 것 같은 강력한 에너지로 다가온다. 물론 풀어지기는커녕 더 복잡한 미궁으로 종구는 빠져버리지만.

 

<곡성>절대 현혹되지 마라라는 문구가 달려 있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현혹될 수밖에 없는 영화다. 절대 현혹되지 않으려는 안간힘은 사실은 현혹되고 있는 자신을 반증할 뿐이다. 종구는 그 미끼를 물었고 관객은 종구에 빙의되어 역시 미끼를 물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

 

명쾌하지 않은 영화의 결론은 관객들에게 불편함을 주지만 그건 그렇기 때문에 중요하다. 감독은 의도한 바가 있겠지만 그 결론을 관객들의 몫이라고 남겼다. 이것도 어쩌면 미끼일 것이다. 사실 귀신과 영혼, 악마에 대해 현혹되는 이야기에 명쾌한 결론이 어디 있겠는가. 마치 명쾌한 결론이 있을 것이라는 우리의 생각을 영화는 역으로 공격한다.

 

<곡성>은 그래서 마치 빙의 체험을 하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처음에는 믿지 않다가 바로 그 저항감 때문에 오히려 더 깊게 빠져들고 결국은 그 이면의 실체를 들여다보게 만든다. 그 체험이 모든 이들에게 즐겁기만 한 일은 아닐 것이다. 그러고 보면 이 영화에 대해 극과 극의 반응이 나오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