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 만큼 소통, <집밥> 콘서트의 의미
이제 시즌2를 조금씩 마무리하는 시간, 왜 하필 <집밥 백선생2>는 시청자들과 함께 하는 콘서트를 선택했을까. 사실 대단할 건 없다. 이미 많은 예능 프로그램들이 때때로 시청자들과 함께 하는 시간을 가져왔던 건 오래된 전통에 해당하니 말이다. 거기에는 감사의 의미도 있지만 더 큰 건 ‘소통’의 의미다. 일방적으로 프로그램을 해나가는 것이 아니라 열린 자세로 시청자들과 소통하겠다는 의미.
'집밥 백선생2(사진출처:tvN)'
음식을 만들어가며 하는 ‘요리 콘서트(?)’ 형식으로 준비된 ‘집밥 콘서트’에서는 그래서 백종원이 시청자들의 궁금증을 풀어주는 시간이 마련되어 있었다. 가장 많이 했지만 간단한 차이 때문에 제 맛을 내지 못했다는 허경환의 이야기로 파기름을 볶는 노하우를 다시금 되새겨주고, 그걸로 즉석에서 간단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중국식 파기름 국수를 내놓는다. 아마도 현장 스튜디오에는 파기름 냄새가 가득 채워져 관객들의 식욕을 자극했을 게다. 적은 양이지만 관객들까지 조금씩 맛을 보는 장면은 요리를 통한 공감의 시간을 갖게 해준다.
마침 집에서 <집밥 백선생>을 따라 만능춘장을 만들었지만 너무 짰다는 한 아주머니의 이야기에 똑같은 레시피로 직접 춘장을 볶아 내놓은 짜장면을 시식하게 하는 장면 역시 특별하게 보이지는 않지만 이 프로그램이 가진 양방향 소통의 의미를 더해준다. 그렇게 스튜디오에서 만든 짜장면을 관객들이 돌려가며 한 젓가락씩 맛보는 장면 역시 마찬가지.
사실 이런 풍경은 최근 먹방 쿡방이 많이 등장하면서 새롭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과거 음식 프로그램들과 비교해 보면 너무나 달라진 풍경이라는 걸 새삼 느끼게 된다. 과거의 음식 프로그램들이란 대체로 음식의 전문가라는 이들이 나와 자신의 레시피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끝이었다. 하지만 지금의 음식 프로그램을 보라. 제자들과 함께 만들고 서로 맛을 보며 품평하고 나아가 시청자들이 참여하는 공간을 적극적으로 만든다.
요리 프로그램이 그 특성상 시청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걸 직접 시연해보는 것까지 이어진다는 걸 염두에 둔다면 <집밥 백선생> 같은 프로그램의 진가가 느껴질 수밖에 없다. 게스트로 나온 김성은이 남편을 위해 요리를 배우러 다니기도 했지만 너무 재료가 어렵고 방법도 쉽지 않았다는 이야기는 거기에 그걸 시연할 대상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다는 걸 의미한다. <집밥 백선생>은 재료가 없으면 없는 대로 대체할 방법을 알려주고, 복잡할 수 있는 조리 방법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요리를 모르던 사람들도 참여하게 만들었다.
항상 성공하는 요리만 보여주는 게 아니라, 때로는 실패하는 사례를 직접 보여줌으로써 시청자들과의 공감의 폭을 넓힌 것도 이 프로그램이 가진 가치가 아닐 수 없다. 요리 무식자들이 굳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뜻은 그런 것이다. 그들의 실패사례가 바로 일반 시청자들의 실패사례를 대변해주고 그 원인을 파악해 다음에는 성공할 수 있게 해주는 것. 그저 일방적으로 전문적인 레시피를 던져주는 것과는 사뭇 다른 태도가 아닌가.
<집밥 백선생2>가 그 시즌의 마무리에 즈음에 ‘집밥 콘서트’를 통해 보여준 건 바로 ‘소통’의 가치다. 제 아무리 좋은 요리 노하우를 갖고 있다고 해도 그걸 배우고 실행할 이들과 소통하지 않으면 무의미할 수밖에 없다. 결국 그런 프로그램은 외면받기 마련이다. 이제 ‘소통’과 ‘공감’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시대의 덕목이 되고 있다. 요즘 같은 ‘불통’의 시대에는 더더욱.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증 유발하는 시국, '썰전'의 사이다마저 없었다면 (0) | 2016.11.19 |
---|---|
'웃찾사' 부활한 과거의 풍자 개그, '개콘'은 안 될까 (0) | 2016.11.18 |
이승환의 '길가에 버려지다', 음악의 길을 다시 묻다 (0) | 2016.11.16 |
돌아온 '민상토론', 이런 우주의 기운을 모은 풍자라니 (0) | 2016.11.15 |
'무한도전'은 '무한도전' 방식으로 촛불을 들고 있었다 (2) | 2016.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