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뒤틀어진 시작 ‘사임당’은 본래 의도를 회복할 것인가

728x90

사극 중심으로유턴 '사임당', 제작진의 안간힘 통할까

SBS 수목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이하 사임당)>는 그 시작이 뒤틀어졌다. 그건 이미 중국과의 동시방영을 목표로 해서 일찌감치 만들어졌지만 제 시기에 방영되지 못한 것이 그 첫 번째다. 이러는 사이 사극과 현대극을 오가는 설정은 식상한 것이 되어버렸고, 신인 배우 박혜수는 <사임당>을 찍을 당시만 해도 참신한 신인이었지만, <내성적인 보스> 등에 먼저 출연하면서(그것도 주연급으로) 왜 역량과 달리 여기저기서 등장하는가에 대한 의구심을 만들었다. 

'사임당, 빛의 일기(사진출처:SBS)'

게다가 <사임당>은 제작발표회에서 크나 큰 실수를 저질렀다. 그것은 박은령 작가의 발언에서 비롯됐다. ‘블랙리스트’에 오를 이야기라는 발언과 ‘타임리프’에 대한 발언이 그것이다. 블랙리스트 발언은 <사임당>이 갖고 있는 편견, 즉 ‘현모양처’ 이미지를 강조하는 것 아니냐는 일부 생각에 대해 그게 아니고 보다 도발적인 행보를 보일 ‘워킹맘’이라는 걸 드러내려는 의도였다. 심정은 이해되지만 그러나 이렇게 작가가 나서서 작품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모습은 결코 좋게 비춰질 수가 없었다. 

또한 ‘타임리프’라는 단어를 굳이 사용한 것도 문제로 지목되었다. 그것은 <사임당>이 타임리프 드라마라는 시각을 덧씌웠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 <사임당>은 타임리프 드라마가 아니다. 타임리프라면 과거에서 미래로 혹은 미래에서 과거로 시간을 뛰어넘어 인물이 활약하는 이야기여야 한다. 하지만 <사임당>은 현재의 서지윤(이영애)이라는 인물이 사임당의 일기를 발견해 읽어나가는 ‘액자구조’에 더 가깝다. 

물론 과거와 현재가 혼재되는 평행우주 설정이 들어가지만 그건 아주 일부분이라 거의 무시하고 봐도 상관없을 정도다. 하지만 제작발표회에서 굳이 타임리프가 거론된 데다 첫 회부터 현대극으로 상당 부분을 할애하면서 <사임당>은 사극이 아닌 현대와 과거를 오가는 타임리프 장르처럼 인식되었다. 이 부분은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사실 조금 연령대가 있는 시청자들에게는 중요한 문제다. 사임당이라는 소재가 친숙한 나이든 시청자들은 사극을 기대했다가 현대극이 나오는 걸 보고 당황할 수밖에 없었을 게다. 

제작사 측은 부랴부랴 100% 완성된 드라마지만 편집을 통해 이처럼 뒤틀어진 부분을 되돌리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래서 여전히 현대극의 서지윤의 이야기가 간간히 등장하긴 하지만 본래 하려고 했던 사극을 중심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사극에서는 사임당의 어린 시절 이겸(양세종)과의 만남과 쓰라린 이별이 그려졌고, 이겸을 위해서 또 집안을 위해서 원치 않는 혼사를 치르는 사임당의 이야기가 보여졌다. 그리고 곧바로 아이 셋을 둔 사임당의 이야기로 넘어갔다. 강릉 오죽헌에서 한양으로 거처를 옮긴 사임당은 무능한 남편 때문에 허름한 집에서 끼니를 걱정하며 아이들을 챙기게 되었고 그 와중에 다시 성장한 이겸(송승헌)을 만나 그림으로 마음을 교류하는 내용들이 흘러나왔다. 

사실 최근의 드라마들의 전개 속도나 이야기가 가진 극적 상황들과 비교해보면 <사임당>의 이야기는 굉장히 차분한 편이다. 예를 들어 현모양처는 아니고 워킹맘이라고 하더라도 사임당이 키워낸 율곡 이이에 대한 이야기가 풀어져 나가는 양상을 보면 너무 느리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사임당이 키우는 율곡과 대결구도를 이룰 휘음당 최씨(오윤아)가 자식을 키우는 교육방식은 지금 봐도 흥미로울 수 있는 대목이다. 중부학당이라는 기득권들의 교육은 마치 지금의 강남 8학군의 치맛바람을 그대로 떠올리게 한다. 

또한 사임당과의 첫사랑을 잊지 못하고 그 아픔에 세월을 낭비해온 이겸이 그녀의 일갈에 그 사랑의 아픔을 그림이라는 예술로 승화해가는 과정도 흥미로운 대목이다. 과거 첫사랑의 증표처럼 되었던 비익조(눈과 날개가 하나뿐이라 암수가 만나야 날 수 있다는 전설의 새) 인장이 비익당이라는 예술을 꿈꾸는 이들이라면 귀천 없이 누구나 들어올 수 있는 공간으로 승화되는 설정이 그렇다. 

사임당이라는 인물은 박정희 시절 산업일꾼으로서 남성들이 개발에 뛰어들 수 있게 하기 위해 여성들을 ‘현모양처’라는 틀 안에 가둬두려는 의도로 상당부분 왜곡되어진 인물이다. 당시 고 육영수 여사의 이미지를 사임당과 동일시하려는 의도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현재의 여성들에게 ‘사임당’은 문제적 인물이 아닐 수 없다. 그녀를 그저 그 ‘현모양처’라는 과거 가부장적 사회를 정당화하던 왜곡된 이미지로 가둬둘 것인가 아니면 이 시대에 다시금 본 모습이었던 여권을 당당히 드러내던 인물로 재해석해낼 것인가 하는 문제가 그것이다. 

결국 <사임당>이라는 드라마는 그 이미지에 있어서도 상당부분 뒤틀어진 면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사임당을 고 육영수 여사에 이어 현 박근혜 정부를 호도하기 위해 드라마로 소환해왔다는 시각이 만들어지는 건 그래서다. 하지만 <사임당>은 그 정반대라는 입장이다. 오히려 박정희 시절부터 현재까지 호도되어온 그 이미지를 제자리로 돌려놓겠다는 것. 

이처럼 <사임당>은 쉽지 않은 길을 걷는 드라마이면서(어쩌면 그래서 오히려 문제가 생겼는지도 모르지만) 초반에 문제를 더 뒤틀어지게 만드는 잘못된 선택들을 했다. 사실 처음부터 <사임당>의 이야기가 굳이 현대와 과거를 뒤섞지 않고 그저 사극으로 그려졌으면 어땠을까 싶다. 물론 뒤늦게라도 제 길을 찾아가려 노력하고는 있지만 한번 엇나간 길을 되돌리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