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삥땅 쳐봤어요?" 유난히 공감되는 '김과장'의 설득력

728x90

‘김과장’, 묵직한 메시지도 남궁민이 하면 발랄해지는 까닭

“22년을 이 회사를 위해서 또 내 가족을 위해서 일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나한텐 견딜 수 없는 치욕과 내 가족에 대한 미안함밖에 없습니다.” 오부장에게 대기실 발령은 왜 회사 옥상 난간 끝에 설 정도로 큰 치욕이었을까. 그건 그가 그만큼 자신이 다녔던 회사를 각별하게 생각했다는 방증이다. 그는 회사가 자신의 “인생이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그러니 그런 회사가 그에게 주는 치욕은 말 그대로 “삶이 무너지는 기분”을 주었을 게다. 

'김과장(사진출처:KBS)'

KBS 수목드라마 <김과장>은 구조조정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회사의 일방적인 폭력을 꼬집었다. “회사가 회사지. 이 빌어먹을 회사”라고 김과장(남궁민)은 말하지만, 오부장은 그 모든 것을 회사의 잘못이 아니라 자신의 잘못으로 돌리고 있었다. “내가 잘못 살아온 겁니다. 내가 마무리를 잘 못한 겁니다.” 대기실 발령이라는 폭력이 만들어내는 건 그 치욕감 속에 스스로 자존감을 잃게 하고 심지어 자책하게 하는 일이다. 오부장이 자신이 22년 동안 다닌 회사의 옥상 난간에서 뛰어 내리려 하게 만든 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김과장이 말하듯 그렇게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고 해도 회사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다. 아니 이미 김과장이 오기 전 그 자리를 지키다 극단적인 선택을 했던 이과장의 경우처럼, 회사는 오히려 모든 책임을 그들에게 전가한다. 심지어 회사의 비리까지 몽땅 뒤집어씌워 개인의 비리로 치부해버린다. 죽어서까지 이용당하는 셈이다. 

김과장이 안타까워한 건 바로 그렇게 회사를 탓하기보다는 자책하고 심지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이들이 그 누구보다 잘 살아온 선량한 이들이라는 점 때문이다. “삥땅 쳐봤어요? 해먹어봤어요? 남의 눈탱이 치고 남의 돈 가지고 장난 쳐봤냐구. 근데 뭘 잘못 살아. 이 양반아. 잘만 살았구만. 남의 돈 다 해먹고 죄책감 하나 못 느끼는 그런 새끼들도 아주 떵떵거리면서 잘 살고 있는데 부장님이 왜 요단강 건너려고 그러는데 왜! 거기 올라가 가지고 뒈져야 될 거는 부장님이 아니라 바로 그 딴 새끼들이라고 그 딴 새끼들.... 빌어먹을 회사만 몰라 우리 부장님 최고로 잘 살아온 거. 여기 있는 우리 모두 다 아는데. 그죠?”

부끄럽지 않게 최선을 다해서 열심히 살아왔기 때문에 복도 한 편에 놓여진 빈 책상에서 아무 일도 하지 못하게 방치하는 대기발령이라는 치욕을 더더욱 견디기 어려울 게다. 열심히 살아온 만큼 그 결과가 그런 취급을 받는 것이라는 배신감과 모멸감도 클 수밖에 없을 테니 말이다. 

사실 김영삼 정부 시절 IMF 외환위기가 터졌을 때 구조조정이라는 칼날은 삶을 통째로 회사에 헌납한 채 살아온 가장들에게는 엄청난 충격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그로부터 어언 2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회사의 정리해고를 그리 큰 충격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만큼 일상화된 어떤 것으로 여기게 되었다. 그렇다고 그 당사자들의 고통이 사라졌을까. 그렇지 않을 게다. 어떻게든 가족을 위해 모멸감을 참아가며 대기발령을 견디는 가장들의 고통이 어찌 무뎌질 수 있을까.

<김과장>은 겉으로 보면 경쾌한 블랙코미디처럼 보이지만 그 안을 뜯어보면 꽤 묵직한 메시지들이 발견된다. 기업의 회계비리라든가, 노조를 분쇄하기 위해 투입되는 폭력이라든가, 구조조정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폭력에 가까운 대기발령 에피소드 모두 우리네 기업문화의 어두운 면들을 여지없이 드러낸다. 그런데 흥미로운 건 이러한 무거운 메시지들을 전하면서도 결코 그 무게에 짓눌리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것이 가능해진 건 김과장이라는 캐릭터 덕분이다. 선량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순수하지도 않은 이 캐릭터는 그러면서도 사람에 대한 정이 있다. 바로 그 정 때문에 자신은 더럽혀져도 주변 사람들이 다치는 것을 그저 지나치지 못한다. 삥땅 전문인 김과장이 “삥땅 쳐봤냐”며 오부장을 설득하는 모습은 그래서 이 드라마의 독특한 위치를 잘 보여준다. 그는 회사에 뭘 그리 충성을 다하냐는 투로 말한다. 지나치게 회사에 충성하기보다는 자신을 더 소중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자세. 의인이라고까지 불리는 김과장이 회사의 부조리에 맞서는 무거운 이야기를 전하면서도 발랄함을 잃지 않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