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알쓸신잡' 유시민·김영하, 아재라고 다 같은 아재 아니다 본문

옛글들/명랑TV

'알쓸신잡' 유시민·김영하, 아재라고 다 같은 아재 아니다

D.H.Jung 2017. 6. 11. 11:15
728x90

‘알쓸신잡’, 치열한 삶의 궤적이 뒷받침된 수다의 진정성

tvN 예능 프로그램 <알쓸신잡> 순천, 보성편은 첫 회 통영편과는 다른 구성 방식을 나타냈다. 통영편은 유시민, 황교익, 김영하, 유희열이 통영에 도착해 각자 취향에 맞게 음식을 찾아 먹고 여행을 하는 장면들을 먼저 보여준 후 저녁 식사자리에서 뒤늦게 참여한 정재승과 지식 수다의 시간을 가졌다. 하지만 순천, 보성편은 앞부분에 살짝 그 날 이들이 여행한 장면들을 보여준 후, 바로 저녁 식사자리로 들어가 수다를 시작했고 그 수다 중간 중간에 그들이 여행한 장면들을 구성했다. 

'알쓸신잡(사진출처:tvN)'

이 구성 방식의 변화가 말해주는 건 <알쓸신잡>이 여행이라는 포인트 그 자체보다 지식수다에 더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지다. 물론 순천과 보성을 여행하는 내용은 그 지식수다의 재료들이 된다. 그래서 그 지역이면 당연히 떠오를 수밖에 없는 조정래의 ‘태백산맥’ 이야기나, 김승옥의 ‘무진기행’ 같은 소재들이 그날 저녁 수다의 반찬이 된다. 

끝없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지식 수다는 신기할 정도로 몰입이 된다. 황교익이 수다 자리에 갖고 나온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적힌 그 날 저녁 반찬으로 올라온 꼬막 요리법을 소개하고,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태백산맥의 배경이 된 빨치산 이야기, 여순 사건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조정래의 탑처럼 쌓인 육필원고 이야기는 육필과 컴퓨터 작업 사이의 창작의 차이에 대한 이야기로 이어지고, 그 방식의 변화가 창의성의 변화와는 무관하다는 걸 정재승은 과학적 데이터로 알려준다. 이처럼 술술 풀려나오는 지식의 향연이 있을까. 남자들끼리 이렇게 오래도록 수다를 떨어본 적이 없다는 유희열의 이야기가 그저 의례적인 말이 아니라는 게 느껴진다.

하지만 이 ‘알아두면 쓸데없어 보이는’ 지식의 향연이 더욱 놀라운 지점은 ‘신기하게도’ 우리가 흔히 아재들의 수다라고 하면 느껴왔던 ‘노잼’이나 어떤 ‘불편함’ 같은 것들이 별로 느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물론 <알쓸신잡>에도 너무 가벼운 아재 토크처럼 느껴진다거나, 여성 출연자가 없다는 식의 아쉬움의 목소리는 있다. 그리고 특히 여성 출연자의 부재는 이들 아재들만의 세상이 선입견을 갖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기도 하다. 향후에 이 부분이 채워진다면 훨씬 균형잡힌 프로그램이 되지 않을까 싶다. 

이런 아쉬움의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알쓸신잡>을 큰 불편함 없이 보게 되는 건 그것이 단지 그들의 놀라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 때문만은 아니다. 그것보다 선결되는 것이 이런 이야기를 하고 있는 이들이 지금껏 어떻게 살아왔는가일 게다. 말은 말 자체가 힘을 지닌다기보다는 그 말을 하는 사람이 살아온 행보에 의해 더 힘을 얻기 마련이다. 

유시민의 ‘항소이유서’는 그 단적인 사례가 된다. 아무 죄 없이 감옥에 가게 된 청년 유시민이 그 부당함을 토로하는 그 글을 생각하고 또 생각해 손가락으로 꾹꾹 눌러가며 썼을 그 모습이 고스란히 그려진다. 그것은 지금의 유시민이 하는 말들이 그저 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삶에 닿아있다는 진정성을 느껴지게 한다.

또한 김영하가 아내에게 요리는 내가 한다며 ‘주방 은퇴’를 하게 했다는 이야기 역시 그렇다. 왜 그렇게 했냐는 질문에 그는 아내가 주부로서 요리를 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다”며 그걸 없애기 위해서 공식적으로 은퇴를 선언하게 했다고 했다. 아재의 나이지만 구세대적인 아저씨가 되지 않으려는 그 모습은 그의 수다에서 지식 자랑이 아닌 어떤 호감을 느끼게 만든다.

사실 <알쓸신잡>은 그 액면으로 보면 아재들의 수다다. 하지만 그 액면을 들여다보면 그저 떠드는 시시콜콜한 잡담이 아니라 우리의 상상력을 확장시켜주는 지식 수다이고 그 지식들이 그저 머릿속으로만 채워진 게 아니라 치열한 삶을 통해서 체득된 것이란 걸 발견하게 된다. 이 부분이 신기하게도 아재들의 수다라고 하면 외면하곤 하던 우리들의 귀와 마음을 연 이유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