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3’, 그리스 가서도 우리 현실을 이야기한다는 것
같은 장소에 가도 저마다 생각이 다르고 보는 것들이 다르다. tvN <알쓸신잡>이 굳이 ‘잡학’을 내세우면서도 여행을 콘셉트로 삼은 이유다. 특정 여행지를 둘러보고 돌아온 잡학박사(?)들이 저녁에 모여 그 날 여행에서 느꼈던 것들을 지식수다로 풀어내는 것. 같은 장소에 갔지만, 그곳에서 떠올리는 건 저마다 다르고, 또 그렇게 나온 수다가 또 다른 분야에 관심이 있는 박사들의 이야기로 다채로워지는 과정은 실로 ‘신비로운’ 느낌마저 주었다.
<알쓸신잡3>는 그 여행지를 확장해 해외로 나갔다. 그 첫 여행지는 그리스. 아테네에서 이들이 처음 풀어놓은 수다의 소재는 왜 하필 해외 첫 여행지를 그리스로 택했는가 하는 점이었다. 유시민은 그 이유로 서구문명의 발상지로서의 그리스를 들었다. 그리스가 “서구 문명의 빅뱅”이 일어난 곳이니 그 이야기의 시작으로 최적지라는 것.
그런데 주목되었던 건 김영하의 남다른 통찰력이었다. 그는 유시민의 이야기에 역시 소설가다운 상상력과 감성을 더해 그리스가 서구 문명의 발상지가 된 건 “현재적 관점”이 투영된 결과일 수 있다고 말했다. 즉 현재의 세계 최강국으로 미국이 꼽히고 있기 때문에 그 미국의 사회체계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발상지를 좇는 것이고, 그 귀착지가 그리스가 된다는 것이다. 그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만일 앞으로 중국이 세계 최강국으로 떠오르면 <알쓸신잡>은 아테네 아크로폴리스가 아니라 황하가 내려다보이는 곳에서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새롭게 합류한 김진애는 10살 때부터 빠졌던 그리스신화에 대해 이야기하며 그 신화가 매력적이었던 건 여자 주인공들이 존재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의 첫 롤 모델은 아테나였다는 것. 도시계획학 박사답게 김진애는 우리가 막연히 알고 있는 아크로폴리스에 세워진 파르테논 신전의 의미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바라보는 시각에 맞춰 최적의 비율을 만들어내는 것이 당대 그리스의 이상이었기 때문에 실제 건물은 직선이 없다는 이야기부터, 그 건물이 대단한 건 미적인 아름다움보다는 당대의 건축학적 총화가 집적되어있다는 사실이라고 했다.
김진애의 이야기는 흥미로운 지식이었지만, 그 이야기에 더해진 김영하의 통찰은 또다시 빛났다. 김영하는 그리스신화의 신들을 우리식으로 보면 ‘어벤져스’ 같은 슈퍼히어로로 당대 그리스인들을 바라봤다며 그 신들이 ‘인간적인 신’이라는 점을 쉽게 설명했다. 그러면서 알랭 드 보통이 한 이야기를 꺼냈다. “그리스 사람들이 신을 생각하듯 살면 인생이 편하다”는 것. 성적이 떨어지면 자괴감을 갖기보다는 “‘성적의 신’이 나를 외면했구나”라고 그리스인들을 생각했다는 것. 그러면서 우리는 “모든 것이 내 잘못 혹은 남의 잘못으로 여겨 자기혐오나 상대를 공격하는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는데 그리스 사람들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또 파르테논 신전이 가진 건축학적 총화가 일종의 ‘과시욕’이었음을 거론하며 그 건물이 지어진 후 100년도 되지 않아 그리스는 몰락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페리클레스가 말하는 당대의 민주주의는 타 국민들에게 민주주의를 강요하는 방향으로까지 나갔다며 결국 그리스는 고립되고 상대적으로 성장한 경쟁국가 스파르타가 주는 불안감과 때마침 나라를 덮친 전염병으로 결국 몰락을 예고한 사건이 ‘소크라테스의 처형’이라고 했다. 사회의 불안은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대중들의 비이성적인 판단을 일으킬 수 있다며 그것이 그리스만의 이야기는 아니라는 것이었다.
사실 모든 잡학박사들의 이야기가 모두 흥미진진했지만 특히 김영하가 하는 이야기 하나하나가 돋보였다. 유시민 작가가 <알쓸신잡3> 제작발표회에서 왜 “김영하 선생이 센터구나, 라고 느꼈다”라고 말했는지 한 회 만에 입증된 셈이다. 그것은 그리스라는 외국의 공간에서도 또 그 고대의 이야기 속에서도 현재 우리가 사는 이야기를 통찰해내는 지점 때문이었다. 그것은 지식이 왜 필요한가를 잘 말해주는 대목이기도 했다. 아는 것을 그저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그 과거의 사건이나 생각들을 통해 지금 우리의 현실을 다시금 들여다보게 만드는 것. 그것이 지식이 진짜 필요한 이유다. 그리고 그건 <알쓸신잡3>가 굳이 국내가 아닌 해외까지 날아간 중요한 이유가 될 것이다.(사진:tvN)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타카' 하현우·윤도현, 예능에서 모처럼 만난 묵직한 진정성 (0) | 2018.09.25 |
---|---|
'현지에서', 이연복 더 돋보이게 만드는 김강우·서은수·허경환 (0) | 2018.09.25 |
"알려는 드릴게 사다 먹어".. '수미네' 김수미의 뼈 있는 농담 (0) | 2018.09.21 |
'풀뜯소' 중딩농부 한태웅, 그저 보기만 해도 흐뭇해지는 이유 (1) | 2018.09.19 |
'현지' 이연복, 장사란 이런 거다.. 보고 있나 '골목' 사장님들 (0) | 2018.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