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봉준호·손흥민·BTS, 영혼이 담긴 디테일로 세계를 홀렸다

728x90

적당한 상업성 그 이상의 영혼이 느껴지는 이들의 콘텐츠

 

이제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인을 이야기하는 건 그다지 새로운 일도 아니다. ‘국뽕’이라는 말로 치부되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가 이들을 주목하게 된 무언가가 존재하고, 그것을 우리가 추구해야할 하나의 경쟁력으로 찾아내는 건 중요한 일이다. 그 주목받는 한국인들은 다음 아닌 봉준호, 손흥민, BTS다.

 

봉준호 감독은 칸느영화제가 만장일치로 그가 만든 영화 <기생충>에 황금종려상을 수여했고, 해외 평단의 반응들도 폭발적이다. 무려 192개국에 판매됨으로써 역대 해외 판매기록 1위를 달성한 이 작품에 대해 미국 언론 뉴욕타임즈, 인디 와이어 같은 외신들은 2020년 아카데미 시상식 후보로 거론될 수 있을 거라는 조심스런 예측까지 내놨다.

 

봉준호 감독은 <괴물>로 해외평단에 호평을 받은 바 있고, <설국열차>로 할리우드에 진출했으며 <옥자>로 넷플릭스 방영이라는 새로운 도전을 시도한 바 있다. 여기에 <기생충>이 칸느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함으로써 봉준호 감독은 사실상 영화감독이 이 시대에 시도할 수 있는 대부분의 것들을 해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렇다면 봉준호 감독의 무엇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이런 좋은 반응을 얻게 만든 걸까. 그것은 ‘봉테일’이라고 불리는 그의 남다른 디테일들이 그가 하고자 하는 영화적 메시지들을 공고하게 만들면서 생겨난 반응이다. 그는 공간 하나를 가져와도 그것에 어떤 사회적 함의를 상징화하는 데 탁월하다. <설국열차>가 달리는 순환열차를 통해 자본주의 시스템으로 상징화한 것이 단적인 사례다. <기생충>에서도 반지하라는 공간의 계급적 의미가 더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디테일은 남다른 열정에서 나올 수밖에 없다. 그런 점을 염두에 두고 보면, 지금 해외에서 주목받는 손흥민이나 BTS의 성공도 결국 이 디테일과 열정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싶다. 최근 손흥민을 주인공으로 하는 다큐멘터리 tvN <손세이셔널>을 보면 항상 그림자처럼 그와 함께 하는 아버지가 그의 어린 시절부터 스트라이커로서 필드에서 어떤 습관들을 가져야 하는가를 세밀하게 연습시켰다는 게 엿보인다. 오로지 축구를 중심에 두고 분석하고 연습하는 일에 집중하는 모습은 그가 프리미어 리그에서 넣은 골들이 얼마나 디테일한 연습에 의한 것인가를 가늠하게 만든다.

 

이는 ‘21세기 비틀즈’라 일컬어지는 BTS에게서도 동일하게 발견되는 요소다. ‘칼군무’라는 차원을 넘어서 딱딱 한 유기체처럼 돌아가며 마치 현대무용의 한 장면을 떠올리게 만드는 BTS의 춤을 보면 이들이 얼마나 디테일한 노력들을 해왔는가를 실감하게 된다. 또 음악도 그냥 만드는 게 아니라, 자신들의 고민들을 고스란히 가사로 녹여내는 과정을 통해 전 세계의 청춘들이 공감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냈다.

 

물론 부족한 점들도 여전히 많지만, 최근 해외에서도 조금씩 주목받는 한국의 콘텐츠들(인물을 포함)에 대해 어떤 차별점이 있는가를 묻는다면, 그건 단연 남다른 디테일과 열정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미국의 세계적인 콘텐츠들을 들여다보면 놀라운 상상력과 완성도에 놀라면서도 한 가지 부족한 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콘텐츠 제작이 지나치게 자본화되고 공장화되면서 만들어지는 작품 특유의 열정 같은 것이 빠져있다는 느낌 때문이다. 잘 만들어졌지만 무언가 소울이 빠진 듯한 그런 느낌.

 

봉준호 감독이나 손흥민 그리고 BTS에서 발견하게 되는 건 바로 그 잘 만들어진 콘텐츠 속에 한 가지 더해져 있는 열정(소울)이다. 흔히 “영혼을 갈아 넣은 작품”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는 그런 콘텐츠들에서만 느껴지는 그 독특한 색깔이 이들에게서는 보인다. 그리고 그것은 어쩌면 우리가 저 세계의 거대자본들과 경쟁하며 추구해야할 방향성인지도 모르겠다.(사진:CJ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