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주의 드라마

버려졌어도 괜찮아, 세상의 모든 존재들을 위한 헌사

728x90

‘Mr.플랑크톤’, 방황 대신 방랑을 택한 청춘들의 로드무비

Mr.플랑크톤

“이제부터는 네 인생에 그 어떠한 목적지도 두지 마. 목적지를 정해두고 달리다가 길을 잃잖아? 그럼 그건 방황이야. 지금 너처럼. 근데 아무런 목적지 없이 떠돌다가 길을 잃지? 그럼 그건 방황이 아니라 방랑이야, 방랑. 나처럼. 어때? 나랑 같이 방랑자 안 될래?” 넷플릭스 드라마 ‘Mr.플랑크톤’에서 해조(우도환)는 길을 잃었다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재미(이유미)에게 그런 이야기를 해준다. 

 

방황이 아닌 방랑. 이건 로드부비 형식을 가진 이 작품이 하고 있는 긴 이야기의 시작이자 끝이다. 이들은 길 바깥으로 뛰쳐나가고 그 곳을 떠돈다. 그리고 다시 돌아오긴 하지만 또 다시 길을 떠난 후 그 길 위에서 마지막을 맞이한다. 그래서 바다와 설산과 섬을 넘나드는 모험이 펼쳐지고, 쫓고 쫓기는 추격전과 액션, 코미디 그리고 빠질 수 없는 로맨스가 겹쳐진 낭만적인 이야기들이 채워지지만 거기에는 늘 쓸쓸하고 애틋하고 가슴 먹먹한 아픔 같은 것들이 존재한다. 

 

그 아픔은 왜 이들이 방황이든 방랑이든 길바닥 위에 던져졌는가 하는 데서 나온다. 이 청춘들은 어째서 저 따뜻한 집이 아니라 집 바깥으로 내쳐졌고, 그 차가운 곳에서 만나 서로의 맨살을 부벼 그 온기로 하루하루를 버텨내야 했을까. 버려진 자들의 아픔을 애써 웃고 장난치고 떠드는 시간들로 채워넣으며 잊으려 했을까. 조용 작가가 전작인 ‘사이코지만 괜찮아’에서 상처를 입고 정상성에서 벗어난 인물들을 통해 그럼에도 괜찮다며 보듬는 치유의 과정을 보여줬다면, ‘Mr.플랑크톤’은 버려진 세상의 모든 존재들이 저마다 얼마나 소중한가를 해조와 재미 그리고 어흥(오정세)이 그려나가는 로맨틱 로드무비를 통해 그려낸다. 

 

해조는 보관해둔 정자가 바뀌는 실수로 잘못 태어난 인물이다. 어엿한 가정에서 단란하고 행복하게 성장했지만 뒤늦게 그 사실이 밝혀지면서 그 집안은 비극의 수렁으로 빠져버린다. 엄마는 죽고 실의에 빠진 아빠마저 자신에게 냉담해지자 해조는 집을 나와 길바닥을 헤맨다. 버려진 길고양이처럼 헤매던 그를 도박장을 운영하는 봉숙(이엘)이 거둬 키우고 사람 찾는 일빼고는 뭐든 다 해주는 심부름센터를 운영하며 살아간다. 그러다 알게된다. 자신의 머리 속에 새알심 같은 종양들이 자라나고 있다는 것을. 

 

재미는 보육원에서 자라 자신을 찾는 새 엄마가 나타나지 않자 스스로 엄마가 되겠다는 꿈을 키운 인물이다. 해조와 사랑했지만 헤어졌고 그 후에 엄청난 부자인 종갓집 장손 어흥(오정세)을 만나 이제 가족을 꾸릴 수 있다는 꿈에 부풀었지만 조기 폐경 진단을 받는다. 결혼식 날까지 이 사실을 숨기고 갈등하던 재미 앞에 시한부 판정을 받은 해조가 나타나고, 다짜고짜 재미를 들쳐업고 해조가 달아나면서 이 ‘방랑’이 시작된다. 

 

액면으로 보면 ‘납치’지만, 해조와 재미의 서사는 그런 현실감과는 거리가 먼 은유적 이야기에 가깝다. 정자가 바뀌는 실수로 잘못 태어났다고 하지만, 해조의 이런 상황은 세상에 태어난 모든 이들의 탄생이 ‘우연적’일 수밖에 없다는 걸(어느 정자가 난자에 도달할지 그 누가 알겠는가) 에둘러 말해주는 것이고, 어떻게든 새 엄마의 마음에 들어 자식이 되려 하지만 그 누구도 그를 데려가지 않아 스스로 아이에게 잘 해주는 엄마가 되겠다는 마음 역시 어른이 되어가는 모든 이들의 이야기가 아닐까. 

 

“신기해 엄청 비싼 피아노도 길바닥에 나와 있으면 괜히 짠해 보여. 길바닥에 나오면 다 그렇게 본래의 가치가 변하나봐. 한번 버려진 거니까 내가 더 아껴줘야지.” 재미의 대사는 진정한 어른의 시선이 어떤 것인가를 잘 말해준다. 어느 곳에 어떤 모습으로(심지어 어떤 가격으로) 있느냐에 상관없이 타자의 가치를 진정으로 들여다봐주는 시선. 그것이야말로 진짜 어른의 마음이라고 더할 나위 없이 순수한 아이 같은 모습을 보여주는 재미를 통해 작가는 말하고 있다. 그리고 그건 재미가 해조의 가치를 알아본 이유이기도 하다. 

 

“저 바닷속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저건 플랑크톤들이 햇빛을 받아서 지들이 막 발광을 하고 있는 거야. 걔들이 반짝반짝 빛을 내고 있는 거라고.” 해조는 혼수상태 속 상상에서 자신을 찾아온 어린 동생 승아에게 바다에 비춰진 노을빛을 보며 그렇게 말한다. “모든 물고기들의 밥이지 밥. 먹이사실의 맨 밑바닥 바닷속 가장 미천한 존재.” 하지만 그 하찮은 것들이 그렇게 빛을 내면서 산소가 나와 우리의 생태계가 유지된다며 놀랍지 않냐고 말한다. 

 

‘Mr.플랑크톤’은 바로 이 세상의 주목을 받지 못해 버려진 것 같은 모든 존재들이 얼마나 소중한가를 말해주고 보여준다. 그 누구도 모를 깊은 산 중의 눈 내린 설원의 아름다움과 그 곳에서 피어난 작은 토끼풀처럼, 길 위에서 방황을 굳이 방랑이라 치부하며 떠도는 청춘들을 저 바다 깊숙한 곳에서 반짝반짝 빛나는 플랑크톤 같은 존재라고 말해준다. 설사 버려진 느낌이 든다고 해도 세상에 그 어떤 존재도 아름다운 가치를 가졌다고 해조와 재미, 어흥, 봉숙 같은 인물들을 통해 유쾌하면서도 절절하게 그려내고 있다. (사진:넷플릭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