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곤 길들이기’, 어른과 아이가 모두 공감하는 이유
왜 드래곤을 길들이려는 것일까. 마을을 쳐들어와 쑥대밭을 만드는 드래곤들과 사투를 벌이며 살아가는 바이킹족의 마을. 아이들조차 드래곤을 죽여 진정한 바이킹 용사가 되길 원하는 그 곳에 싸우기보다는 드래곤과 공존하려는 히컵이라는 소년의 존재는 아이들의 눈높이에는 모험과 재미를 선사하지만 그걸 보는 어른들에게도 꽤 많은 시사점을 발견하게 만든다. 우리는 자연과 어떻게 공존해야 하는가 하는 결코 작지 않은 환경적인 문제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아바타’에서 나비족들과 제이크 설리가 익룡을 닮은 이크란을 타고 날아다니는 장면은 ‘드래곤 길들이기’의 히컵이 친구가 된 드래곤 투스리스(toothless 이빨이 없다는 뜻으로 히컵이 붙여준 이름)를 타고 날아다니는 장면과 중첩된다. ‘아바타’의 제이크 설리가 차츰 판도라 행성의 생명체들과 교감하게 되면서 결국 이를 파괴하려는 인간들과 맞서게 되는 것처럼, ‘드래곤 길들이기’의 히컵은 투스리스를 통해 드래곤들이 사실은 위협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이들과의 공존을 모색한다. 이런 점에서 ‘드래곤 길들이기’는 환경문제를 바탕에 깔고 있었던 ‘아바타’의 어린이 버전처럼 읽히기도 한다.
하지만 ‘드래곤 길들이기’를 ‘아바타’로부터 차별화시키는 대목은 바로 그 투스리스라는 드래곤과 히컵이 어떻게 함께 하늘을 나느냐 하는 장면에서 드러난다. 히컵이 쏜 그물에 맞고 떨어져 꼬리 날개를 찢긴 채 더 이상 제대로 날지 못하는 투스리스에게, 히컵은 인공적으로 날개를 만들어 붙여주고, 그것을 다시 자신의 몸과 연결한다. 그리고 히컵과 투스리스는 마치 처음 그걸 해보는 것처럼 비행을 연습한다. 함께 나는 연습. 그 비행의 순간이 감동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그것이 이 애니메이션이 전하는 자연과 인간의 공존의 메시지를 가장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아바타’는 자연의 상징으로 내세워지는 판도라 행성에서 인간들을 지구로 내쫓는 방식으로 판도라 행성을 지켜내려 한다. 즉 ‘아바타’가 제시하는 환경문제의 해답은 지나치게 단순화되어 있다. 인간들을 자연 바깥으로 몰아내면 자연은 저 스스로 보존될 것인가. 많은 환경학자들은 이미 자연은 인간화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을 축출하기 보다는 인간과의 공존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드래곤 길들이기’의 히컵과 투스리스의 관계 설정은 이 ‘공존’의 시각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드래곤이라는 존재를 통해 자연의 두려움을 친근함으로 바꿔놓고, 그것을 개척해야할 대상이 아니라, 공존해야할 대상(심지어 그래야 더 재미있는 세상이 펼쳐진다는)으로 그리는 이 애니메이션이 아이들의 열광을 넘어 어른들의 열광까지 불러일으키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슈렉’과 ‘쿵푸 팬더’를 통해 그저 동화책 같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라 좀 더 세태에 현실적인 애니메이션의 추구를 통해 어른과 아이가 함께 고개를 끄덕이는 작품들을 만들어온 드림웍스는 이번 작품 ‘드래곤 길들이기’를 통해서도 역시 기대에 부응하는 모습을 선보인 셈이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화 속으로', 반공도 반전도 아니다 (0) | 2010.06.20 |
---|---|
'방자전', 무엇이 그토록 음란한가 (0) | 2010.06.05 |
칸느가 주목한 우리 영화, 그 절망에 대한 세 시선 (1) | 2010.05.24 |
'하녀', 그녀는 여전히 밑에 있었다 (0) | 2010.05.14 |
‘아바타’에 대처하는 ‘하모니’의 자세 (0) | 2010.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