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모든 악역들은 말한다, "네까짓 게 감히!"

728x90

사회의 양극화를 잘 드러내는 대사, "네까짓 게"

"네가 뭔데. 네까짓 게 뭔데 내 자존심을 건드려!" 이 대사는 '나는 전설이다'에서 차지욱(김승수)이 그 아내 전설희(김정은)에게 던지는 것이다. 그런데 이 대사는 화를 못 참아 돌발적으로 나온 그런 것이 아니다. 그는 습관적으로 아내를 이런 식으로 부르곤 한다. 이 상류층 집안사람들도 전설희를 늘 이런 식으로 대한다. 뭐 하나 가진 것 없고 그저 그런 집안에서 태어난 전설희가 언감생심 이 좋은 집안에 시집왔다는 것 자체가 불쾌하다는 식이다. 전설희의 시어머니는 입에 '네까짓 게'를 달고 산다. 결국 이혼을 결심한 전설희는 그런 시어머니에게 말한다. "결혼 내내 어머니께 수도 없이 들었던 네까짓 거라는 말 더 이상 듣기 싫습니다."

우연의 일치인지 아니면 이보다 서민들의 감정을 건드리는 대사를 찾기가 어려운 것인지, 다른 드라마에서도 '네까짓 게'는 종종 등장한다. '자이언트'에서 황정식(김정현)의 엄마로 나오는 오남숙(문희경)은 가끔 배다른 자식 정연(박진희)에게 '네까짓 게'라는 표현을 쓴다.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았다고 해도 할 말 안할 말이 있기 마련이지만, 자신의 못난 자식을 후계자로 세우려는 야심은 심지어 정연이 죽기를 바라게 만든다.

'제빵왕 김탁구'에서 서인숙(전인화) 역시 이 말의 애용자다. 그녀는 남편 구일중(전광렬)이 데려온 김탁구에게 이 말을 쓰며 폄하하더니, 이젠 자신의 아들 마준(주원)이 사랑하게 된 신유경(유진)에게 "네까짓 게 감히" 어딜 넘보냐며 그녀를 밀어낸다. 이미 종영한 '나쁜 남자'에서도 '네까짓 게 감히'는 등장한다. 이 말은 다름 아닌 이 드라마 속 비극을 양태한 희대의 악역이었던 신여사(김혜옥)의 전매특허다. 문재인(한가인)은 어렵게 자신이 구해온 유리가면을 깬 것에 대해 홍태성(김재욱)을 나무라다가 신여사에게 뺨을 맞는다. "네까짓 게 감히 뭔데 선을 넘어와!"

우연의 일치인 것처럼 보이지만 이 일련의 드라마에서 모든 악역들이 "네까짓 게"를 외치는 것에는 어떤 공통점이 추출된다. 첫째 그 대사를 하는 인물들은 모두 우리가 상상하기도 어려운 부를 손에 쥐고 있는 초상류층들이다. 둘째, 그 "네까짓 게"를 듣는 대상은 이 초상류층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평범한(혹은 그 이하인) 서민들(서민의식을 가진 인물)이다. 셋째, 이 "네까짓 게"라는 소리를 듣는 인물은 신분상승을 꿈꾼다. 그래서 그런 소리를 하는 이들을 실력으로 넘어서려 안간힘을 쓴다.

이 공통점들은 작금의 우리 사회가 가진 점점 심화되어가는 양극화와 그것에 대한 서민들의 양반감정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초상류층의 안하무인격의 행실을 재수 없어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실력으로 그 문턱을 넘어서려 안간힘을 쓰는. 이것은 지금 우리나라에서 왜 성장드라마가 그토록 인기가 있는가를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성장(신분상승)에 대한 강한 욕망은, 그 성장의 욕망이 사실은 거의 태생적으로 정해져 여의치 않은 현실의 반영이기도 하니까.

"네까짓 게 감히!"라는 드라마 속 대사를 들으며 왠지 가슴 한 켠이 울컥했다면 그것은 이 드라마들이 이 사회가 가진 욕구불만의 옆구리를 제대로 짚은 것이다. 물론 이건 드라마 속의 한 대사일 뿐이다. 하지만 그 대사가 환기시키는 어떤 울분을 떠올려보면, 우리는 거기서 물질로 사람이 평가되고, 또 그 물질조차 태생적으로 규정되는 갑갑한 현실과, 아무렇지도 않게 습관적으로 모욕을 주는 세상을 발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