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차인표|우리는 왜 그에게 감동했을까

728x90


'힐링'의 진면목을 보여준 가슴 차인표 선생

'힐링캠프'(사진출처:SBS)

소셜테이너, 기부천사, 개념연예인 등등. 사회적인 기여나 참여를 하는 연예인들을 지칭하는 용어들은 넘쳐난다. 하지만 너무 과하기 때문일까. 이 용어들은 애초의 순수함을 점점 잃어가고 있는 형국이다. 정치적 성향과는 아무런 관계없는 소셜테이너가 정치적으로 포장되는 경우도 많고, 기부천사라는 상찬 속에는 너무 드러내놓고 보여주려는 불편함도 존재하며, 개념연예인이라는 호칭 속에 인기에 대한 집착이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물론 그렇지 않은 연예인들이 대부분일 것이지만, 누군가의 호명으로 이런 지칭이 붙여질 때 그것은 자칫 본질을 흐릴 수 있다.

그리고 차인표가 있었다. '컴패션'이라는 국제어린이양육기구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는 있었지만, 그래도 '사랑을 그대 품안에'의 오토바이와 색소폰으로 기억되는 남자, '분노시리즈'로 더 많이 회자되던 연기보다는 열정의 배우로 기억되는 남자. 그런 그가 '힐링캠프'에 나와 들려주고 보여준 두 시간은 그에 대한 모든 선입견을 날려버리기에 충분했다. 차인표의 진솔함과 소박함에 깃든 따뜻한 가슴은 소셜테이너나 기부천사, 개념연예인이라는 포장 따위 자체가 오히려 부끄럽게까지 여겨지게 만들었다. 차인표는 그런 호칭 하나로 설명할 수 없는 단순하면서도 명쾌한 그만의 철학을 갖고 있었다. 그것은 '작은 실천'이다.

'힐링캠프'의 서두에 끄집어 낸 '가슴'에 대한 그의 일화는 대단히 흥미롭고도 의미심장한 것이었다. 미국에서 생활할 때 뭐 하나 잘 하는 게 없어 의기소침했던 그가 어느 날 탄탄한 가슴 근육의 남자에게 매료되어 "어떻게 하면 그렇게 몸을 만들 수 있냐"고 물었던 것이 지금의 자신을 만들었다는 어쩌면 조금은 황당한 이야기는 그러나 그 안에 단순한 진실을 담고 있었다. 그렇게 매일 팔굽혀펴기를 하면서 가슴 근육이 도드라지기 시작했고, 그러자 그만큼 자신감도 생겼으며 친구들도 생기기 시작했다는 것. 그 탄탄한 가슴은 또한 무명의 자신이 배우가 될 수 있었던 차별점이 되기도 했다는 것. 물론 이 이야기가 전하는 진짜 핵심은 다른 것이다. 작은 행동 하나가 그 사람의 삶을 바꿀 수 있다는 이야기.

"(턱걸이를) 한 번 할 수 있는 사람은 50번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한 번을 하지 못하면 하나도 하지 못하게 되죠." 턱걸이를 예로 들어 한 이 이야기의 울림이 큰 것은 우리가 흔히 거창하게 말하는 나눔이나 기적 같은 것에 대한 편견을 깨기 때문이다. 무언가 거대한 것으로 생각해왔던 그런 것들이 결국은 작은 실천 하나로부터 시작된다는 것. 딸을 입양한 후, 사회적으로 칭찬을 받고 상금까지 받게 된 차인표가 그 상금 전액을 온전히 다시 더 많은 힘겨운 아이들을 위해 사용했다는 일화는 이 비유가 그저 듣기 좋은 비유가 아니라 실제라는 것을 말해준다. 그렇게 작은 손길이 기적으로 돌아오게 해준 딸에 대한 차인표의 가슴은 얼마나 벅차올랐을 것인가.

중요한 것은 차인표가 이런 사회적으로 귀감이 되는 행동들을 실천하면서도, 스스로는 '특별한 사람'이라는 자의식을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는 유흥업소에 가지 않는 이유로 자신이 그런데서 쓰는 돈이면 한 아이의 삶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하면서도, 그렇다고 자신처럼 행동하지 않는 이들을 비난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자세를 보여주지는 않았다. 그것은 그의 활동이 우월한 존재로서 거창한 사회적인 일을 하고 있다는 자의식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그저 한 작은 인간으로서의 작은 실천일 뿐이라는 몸에 밴 겸손 때문일 게다.

내세울 것이라고는 빵빵한 가슴뿐이었다고 천연덕스럽게 말하고, 그 가슴을 실룩거리며 노래하는 모습을 보여주던 그가 결국 대중들에게 감동을 준 것은 그 우스꽝스럽게까지 보이는 행동 속에 담겨진 따뜻한 가슴을 우리가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힐링캠프'는 비로소 차인표를 통해 진정한 '힐링'의 진면목을 보여준 셈이 되었다. '힐링'이란 단지 물리적이고 이성적인 것만을 포괄하는 개념이 아니다. 거기에는 인간으로서 다른 인간을 생각하는 영적인 부분도 들어가 있다. 차인표는 '나를 위한 것'은 진정한 힐링이 아니며, '타인을 생각하는 힐링'이야말로 진정 자신을 힐링할 수 있다는 것을 몸소 보여주었다. 거창한 지칭이 아닌 실천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