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수펄스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였을까 본문

옛글들/명랑TV

수펄스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였을까

D.H.Jung 2012. 6. 2. 14:07
728x90

경쟁보다 공존의 의미를 더한 수펄스

 

우리에게 수펄스는 어떤 의미였을까. 'K팝스타'라는 서바이벌 오디션 현장에서 갑자기 나타난 이 네 명의 존재는 우리를 뭉클하게 만들었다. 그들은 사실 경쟁자들이 아닌가. 누군가 올라가면 누군가는 떨어지는. 하지만 경쟁이 무색하게도 네 명의 목소리가 만들어낸 하모니는 그 어느 각각의 소리보다 더 아름다웠다. 'K팝스타'라는 최후의 1인을 뽑는 오디션에서 대중들이 수펄스의 무대를 그토록 원했던 것은 그것이 우리네 현실을 그대로 상기시키면서 하나의 염원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아무리 경쟁사회라고 하더라도 그 위에 피어나는 공존의 하모니를.

 

 

'수펄스'(사진출처:SBS)

공식적으로 이승주와 이정미의 YG행이 결정되었을 때, 수펄스는 <서울디지털포럼 2012>라는 조금은 어울리지 않는(?) 무대에 오를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 이유는 이 행사의 올해 주제가 '공존'이라는 것과 관계가 있다. 공존(coexistence). 기술의 발전과 그럼으로써 커진 산업에 대한 관심을 이제는 이런 기술을 어떻게 활용해 함께 공존할 수 있을 지를 고민해보는 시간. 수펄스는 그 자체로 충분히 공존의 의미를 더해주는 그런 존재들이었다.

 

수펄스의 맏언니인 이미셸은 인터뷰를 통해 "수펄스는 가족이다. 'K팝스타'에서 가장 감사한 것이 수펄스를 만난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녀는 'K팝스타'의 경험에 대해서 "경쟁 구도 속에서 내가 살아남아야겠다는 의식만 가지고 오디션을 준비하면서 나가는 것이 아니라, 많이 배울 수 있고 공존하는 모습이 많이 있었던 거 같았다."고 말했다. 상대적으로 일찍 떨어진 이승주와 이정미에게 오디션 최종전까지 올라간 박지민이나 이미셸을 보며 어떤 마음이 들었냐고 묻자, 그녀들은 이구동성으로 "응원하는 마음"이었다고 말했다.

 

행사 말미에 그들은 'Fame'을 불렀다. 네 목소리가 하나로 어우러지는 그 절정의 하모니는 세계 각지에서 모인 연사들과 청중들을 매료시켰다. 오디션은 끝났지만 수펄스는 여전히 존재했다. 대중들이 그들을 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YG의 공식적인 발표는 수펄스의 부활을 공식화한 것이었다. 이미셸과 이승주, 이정미는 한껏 들뜬 마음을 숨기지 못한 얼굴이었다. 이미 JYP행이 결정된 박지민 역시 아쉬운 한편 진심으로 그들의 YG행과 수펄스의 부활을 축하해주었다.

 

최근 각종 리얼리티 프로그램들, 즉 오디션 프로그램이나 리얼리티쇼 같은 서바이벌 콘텐츠들이 봇물을 이루면서 서바이벌과 경쟁은 하나의 트렌드가 된 양상이다. 하지만 지금 되돌아보면 그 서바이벌과 경쟁적인 요소가 이들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들의 열광을 낳은 것은 아니었다는 게 분명하다. 우리가 발견한 것은 경쟁적인 현실 그 자체가 아니라 그 현실 속에서도 드러나는 공존의 감동적인 광경이었을 것이다. 서바이벌의 자극이 아니라 그것을 뛰어넘는 공감의 감동이었던 것.

 

서바이벌의 현실 문제를 환기시키며 신드롬까지 일으켰던 허각도 잘 들여다보면 그 안에 존박과의 우정이 있었고, 합숙생활에서의 맏형 같은 모습이 있었다. '나는 가수다1'에서 논란이 되었던 김건모의 재도전은 그만큼 선후배 사이의 관계가 끈끈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나는 가수다2'가 살풍경한 생방송을 선택하면서 경쟁적인 분위기를 얻었지만 결국 잃은 것은 어쩌면 이러한 관계의 끈끈함을 포착할 여유가 아니었을까. '정글의 법칙' 같은 극단의 공간에 가서도 우리가 찾는 것은 결국 가족적인 분위기다. 서바이벌? 그것은 성공요인의 필요충분조건이 되지 못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 지긋지긋한 경쟁사회에서 그것을 재현하는 듯한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보면서, 거기서마저 경쟁만을 보고 싶은 시청자는 없을 것이다. 경쟁 속에서도 피어나는 하모니와 공존의 모습. 어쩌면 이것이 음악을 소재로 하는 오디션 프로그램들이나 극한의 리얼리티의 공간을 찾아가는 프로그램들의 진짜 성공 요인이 아니었을까.

 

우리에게 수펄스는 절정의 가창력을 가진 누군가의 독주가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음을 맞춰나가려는 그 하모니로 다가온다. 특유의 고음이 매력적인 박지민은 "독창으로 가창력을 뽐내는 것보다 전체가 하나의 하모니를 만들어내는 것이 더 재밌다"고 말했다. 그것이 자신의 가창력을 스스로 낮춰야 할지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