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400년 전 '허준'이 요즘 의사들에게 전하는 말

728x90

허준이 ‘동의보감’을 낸 뜻을 요즘 의사들은 알까

 

<구암 허준>에서 허준(김주혁)의 스승 유의태(백윤식)는 병자가 사경을 헤맨다는 소식에도 그가 백정 출신이라는 것만으로 물러가라는 유도지(남궁민)를 보고는 혀를 차며 그 병자의 집을 찾아 나선다. 헐벗고 가난에 찌든 아이들이 다 쓰러져가는 집 앞에 나와 유의태와 허준을 맞이하는데, 유의태는 똥오줌도 가리지 못해 냄새가 진동하는 병자의 욕창에 난 고름을 입으로 빨아낸다. 허준은 그걸 보고 비로소 심의(心醫)가 무엇인가를 깨닫게 된다.

 

'구암 허준'(사진출처:MBC)

또 목을 맨 딸을 살려달라며 애원하는 가난한 노부부에게 자신은 의원이 아니라며 극구 거부하는 허준이 결국 그 딸을 시술해주는 장면도 그렇다. 자신이 아는 모든 지식을 동원해 딸을 살려내자 고마운 마음에 내미는 가락지를 극구 거부하며 “병자가 건강해지는 게 보답”이라 돌려보내는 허준에게서 지금의 대중들은 무엇을 느낄까. 또 돈이 없어 치료받지 못하는 병자들에게 그들이 알아볼 수 있도록 한글로 처방전을 써주는 그 마음은 어떤가. 돈이 아니라 오로지 생명만을 바라보는 그 모습에서 심지어 성인의 면모까지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실력은 당대 최고 침술의 대가로 알려진 어의 양예수(최종환)를 구침지의로 꺾을 만큼 출중하지만 출사하지 못하고 낙향해 오로지 병자만을 긍휼이 여기는 명의 유의태나, 잘 나가는 내의원이었지만 어린 아들이 나병 환자들에게 죽임을 당하자 그 업보를 풀기 위해 한 평생 나병 환자들을 돌보는 길을 걷는 삼적대사 김민세(이재용), 김민세 일가에 찾아온 불행으로 자신도 관직을 던져버리고 산속에 은거에 부술(해부술) 연구에만 몰두하는 안광익(정호빈)이 지금의 대중들의 마음을 감동시키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게다.

 

반면 <구암 허준>에서 유도지의 모습은 지금의 의사들을 그대로 빼닮았다. 병자를 보는데 있어서도 그 귀천을 따지고, 배운 의술은 많지만 마음으로부터 병자를 긍휼하게 바라보는 진정한 심의(心醫)에는 도달하지 못하는 그런 의원. 오로지 의술을 통한 내의원 입성만을 목표로 세우는 유도지는 그래서 출세만을 추구하는 작금의 의사들을 닮았다. 일반외과나 내과 같은 생명을 다루는 과의 지원자가 점점 사라지고, 대신 성형외과나 피부과 같은 그래도 돈벌이가 되는 과로 몰리는 작금의 현실이 그걸 말해주지 않는가.

 

언제부턴가 의사가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숭고한 직업이 아니라 돈 잘 벌고 출세하기 좋은 직업으로 치부되는 경향이 생겼다. 그래서 돈 많은 사람은 제 아무리 어려운 병이라도 고칠 수 있는 의술의 혜택을 받지만, 돈 없는 사람들은 쉽게 고칠 수 있는 병이라도 처치 받지 못해 죽음에 이르기도 하는 세상이다. 물론 모든 의사가 그런 것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미 자본화된 의료시스템 속에서 인간이 하나의 생명으로 바라봐지는 것이 아니라, 점점 돈벌이 수단으로 취급되는 건 실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치솟는 의료보험료와 그걸 내지 못해 의료 사각지대로 몰리고, 제 아무리 당장 죽어가는 병자라고 한들 돈 없으면 문전박대 당하는 현실을 겪고 있는 서민들의 입장에서 <구암 허준>이 보여주는 유의태나 허준, 김민세 같은 인술의 대가들은 그래서 그 자체가 감동일 수밖에 없다. 병자를 살리기 위해 고름을 손수 입으로 빨아내는 유의태와 허준의 모습에 깊은 감동을 느끼게 되는 건 그 때문이다.

 

허준은 <동의보감>을 썼다는 것 외에 그다지 역사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인물이다. 하지만 일반인들도 쉽게 치료법을 이해할 수 있으며 또 값비싼 중국 수입 약재 대신 우리 산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재들을 다수 소개한 <동의보감>은 그 자체로 허준이라는 심의(心醫)의 긍휼한 마음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올해는 허준이 <동의보감>을 편찬한 1613년으로부터 정확히 400년이 되는 해다. 하지만 무려 4백년 전의 허준이 작금의 세태에 전하는 메시지는 더 커졌다. 물론 극화된 것이지만 <구암 허준>을 보다가 느끼는 그 울컥함은 생명을 생명으로 보지 않게 된 세상에 대한 아픈 반응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