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논란의 크레용팝, 도대체 뭐가 문제일까

728x90

크레용팝의 일베, 표절 논란, 과연 마녀사냥일까

 

시쳇말로 ‘진격의’ 크레용팝이 요즘은 논란의 크레용팝이 된 듯하다. 하루가 멀다 하고 이들의 이름이 오르내리지만 그것이 순전히 인기 때문만은 아니다. 일베 논란은 이미 있었지만 크레용팝의 존재감이 점점 커지면서 그 논란도 점점 거인이 되어가고 있다. 일본의 걸 그룹 모모이로클로버Z를 거의 복사수준으로 표절했다는 논란까지 불거졌다.

 

'크레용팝(사진출처:크롬엔터테인먼트)'

항간에는 연일 계속 터지고 있는 크레용팝 논란을 마녀사냥으로 치부하는 이들도 있지만 그렇게 보긴 어렵다. 마녀사냥이라면 전혀 근거 없는 이유를 갖다 붙여 집단으로 낙인을 찍는 것이지만, 크레용팝의 일베 논란이나 표절 논란이 전혀 근거 없어 보이지는 않는다. 이미 여러 차례 일베 용어를 사용한 정도가 아니라 일베를 마케팅적으로 활용하려 했던 점이 SNS 내용을 통해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 아닌가.

 

표절 논란 역시 헬멧을 쓰고 트레이닝복을 입는 점이 같다는 그런 정도의 문제가 아니다. 그 캐릭터 코스프레 코믹 콘셉트가 비슷하다는 점은 이 논란이 아주 근거 없다 여겨지지 않는 이유다. 물론 표절 논란까지 불거진 것은 일베 논란에서부터 비롯된 대중들과의 소통의 실패가 점점 눈덩이처럼 커지면서 생겨난 결과일 수 있다. 복제가 일상화된 시대에 표절은 이제 진실의 문제라기보다는 호불호의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마녀사냥’이라는 말은 이미 크레용팝 소속사 사장이 해명 글에서 먼저 사용한 말이다. 그는 ‘저희가 그냥 미우셔서 마녀사냥감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면 달게 받겠습니다’라고 썼다. 그 해명 글의 핵심적인 내용은 자신들이 영세한 기획사이고 그러다 보니 일베 뿐만 아니라 대다수 유명 커뮤니티에 가입해 ‘정보습득’을 했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런 내용에 굳이 ‘마녀사냥’이라는 단어를 왜 사용했는지 의문이다. 이 말에는 자신들은 피해자일 뿐이고 대중들이 마녀사냥 하는 가해자라는 뉘앙스가 담겨 있다. 해명으로서 적절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한 일베 논란이 거세지자 크레용팝의 멤버인 웨이가 트위터에 해명의 글을 남기며 사용한 ‘시안견유시 불안견유불의(豕眼見惟豕 佛眼見惟佛矣 돼지 눈에는 돼지만 보이고, 부처 눈에는 부처만 보인다)’는 표현도 적절했다 여겨지지 않는다. 물론 자신들에게 비판적인 특정인들을 지칭해서 사용한 말일 수 있지만, 보편적인 대중을 상대하는 연예인으로서 이런 식의 해명은 잘못된 일이다. 비판도 관심의 일종이라고 생각했다면 비판하는 이들을 모두 돼지로 몰아세우는 표현을 쓸 수 있었을까.

 

일베 논란과 표절 논란을 떼어 놓고 크레용팝이라는 우리에게는 새로운 걸 그룹 스타일과 그들이 내놓은 ‘빠빠빠’라는 곡만을 놓고 보면, 그것이 콘텐츠적으로는 꽤 괜찮은 도발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껏 우리가 봐 왔던 천편일률적인 걸 그룹의 콘셉트를 뒤집는 발상의 전환이 엿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한 번 들으면 좀체 잊혀지지 않는 ‘빠빠빠’라는 곡이 음악적으로 거둔 성과도 분명 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 시대에 콘텐츠보다 더 중요해진 것은 대중과의 소통이다. 제 아무리 좋은 콘텐츠도 대중과 소통되지 않아 비호감이 되어버리면 실패할 수밖에 없는 게 요즘이 아닌가. 한때 잘 나갔지만 소통에 실패해 나락으로 떨어진 사례를 우리는 너무나 많이 알고 있다. 티아라가 그렇고, 최근에는 비가 그렇다. 크레용팝이 지금 같은 소통방식을 계속 구사한다면 자칫 콘텐츠와 상관없이 논란만 무성한 걸 그룹으로 전락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든 논란들을 먼저 ‘마녀사냥’이라고 단정 짓는 순간부터 소통은 요원해진다. 그것은 연예인과 팬으로 엮어져야할 관계가 피해자와 가해자로 구획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항간에는 이제 걸 그룹의 활동도 진보와 보수 같은 이념적인 틀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상황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상식을 벗어난 일련의 활동들을 보이는 일베를 진정한 보수라고 보기는 어렵다(이건 보수쪽에서도 발끈할 일이 아닌가!). 즉 이것은 이념의 문제도 아니라는 점이다.

 

따라서 이 문제를 갖고 마녀사냥이니 이념의 문제니 거창하게 확대해석할 필요는 없다. 이것은 그저 상식의 문제다. 노골적인 성희롱과 고인에게 침을 뱉는 행위가 일상화되어 있는 비상식적인 공간과 연루되어 있으니 대중들로서는 당연히 싫을 수밖에 없는 일이 아니겠나. 물론 무명의 영세한 기획사가 어떻게든 살아남기 위해 초반에 무리한 홍보 마케팅을 했을 수 있다. 하지만 이제 대중들의 주목을 받는 입장에서는 잡음이 생길 자그마한 대중들의 정서까지도 배려하는 관리가 필요하다. 콘텐츠에 실패하면 또 다른 콘텐츠로 승부할 수 있다. 하지만 소통에 실패하면 모든 걸 잃게 되는 시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