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KBS는 까탈레나의 무엇이 두려웠던 걸까 본문

옛글들/명랑TV

KBS는 까탈레나의 무엇이 두려웠던 걸까

D.H.Jung 2014. 3. 24. 15:14
728x90

KBS까탈레나방송부적격 판정 도대체 왜?

 

인명경시가 이유란다. 오렌지 캬라멜의 신곡 까탈레나의 뮤직비디오가 KBS의 방송부적격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MBCSBS가 심지어 전체 관람가판정을 냈던 뮤직비디오였다. 그런데 왜 KBS는 유독 심의에서 이런 판정을 내리게 된 걸까.

 

사진출처:카탈레나 뮤직비디오

인명경시라고 굳이 판정한 이유는 뮤직비디오가 오렌지 캬라멜이 초밥으로 만들어지고 소비되는 과정을 콘셉트로 삼았기 때문이란다. 뮤직비디오는 오렌지 캬라멜의 세 멤버들이 인어 캐릭터로 등장한다. 그들은 첫 장면부터 도마 위에서 노래를 부른다. 도마 위와 아래에는 젓가락이 놓여져 있다. 익숙한 생선초밥집의 광경이다.

 

뮤직비디오는 이들이 초밥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따라간다. 랩으로 싸여진 포장지에 담겨져 팔딱이는 인어들은 각각 가격표가 매겨져 있다. 못생겼지만 자연산인 문어로 분장한 개그맨의 가격은 78천원. 그런데 예쁘게 생긴 이들 인어들은 가격이 4천 원이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인어 옆에는 가로치고 양식이라는 문구도 들어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났는지 세일을 한다며 가격이 반값으로 매겨지는 과정도 보여준다.

 

노래는 까탈레나의 빠져들 수밖에 없는 매력을 거의 의미 없는 가사들의 나열로 표현한다. 기막힌 건 맥락이 없어 보이지만 왠지 모르게 경쾌한 리듬과 이들의 깜찍한 춤동작이 매력적으로 여겨진다는 점이다. 이런 노래에 맞춰 뮤직비디오는 이들이 생선초밥으로 탄생해 회전초밥집 진열대 접시 위에 올려져 팔려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 나아가 초장에 찍히는 모습까지.

 

인명경시? 파격적인 콘셉트인 것만은 분명하지만 인명경시라기보단 위트 있는 풍자에 가깝다. 아니 오히려 거꾸로 인명경시되고 있는 세상에 대한 풍자랄까. 초밥집의 인어로 표현되고 있지만 그건 우리가 사는 사회의 축소판 그대로가 아닌가. 우리는 그 사회의 도마 위에 올려지고 적당히 가공되어 상품 진열대에 전시되는 존재들이다. 가격이 매겨진 채로. 그리고 누군가에 의해 소비되기 마련이다.

 

까탈레나의 뮤직비디오는 따라서 이러한 스펙과 상품사회의 단면을 초밥집의 인어라는 설정을 통해 살짝 뒤틀어 보여준 것이다. 누군가의 젓가락이 우리를 소비하기 위해 저 편에서 드리워지고 있다는 것. 그리고 우리는 그 진열대 위에서 심지어 소비되지 않는 것조차 불행으로 느끼며 살아간다는 것. 이토록 명쾌한 현실인식을 담아낸 뮤직비디오가 있을까.

 

KBS는 도대체 이 뮤직비디오의 무엇이 두려웠던 걸까. 인명을 경시하는 풍조? 설마. 실상은 이 뮤직비디오가 통렬하게 드러내고 있는 우리네 현실의 진면목이 두려웠던 건 아닐까. 젓가락을 쥐고 있는 이들에게는 어쩌면 이 뮤직비디오가 그간 목구멍에 밀어 넣었던 것들을 치밀어 오르게 만드는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도 있을 게다. 하지만 인명경시 현실을 풍자하고 비판하는 뮤직비디오에 인명경시라는 죄를 뒤집어씌우는 판정은 이해하기가 어렵다.

 

까탈레나뮤직비디오의 후반부에 가면 초밥을 소비하는 일단의 인물들이 등장한다. 여기서 개그맨 정태호는 조폭 두목처럼 앉아서 졸개들이 입에 넣어주는 초밥을 즐긴다. 서열사회의 일단이다. 마지막에는 오렌지 캬라멜 멤버들도 그 자리에 앉아 초밥을 입에 넣는다. 그리고 그들의 눈에는 알 수 없는 눈물이 흘러내린다. 굉장히 발랄하고 귀여움에 매료되는 음악과 뮤직비디오지만 그 밑바닥에 깔린 아련한 페이소스 같은 것이 느껴진다. 겉모습은 대단히 화려하고 발랄해보이지만 그 이면은 끔찍함을 드러내는 인명경시사회가 주는 우울. ‘까탈레나는 그런 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