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왜 때만 되면 우리는 '빅맨'을 꿈꿀까

728x90

그래도 우리가 <빅맨>을 꿈꾸는 까닭

 

업무 도중 사망한 비정규직을 위해 자신의 연봉을 가불해 그 가족을 먼저 도와주고, 잊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회사 차량에 새겨 고인을 기억하며, 가족을 찾아가 그 자식에게 이제 내가 너의 아버지다라고 말하는 사장. 회사의 쇼핑센터를 짓기 위한 시장 부지 매입에서도 먼저 시장 상인들의 입장을 생각하는 사장. 무엇보다 돈이 먼저가 아니라 사람을 먼저 생각하고 가족처럼 챙기는 사장...

 

'빅맨(사진출처:KBS)'

KBS 월화드라마 <빅맨>은 서민들의 판타지다. 이런 사장이 현실에 있을까 싶지만 그래서 서민들은 그런 사장을 더더욱 꿈꾸는 지도 모른다. 부유한 재벌가에서 태어나 어려움 없이 자라나고 해외에서 학위를 받아 머리도 좋고 배운 것도 많은 현성그룹 사람들과, 태어날 때부터 버려져 고아로 자라오며 시장통에서 시장 사람들을 가족처럼 여기며 잔뼈가 굵은 김지혁(강지환)은 그래서 선명한 대비를 이룬다.

 

현성그룹 사람들은 김지혁을 희생양으로 이용하려 들지만, 김지혁은 현성그룹 사람들을 진짜 가족으로 받아들이려 한다. 졸지에 현성유통 사장이 된 김지혁이, 가짜 가족 행세를 하며 그를 곤란에 빠뜨리려는 현성그룹 사람들의 음모를 뛰어넘는 건 그의 사람이 우선인 사고방식 덕분이다. 돌아온 강동석(최다니엘)이 김지혁에게 건넨 것이 돈이라면, 김지혁은 그런 강동석에게 가족으로서의 손을 내민다.

 

왕자가 된 거지의 이야기는 그 안에 가난한 자들이 공유하는 소중한 가치의 의미를 부여한다. 김지혁이 졸지에 사장이 되어 보이는 일련의 행보들은 그 자체로 지금껏 가진 자들의 더 많은 것을 가지려는 행태에 대한 비판을 담아낸다. 돈을 벌기 위해서라면 비정규직의 처우 따위나 시장 같은 골목 상권 따위는 아랑곳 않는 재벌가의 행태. 패션쇼를 모델들이 아닌 실제 옷을 입는 시장통 사람들을 통해 실제 삶의 현장에서 보여주는 이야기는 비현실적이지만 그래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삶에 대한 깊은 판타지를 드러낸다.

 

이 서민들을 위한 서민들의 리더 김지혁이 환기시키는 건 다름 아닌 진정한 리더를 찾기 힘든 우리네 현실이다. 자생적으로 생겨난 시장 같은 골목 상권을 상인들의 입장은 생각하지도 않고 무작정 쇼핑센터를 지으려는 모습은 마치 파괴되는 생태계는 고려치 않고 무작정 진행된 지난 정권의 4대강을 떠올리게 한다. 취업의 문제와 비정규직의 죽음에 대해 국민을 가족처럼 생각한 권력을 가진 리더가 있었던가. 세월호 침몰과 그로 인해 무너져 버린 신뢰는 먼저 제 한 몸 살자고 도망친 선장처럼 리더 없는 우리네 현실을 고스란히 상징한다.

 

돈이면 뭐든 다 된다는 식의 리더십이 지워버린 것이 사람이 먼저라는 고귀한 가치다. <빅맨>의 김지혁이라는, 세상에 없는 리더의 판타지는 그래서 우리를 가슴 뛰게 하면서도 슬프게 만든다. 저런 리더가 있었으면 하는 희망과 저런 리더는 절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절망이 교차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우리는 때가 되면 빅맨을 꿈꾼다. 서민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서민들의 편에서 서민들을 위한 리더십을 보여줄 빅맨. 이 배운 것 없고 변변한 학벌도 집안도 없는 김지혁이라는 리더를 굳이 빅맨이라 지칭하는 건, 진정한 빅맨이란 그럴 듯한 간판이나 실현 불가능한 공약을 내세워 거짓말로 혹세무민하는 이들을 지칭하는 게 아니라 진정으로 사람을 껴안을 수 있는 따뜻한 피가 흐르는 자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일 게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여전히 빅맨을 꿈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