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개콘' ‘10년 후’ 권재관, 짠하게 웃기는 이 남자 본문

옛글들/명랑TV

'개콘' ‘10년 후’ 권재관, 짠하게 웃기는 이 남자

D.H.Jung 2014. 11. 11. 09:25
728x90

<개콘> ‘10년 후’, 채무관계를 인간관계로 바꾸는 훈훈함

 

도대체 이 짠함과 웃음의 정체가 뭘까. <개그콘서트> ‘10년 후라는 코너에는 10년 째 빌려간 돈을 받으러 오는 사채업자 권재관이 등장한다. 그런데 돈을 빌린 가겟집 아줌마 허안나를 10년 째 찾아오는 권재관은 겉으로는 사채업자의 으름장을 보여주지만, 그 속내는 완전히 다르다. 10년 전과 후의 모습이 교차하며 전혀 다른 권재관과 허안나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이것이 이 코너가 갖고 있는 웃음의 원천이다.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10년 전의 권재관은 허안나에게 아줌마. 돈 빌렸어요? 남의 돈 안 갚고 살면서 숨 쉬어져 숨쉬어지냐고?”라며 윽박지르지만 10년 후의 권재관은 똑같은 말을 하면서도 마치 익숙한 듯 옷을 꺼내 신상품 딱지를 붙여 진열할 만큼 이 가게에 익숙해진 모습이다. 그 익숙함은 가게 주인인 허안나도 마찬가지다. “아주 이 놈의 가게를 싹 다 엎어버려!”하며 옷을 던지는 권재관에게 10년 전은 두려운 모습이었지만 10년 후는 그 옷을 척척 받아서 진열대에 정리해 놓는 능숙함을 보여준다.

 

나 여기서 돈 받을 때까지 한 발자국도 안 움직여. 10년이 지나고 20년이 지나도 한 발자국도 안 움직인다. 알겠어?” 권재관이 던진 이 한 마디는 10년 동안 그를 이 작은 가게와 친숙하게 만든 동인이 된다. “아줌마. 오늘은 돈 갚아야지. 어떻게 사람을 여기 10년째 매일 오게 만들 수가 있어.”라는 투덜거림 속에는 그래서 알게 모르게 이 사채업자의 아줌마를 향한 연정을 엿보게 된다.

 

이런 설정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낯선 것이 아니다. 이미 황정민 주연의 <남자가 사랑할 때> 같은 영화가 이런 식의 사랑이야기를 우리에게 건넨 바 있다. 사실 채무관계라는 것이 돈을 받아오라고 지시하면서 빚쟁이와 직접적인 대면을 하지 않는 이들에게는 그다지 감정적 개입이 생기지 않는 법이다. 하지만 그 돈을 받으러 가는 어찌 보면 똑같이 어려운 현실에 접한 이들에게는 때때로 동병상련의 마음이 생기기도 한다.

 

‘10년 후의 세계는 그래서 그 10년 동안 벌어졌던 일들을 미루어 짐작하게 만든다. 옆 가게와 능숙하게 청바지와 티셔츠를 교환하고 청바지 사이즈가 28이라고 말하는 손님에게 그게 원래 조금 작게 나왔어라고 말하는 모습은 사채업자라기보다는 가게 주인이나 점원에 가깝다. 바지를 줄여달라면 척척 줄여주고, 그걸 던지면 종이백에 담아 손님에게 건네는 권재관과 허안나의 모습은 그래서 채무관계를 넘어선 가족관계를 보여준다.

 

이 감상적인(?) 사채업자는 심지어 허안나의 아들까지 챙겨준다. “마 엄마 바쁠 때 나한테 전화하라고 그랬잖아! 내가.”라고 하는 말이나, 야간 자율학습 땡땡이 쳤다는 사실에 애를 다그치자 애 때리지 말어! 얘 밤에 알바해.”라고 말하는 권재관에게서는 깊은 관심과 애정이 느껴진다. 헤드폰 갖고 싶다는 아이에게 마네킹에 선물을 걸어놓고 무심한 듯 마네킹이 뭐 하나 사왔나 보지.”라고 말하는 그에게서는 숨겨진 속내가 드러난다.

 

도대체 이 웃음과 짠함이 뒤섞인 ‘10년 후의 감정적 실체는 무엇일까. 그것은 우리네 사회 시스템과 무관하지 않다. 잘 먹고 잘 사는 사람들은 세상의 어려움을 외면한다. 그래서 어려운 일들은 자신의 손을 쓰지 않고 가난한 사람들을 앞세운다. 세상이 가난한 자들끼리의 경쟁의 장이 되는 건 바로 이런 부조리한 시스템에서 비롯된 일이다. 이것을 무수한 콘텐츠를 통해 가장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 사채업자와 채무자의 관계일 것이다. 그들은 아무런 연원관계도 없으면서 오로지 돈 문제 하나로 불행한 관계를 만든다.

 

하지만 ‘10년 후가 보여주는 것은 이러한 부조리한 시스템 속에서 꿈꾸는 자그마한 반전이다. 가난한 자들이 경쟁하기보다는 서로를 이해하게 되는 그 지점에서부터, 이제는 그들을 그런 관계로 몰아넣은 세상이 제대로 보여지게 된다. ‘큰 형님은 돈 때문에 아줌마의 인생을 종치게 만들려 한다. 거기에 던지는 권재관의 한 마디. “여기서 인생 끝나고 싶어? 여기서 인생 마감하고 싶냐고? 그렇게 되기 싫으면 나한테 오든가.” 부채관계가 인간관계로 넘어오는 순간이 주는 그 훈훈함. 이것이 웃기면서도 짠한 ‘10년 후의 세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