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접할 수 없는 경지 보여준 <유나의 거리> 김운경 작가
요즘 드라마 중견작가들에게는 찬사보다는 비난이 더 가해진다. 그도 그럴 것이 그렇게 오랜 세월 동안 갈고 닦아온 실력을 어느새 부턴가 시청률 좇는데 쓰고 있는 중견작가들이 많아진 탓이다. 특히 최근 들어 하나의 트렌드처럼 자리한 이른바 막장드라마들의 전면에 나선 작가들이 다름 아닌 중견작가들이라는 점은 씁쓸하다. 임성한, 문영남, 서영명은 대표적이다. 그 중에서도 임성한 작가는 시청률을 위해서라면 드라마 문법 자체를 파괴하는 것도 서슴지 않는다.
'유나의 거리(사진출처:JTBC)'
중견 작가 중에서도 김수현 작가는 거장이다. 확실한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김수현 작가도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세 번 결혼하는 여자>는 여러모로 김수현 작가답지 않은 아쉬움을 남긴 작품이다. ‘세 번째 결혼은 나와 한다’는 마지막 에피소드는 문학적일지는 몰라도 드라마로서는 너무 작위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래도 김수현 작가는 지킬 것은 지키는 작가다.
사실 중견 작가로서 오랜 세월 자리하면서 현 세대와 소통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닐 지도 모른다. 또한 그 정도의 공력을 쌓아왔다면 자기만의 세계가 분명 있을 것이다. 그 세계가 여전히 지금도 통한다는 것 역시 호락호락한 일은 아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종영한 <유나의 거리>는 김운경 작가의 범접할 수 없는 경지를 보여준 작품이면서 동시에 지금의 세대와도 소통한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유나의 거리>를 쓴 김운경 작가를 ‘넘사벽(넘을 수 없는 4차원의 벽)’이라 부르는 건 그의 작품이 그 어떤 작가도 따라할 수 없는 세계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나의 거리>는 그저 소소한 가족드라마도 아니고 그렇다고 엄청난 하나의 사건으로 흘러가는 극적 구조도 아니다. 또 우리가 흔히 봐왔던 재벌가 이야기나 그저 그런 신데렐라 이야기는 아예 찾아보기도 힘들다. 바로 우리 옆에서 살아갈 것 같은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를 일상적인 수준에서 다루는데 이처럼 흥미진진하다는 것이 신기할 정도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김운경 작가가 가진 ‘사람을 바라보는 예리한 관찰력’에서 비롯된다. 제목이 유나가 아니라 <유나의 거리>가 된 데는 한 사람을 중심으로 흘러가는 이야기가 아니라 이 거리에 살아가는 사람들을 하나하나 포착하겠다는 작가의 의지가 엿보인다.
우리는 <유나의 거리>를 통해 보기 드물게 건실한 청년 창만(이희준)은 물론이고 한 때 소문난 조폭두목이었지만 인간적인 정이 느껴지는 만복(이문식), 과거엔 잘나가던 건달이지만 마지막엔 치매를 앓으며 기초수급생활자로 살아가는 장노인(정종준), 그밖에도 개장수 홍계팔(조희봉), 칠쟁이 변칠복(김영웅) 등등을 만났다. 그들은 하나하나가 생생하게 살아있는 인물들로 우리의 마음에 남았다.
다세대주택에서 이들이 서로 부대끼고 살아가는 이야기는 그저 돈이나 성공에 대한 욕망만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우리네 삶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누구나 고민 한 자락씩은 갖고 있고 그럼에도 서로서로 기대며 보듬고 사는 것이 사람이 살아가는 길이라는 걸 드라마는 부지불식간에 우리에게 느끼게 해준다.
이런 것이 어쩌면 우리가 중견작가들에게 진정으로 원하는 것일 게다. 중견이라면 적어도 삶을 바라보는 남다른 시선이 생길만한 위치다. 그렇다면 이들이 그리는 드라마는 무언가 달라야 하지 않겠는가. 여전히 살생부를 휘두르며 비상식적인 드라마 전개로 시청률만을 노리는 중견이라면 없느니만 못할 것이다.
김운경 작가는 확실히 문학의 시대를 살았던 사람이다. 그래서인지 그의 이번 <유나의 거리>에도 곳곳에서 느껴지는 문학적 상황들을 마주할 수 있다. 마치 소설가 이문구의 소설을 읽는 듯한 해학적인 상황들이 <유나의 거리>에서는 번뜩인다. 한창 잘나갈 때 서로 구역 다툼으로 으르렁대던 주먹들이 나이 들어 병원에 나란히 누운 채 서로의 몸을 걱정하는 장면 같은 건 인생이 갖는 시간의 무게감을 느껴보지 못한 젊은 작가에게서는 도무지 나올 수 없는 것이다.
김운경 작가는 <유나의 거리>를 통해 중견이 어떠해야 한다는 것을 제대로 보여주었다.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하고, 그 세계를 지금 세대와 소통하려 애쓰는 그 모습에서는 중견의 품격이 느껴진다. 모쪼록 많은 중견들이 이런 노력을 보여주기를. 그것은 우리네 드라마를 제대로 빛내주는 일이고 또 후배들을 위한 길을 열어주는 일이기도 할 것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펙 없는 장그래, 회사생활 잘하는 비결 (1) | 2014.11.17 |
---|---|
거짓말의 사회학, '피노키오'의 작지 않은 울림 (0) | 2014.11.15 |
장그래와 오과장, 요즘 가장 뜨거운 커플 된 속사정 (0) | 2014.11.07 |
'미생', 워킹맘, 을의 비애.. 소주 한잔 안할 수 없네 (0) | 2014.11.03 |
'나쁜 녀석들'의 폭발력은 어디에서 나올까 (0) | 201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