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 혹은 킬러, 힐링 혹은 킬링
왜 KBS 월화드라마는 <힐러>라는 낯선 제목을 달았을까. 우리 식의 슈퍼히어로를 담아내고 있는 이 드라마에서 그 영웅적 존재가 ‘힐러’라 불린다는 건 의미심장하다. 슈퍼맨이나 배트맨처럼 즉물적인 느낌을 주는 것도 아니고 X맨처럼 세련된 느낌이 있는 것도 아니다. 힐러는 그림자처럼 다가와 비밀스런 일들을 하는 존재다.
'힐러(사진출처:KBS)'
‘힐러’라는 제목이 더 명쾌하게 이해되려면 그 반대의 의미를 가진 ‘킬러’를 떠올려보면 된다. 즉 이 드라마에서 힐러인 서정후(지창욱)는 밤에 어둠 속에서 나타나 누군가를 죽이고 사라지는 킬러와는 정반대되는 인물이다. 그는 누군가를 살리고 위로하며 구원하는 존재다. 그를 사랑하게 된 영신(박민영)이 정후가 킬러인지 힐러인지를 헷갈려하는 장면은 그래서 흥미롭다. 어린 시절 버려진 충격에 정신적인 장애를 겪는 그녀는 그녀를 구원해줄 힐러를 기다린다.
<힐러>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MBC 수목드라마 <킬미 힐미>는 적어도 그 제목만으로는 <힐러>와 유사한 연관성이 엿보인다. 7개의 인격을 가진 다중인격 차도현(지성)의 자아 중 하나인 요섭은 자살을 기도하는 인물이다. 건물 옥상 위에 올라가 ‘킬 미(KILL ME)’라는 죽음의 표식을 남기고 자살하려는 그를 구해낸 오리진(황정음)은 그 글자를 ‘힐 미(HEAL ME)’로 바꿔 놓는다. 이 장면은 이 드라마의 메시지를 고스란히 드러낸다. 죽게 놔둘 것인가 아니면 구원해낼 것인가.
<힐링캠프>에게서 점점 멀어지는 대중들의 관심이 ‘힐링 트렌드’의 종언을 얘기하는 것처럼 여겨졌지만 사실 ‘힐링’에 대한 갈증은 여전하다. 다만 <힐링캠프>나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같은 힐링에 대한 조금은 여유 있는 접근방식이 당장이 갈급한 대중들에게는 점점 공감대를 잃어버렸을 뿐이다. 지금 새롭게 떠오르는 ‘힐링’은 그래서 ‘킬링’을 전제한다. 구원받지 않으면 죽음을 맞게 되는 급박한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그 죽음의 공포까지 느끼는 그 급박함은 도대체 뭐고 어디서부터 비롯되는 것일까. <힐러>나 <킬미 힐미> 그리고 <하이드 지킬 나> 같은 드라마들이 거의 모두 정신증을 다루고 있다는 건 흥미롭다. <힐러>의 영신은 일종의 공황장애 같은 걸 겪고 있고, <킬미 힐미>의 도현이나 <하이드 지킬 나>의 구서진(현빈)은 모두 다중인격 장애를 겪고 있다. 공황장애가 죽을 것 같은 고통이라면, 다중인격 장애는 자신의 정체성이 지워질 것 같은 공포감이다.
최근 들어 드라마에 등장하는 질환이 과거 같은 외과적 문제가 아니라 정신과적인 문제라는 점은 많은 걸 생각하게 한다. 이른바 ‘멘탈붕괴’의 시대다. 작년 한 해를 두고 봐도 우리는 너무 많은 사건 사고를 통해 아주 가까이서 죽음을 들여다봐야 했다. 게다가 그 죽음에 대해 무력하고 심지어는 무책임하기까지 했던 공권력의 부재를 보면서 그 사회적 불안감은 더 증폭될 수밖에 없었다.
물론 이들 드라마들이 모두 멜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한계는 있지만, 그래서 이렇게 죽음의 공포 앞에 놓여진 정신증의 문제들을 사회적이고 구조적인 문제해결이 아닌 개인적인 ‘사랑’으로 넘어서려는 한계를 보이고 있지만 그나마 힐링을 갈구하는 우리 사회의 단면을 드러낸다는 건 의미 있는 일이다.
정신증의 문제는 외과적 문제와는 그 치료의 접근방식에 있어서 근본적인 차이를 보인다. 외과적 문제는 병변을 적으로 간주해 제거하는 것으로 치료를 꾀하지만, 정신증은 그럴 수가 없다. 다중인격으로 드러난 또 다른 자아는 적이나 타인이 아니라 스스로 만들어낸 것이다. 나는 나와 싸울 수 없다. 그러니 함께 공존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것은 요즘처럼 적을 외부에서 발견하기보다는 우리 내부에서 발견하는 사회의 구조를 닮았다. 지금을 ‘정신증의 시대’라고 말하는 건 세상을 치유하는 방식으로서 외과적인 방식이 아닌 정신증적인 방식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 사회의 문제는 저 SBS드라마 <펀치>가 보여주는 것처럼 어디가 적이고 어디가 아군인지 전혀 알 수 없는 오리무중 상태라는 점이다. 좋은 내 편과 나쁜 적이 있는 게 아니라, 덜 나쁜 놈과 더 나쁜 놈이 있고, 그것도 영원히 유지되는 게 아니다. 때론 적과도 손을 잡는 그 비정한 세상에 남아있는 건 법과 정의 따위가 아니다. 법은 이미 권력을 잡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선량한 국민조차 그 과정에서는 희생자가 된다.
이것은 정신병증의 사회다. 우리는 한 가지 일관된 자아를 유지하고 산다기보다는 무한한 욕망 속에서 분열된다. 그 분열된 자아는 어쩌면 자신을 보호하려는 수단으로 우리 스스로 만들어낸 보호색일 것이다. 그리고 보호색을 갖지 못한 자는 알 수 없는 불안을 넘어서 죽을 것 같은 공포와 마주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아무런 도움도 테두리도 되어주지 못하는 국가나 법은 방관자이자 공범자가 된다.
지금 우리 대중문화를 뒤덮고 있는 ‘힐링’에 대한 새로운 갈증은 그래서 ‘킬링’하고 있는 현실의 암담함을 전제하고 있다. 누군가를 살려야할 이들이 오히려 그들을 죽음으로 몰아넣고 있고, 누군가를 지켜야할 이들이 오히려 그들을 더 힘겨운 현실 앞으로 내몰고 있다. 정작 여기서 말하는 ‘힐링’이란 저 <힐링캠프>가 가끔 보여주는 그런 사치스러운 고민 따위가 아니다. 그저 <삼시세끼> 걱정 없이 편하게 먹고 싶다는 것뿐이다. 도대체 어쩌다 이런 소박한 욕심조차 허락되지 않는 현실이 된 걸까.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성한 월드, 이 황당한 세계를 방치해도 될까 (1) | 2015.02.12 |
---|---|
임성한 작가, 어쩌다 MBC드라마의 얼굴이 됐을까 (3) | 2015.02.05 |
'펀치'의 삼시세끼는 왜 이렇게 다를까 (1) | 2015.01.29 |
'펀치'와 '강남1970', 김래원의 특별함은 뭘까 (1) | 2015.01.28 |
'힐러' 지창욱, 늘 기대이상을 보여주는 배우 (4) | 201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