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프린스 1호점’이란 커피의 중독성
커피. 카푸치노 에스프레소 정도는 되는 은은한 계피향이 섞인 커피, 아침이면 괜스레 한 잔 손에 들고 그 향을 음미하고 싶은. 와인. 깊은 맛의 보르도 클라렛이나 까다롭지만 우아한 부르고뉴 피노누아 정도 되는 와인, 시원스런 셔츠가 잘 어울리는 멋진 남자가 뒷짐에 숨겨 가져온. ‘커피 프린스 1호점’은 바로 그런 커피와 와인 같은 공간을 그려낸 드라마다. 그것은 모든 청춘들이, 아니 청춘을 꿈꾸는 이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담고 있는 곳이다.
그 곳은 일터이면서 일터가 아닌 놀이공간이고, 호통을 치지만 연인 같은 사장이 있는 곳이며, 아옹다옹하면서도 오랜 지기 같은 친구들이 있는 곳이다. 그들은 일을 하면서 놀고, 놀면서 일을 한다. 스트레스는 일에서 온다기보다는 연인 같고 친구 같은 관계들의 비틀어짐에서 온다. 카페는 파리를 날려도 그들은 멋진 폼으로 농구를 하고 시원스런 분수대로 뛰어든다. 일? 놀다보면 다 된다. 그러니 걱정말고 마음껏 꿈을 꾸라고 드라마는 말한다. 현실? 그런 건 머리 싸매고 쥐고 있기보다는 “몰라 몰라 어떻게 되겠지”하며 넘겨 버리라 한다. 왜? 청춘이 있으니까.
게다가 주인공 고은찬(윤은혜)은 남장여자다. 요즘 트렌드를 반영한 이 중성적 느낌의 주인공은 섹시함의 화신처럼 고혹적인 한유주(채정안)보다 어떤 면에서는 더 섹시한 느낌을 준다. 그것은 그 남자 같은 털털한 모습 속에 가녀린 여성의 눈물을 숨기며 보는 이들을 설레게 만들었던 저 ‘베르사이유의 장미’의 오스칼을 연상케 한다. 거기에는 묘한 신비주의가 섞인다. 윤은혜의 연기 논란을 잠재울만한 이 캐릭터는 지금 막 저 순정만화에서 빠져나온 듯 생생하다.
고은찬이 양다리를 걸치고 있는 두 남자 또한 갖고 싶은 꿈을(욕망이 아니라 꿈이다) 꾸게 하는 캐릭터다. 최한결(공유)은 어딘지 까칠하게 대하지만 순수한 느낌으로, 최한성(이선균)은 때론 날카로우면서 때론 편안한 어딘지 사는 맛을 알 것 같은 분위기로, 고은찬에 몰입된 시청자들을 꿈꾸게 한다. 최한결은 소년으로 최한성은 소녀로, 고은찬을 대한다는 설정은 이 드라마가 얼마나 중성적인 매력이 주는 재미를 잘 알고 있는가를 말해준다. 중성을 꿈꾸는 것은 우정 같은 안전한 거리감을 유지하면서 때론 그 선을 넘나들며 사랑을 하고픈 ‘질척거림 제로’의 로맨스를 꿈꾸기 때문이다.
‘커피 프린스 1호점’은 그래서 현실에선 좀체 불가능한 꿈 같은 공간을 그려낸다. 그 곳에는 트렌디 드라마에서 늘 다루는 빈부의 격차가 만들어내는 환타지는 보이지 않는다. 최한결은 말 그대로 왕자(프린스)지만 그렇다고 드라마는 그 왕자에 대한 신분상승의 욕망을 그려내진 않는다. 환타지가 끈적끈적한 욕망을 추구하는 대신, ‘커피 프린스 1호점’은 누구나 선망하고픈 꿈을 꾸게 만든다. 청춘들은 그 안에서 꿈틀대는 욕망이 아닌 편안한 흐뭇함을 느끼게 된다. 본래 이름이 ‘왕자다방’이었고 그 주인이 홍사장(김창완)이란 점은 이 드라마가 꾸는 꿈이 젊은 세대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걸 말해준다. 적어도 김창완이라면 30,40대의 중년이라도 기꺼이 젊은 시절의 꿈을 떠올리게 해줄 테니까.
이 모든 것들이 청춘을 꿈꾸게 하는 ‘커피 프린스 1호점’은 커피 같은 드라마다. 그 커피는 젊은 나날의 다방커피일 수도 있고, 뉴요커처럼 아침 출근 시간에 한 잔씩 사들고 들어가는 카푸치노일 수도 있다. 칼로리는 있지만 에너지를 위해 마시는 것도 아니고, 물론 맛에 취해 찾는 이들이 많지만 주로 어떤 정서나 분위기가 더 앞서는 이 기호식품을 앞에 두고 누구나 한번씩은 설렘을 가졌을 것이다. ‘커피 프린스 1호점’은 그 젊음이란 불가항력 속에서 때론 달콤하고 때론 씁쓸했던 커피 같은 청춘을 생각하며 미소짓게 만드는 드라마다. 그것이 마실수록 빠져드는 ‘커피 프린스 1호점’이란 커피의 중독성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침없는 그들이 하이킥 한 것 (0) | 2007.07.13 |
---|---|
짧지만 긴 여운, ‘그라운드 제로’ (0) | 2007.07.13 |
3사3색, 드라마 열전 (0) | 2007.07.10 |
마니아 드라마는 없다 (0) | 2007.07.06 |
‘쩐의 전쟁’, 참 잘했어요 (0) | 2007.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