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가면', 가면 쓴 수애에게 이토록 공감한다는 건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가면', 가면 쓴 수애에게 이토록 공감한다는 건

D.H.Jung 2015. 6. 6. 11:04
728x90

<가면>, 행복에 대한 갈망이 범죄로 이어질 때

 

자신의 결혼식 날 자신의 장례식을 보는 기분은 어떨까. SBS 수목드라마 <가면>은 변지숙(수애)이 서은하라는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룬다. 도플갱어, <왕자와 거지> 모티브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신데렐라 판타지를 범죄적으로 풀어낸 <리플리>의 이야기에 가깝다. 가난의 굴레를 벗어날 수 없는 변지숙은 그 절망의 끝자락에서 자신의 존재 대신 서은하라는 새로운 삶을 살기로 결심한다.

 

'가면(사진출처:SBS)'

그런데 이 서은하라는 인물의 삶이 수상하다. 겉보기에는 의원의 딸로 화려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 같지만 대기업 총수의 아들인 최민우(주지훈)와 정략결혼을 해야 하는 입장이다. 하지만 그들은 이러한 정략결혼을 마치 기업 간의 계약을 치르듯 해치우려 한다. 그러니 서은하의 삶을 통해 행복을 찾겠다고 결심 한 변지숙은 또 다른 가면을 쓰게 된 셈이다. 서은하라는 인물 자체가 가면의 삶을 살던 인물이니.

 

바로 서은하라는 가면을 쓴 변지숙의 선택은 <가면>이라는 드라마가 그저 그런 변형된 신데렐라 이야기로 흘러가지 않고 흥미로워지는 지점이다. 상견례를 하며 변지숙이 건네는 말에는 그녀의 행복에 대한 갈증을 담아낸다. “가면을 쓰면 결국 행복해질 수 없다, 사랑하지 않는 사람과 사랑하는 척 가면을 쓰고 살면 행복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난 사랑하며 살 거에요. 진심으로. 그렇게 행복하게 살고 싶어요. 우리 가족들 행복하게. 그렇게만 된다면 더는 바라는거 없어요.”

 

이것은 그녀의 진심이다. 서은하라는 가면을 썼지만 변지숙의 진심을 드러낸 것. 그렇게 다가오는 변지숙에게서 최민우는 낯선 감정을 느끼게 된다. 그는 결혼식장에 오면 죽이겠다며 변지숙에게 으름장을 놓지만 결혼식장을 찾아온 그녀는 그의 허물까지 덮으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수영장에서 있었던 일은 우리 이렇게 말해요. 내가 그냥 미끄러져서 빠졌다고. 민우씨는 아무 상관없다고. 우리 이제 부부잖아요. 가족이잖아요. 가족끼린 같은 편이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무슨 짓을 저질렀더라도.”

 

변지숙은 서은하라는 가면을 썼지만 그럼으로써 서은하가 살아온 가면의 삶을 벗어버리려 한다. 그것은 그녀가 가짜 행복이 아니라 진짜 행복을 원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최민우도 마찬가지다. 그는 재산을 노리는 주변 인물들 때문에 정신병자라는 가면의 족쇄가 채워진 채 살아간다. 하지만 아마도 변지숙은 최민우의 가면 또한 깨버릴 것으로 보인다. 그것 역시 진정한 행복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가면>은 이중으로 얽혀진 가면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가난한 삶은 가면이라도 쓰고 새로운 삶을 살기로 욕망한다. 그것이 비록 범죄적인 변신이라고 하더라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부자의 삶 역시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건 마찬가지다. 진심을 속이고 정략적으로 살아가는 그들은 진짜 삶을 욕망한다. 이러한 다층적인 맥락은 <가면>을 그저 그런 변신 욕망을 다룬 단순한 이야기 그 이상으로 만들어주는 이유다.

 

<가면>은 그래서 이렇게 범죄를 통한 거짓의 삶이라고 하더라도 행복해지기를 갈망하는 변지숙이라는 인물에 대해 공감을 갖게 된다. 그녀의 선택은 그만큼 절망적이었던 그녀의 삶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다. 그녀는 그저 행복해지기를 바랐을 뿐이다. 하지만 과연 그녀는 진정으로 행복해질 수 있을까. 행복해진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가면의 삶이라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어쨌든 자신의 진짜 존재를 지워내고 산다는 건 불행일 수밖에 없다.

 

사실 변지숙의 욕망은 우리네 서민들이 모두 갖고 있을 법한 변신 욕망이다. 변신하고 싶고 성장하고 싶은 욕구는 잘못된 일이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하루하루를 노력하며 다른 미래를 희망하지 않던가. 하지만 그 변신 욕망이 범죄에 닿아있다는 건 그 사회가 얼마나 성장 혹은 변신의 사다리가 끊겨 있는가를 에둘러 말해주는 일이다. <가면>의 변지숙이 앞으로 겪을 그 많은 일들의 밑바닥에는 이처럼 정상적인 성장을 이뤄주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절망감이 깔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