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아무 것도 안하는 '삼시세끼'에 열광한다는 건 본문

옛글들/명랑TV

아무 것도 안하는 '삼시세끼'에 열광한다는 건

D.H.Jung 2015. 6. 14. 08:16
728x90

직장인들에게 특히 <삼시세끼>가 주는 로망이란

 

하루쯤 아무 것도 안하고 저런 산골에 푹 파묻혀 삼시세끼나 챙겨먹으면 얼마나 좋을까.’ 나영석 PD는 과거 회의를 하다가 문득 떠오른 이런 생각에 <삼시세끼>를 만들게 됐다고 한다. 그리고 이 마음은 아마도 지금 현재 직장인들에게도 하나의 로망처럼 다가오는 일일 것이다. 일주일 내내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는 아빠들이나 워킹맘들은 그래서 <삼시세끼>를 본다. 거기에는 일조차 즐거움이 되는 시간이 있으니까.

 

'삼시세끼(사진출처:tvN)'

나영석 PD는 이 <삼시세끼>에서 유일하게 업무지시를 내리는 상사다. 그런데 그 업무라는 게 고작 점심으로 다슬기 비빔국수를 해먹으라는 거다. 물론 이 정도의 업무에도 이서진은 툴툴거린다. 때론 쓸 데 없는 짓을 하고 있다고 그러기도 하고 때론 자꾸 이상한 걸 시켜?”라고 상사(?)를 질책하기도 한다.

 

그런데도 이서진은 앞장서서 다슬기를 잡으러 개울로 나서고, 의외로 열심히 그 일에 빠져든다. 그건 사실 일이 아니다. 김광규는 흐르는 개울물에 웃통을 벗고 뛰어들어 다슬기를 잡지만 그건 미역 감는 일이나 마찬가지. 시청자들조차 그 장면에서 시원함이 느껴진다. 그리고 그렇게 물 속에 몸을 담글 때마다 한 웅큼씩 다슬기가 올라온다. 물놀이가 진짜고 일은 덤이다.

 

직장에서의 일을 떠올려보자. 하기 싫은 일을 정해진 시간 안에 해야 한다. 못하면 퇴근 시간이고 뭐고 늦게까지 남아서라도 업무를 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일이라는 게 나와는 무슨 상관이 있는지를 도통 모르는 경우가 많다. 회사에는 분명 이득이 되는 일일 것이다. 그래서 가끔씩은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 내가 왜 이렇게 늦게까지 앉아 일을 하고 있지?

 

하지만 정선의 <삼시세끼> 집에서는 그 일을 서두르는 법이 없다. 오후 네 시가 다 되어 나영석 상사가 지시한 다슬기 비빔국수를 만들어 먹게 되도 그러려니 한다. 게다가 이 일은 온전히 자기 자신을 위한 것이다. 맛좋은 비빔국수를 허기를 반찬으로 먹을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을까. 회사의 업무를 떠올리는 직장인들이 <삼시세끼>라는 세계에 빠져들 수밖에 없는 이유다.

 

<삼시세끼>라는 일터(?)의 인간관계라는 것은 괜히 택연이 좋은 지성이 그 같은 동생이 갖고 싶다고 말하고, 상사인 나영석 PD가 그럼 택연과 이서진을 1+1;으로 싸가라고 하는 관계다. 직장 내에서 이른바 정치라는 것을 느껴본 직장인들이라면 이들의 이 따뜻하고 즐겁기 이를 데 없는 관계를 보며 어떤 기분을 갖게 될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이들이 하는 삼시세끼 밥을 챙겨먹는 일은 그래서 건강하고 즐겁다. 굳이 양봉을 하기 위해 벌통을 갖다 놓으면 우리가 그냥 회사 일도 번 돈으로 꿀을 사먹는 것보다 더 건강하고 즐거운 꿀을 먹을 수 있다. 그 벌통의 꿀은 동네 곳곳에 피어난 꽃들이 제공한 것이니 얼마나 기분 좋은 일이겠는가.

 

그들이 하는 건 놀이고 우리들이 하는 건 일이라고? 맞는 말이다. 하지만 우리가 늘상 입에 달고 다니듯 하는 말처럼, 그들이 하는 일이나 우리가 하는 일이나 매한가지는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일이다. 죽어라 일을 하는 우리라고 해서 하루 네 끼를 먹는 건 아니지 않은가. 이 아무 것도 아닌 단순한 진리. 이것은 어쩌면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 같은 <삼시세끼>에 우리가 열광하는 이유일 것이다.

 

그러니 저 나영석 PD가 과중한 업무 속에서 떠올렸다가 후에 실제로 프로그램으로 만들어낸 것처럼, 가끔은 일을 훌훌 벗어버리고 아무 것도 하지 않은 채 삼시세끼 챙겨먹는 일을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의외로 우리의 삶을 새롭게 바라보게 해주는 힘이 있을 지도 모를 일이다. 우리가 이 단순한 삶에 이토록 열광한다는 것은 분명 우리가 살고 있는 삶에 어떤 갈증이 분명 있다는 얘기일 것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