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기미작가에 초딩작가까지, '마리텔' 열광의 숨은 비밀 본문

옛글들/명랑TV

기미작가에 초딩작가까지, '마리텔' 열광의 숨은 비밀

D.H.Jung 2015. 6. 22. 09:06
728x90

소통과 참여의 용광로, <마리텔>의 인기 비결

 

기미작가에 이어 이젠 초딩작가다? ‘초딩작가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야유회 버전 방송 대결에서 새롭게 참여한 일루셔니스트 이은결이 미녀 도우미로 쓴 막내작가의 캐릭터다. 이은결이 키가 초딩이라고 소개한 이 막내작가는 억지로 끌려나와 목을 몸과 분리된 것처럼 빙빙 돌리는 모습을 보여줘 보는 이들을 폭소케 만들었다. 단 몇 초의 등장일 뿐이었지만 그 존재감은 여느 출연자 못지않은 반응으로 이어졌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사진출처:MBC)'

이런 반응은 이미 백종원 셰프의 음식을 맛보는 인물로 등장했던 기미작가에게서도 발견됐던 일이다. 음식을 맛보고 그 놀라운 맛에 동공이 커지며 엄지를 치켜세우는 그 특유의 동작은 프로그램의 과장된 편집을 통해 캐릭터화 되면서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이 날 야유회 버전 방송에서 백종원은 기미작가가 광고제의를 받았다는 사실을 알려주기도 했다.

 

기미작가와 초딩작가. 이밖에도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는 극한직업 PD’로 불리는 PD의 존재감도 상당한 지분을 갖고 있다. 예정화 코치와 기묘한 커플 요가 자세를 선보이고, 안 되는 굳은 몸을 억지로 펴는 고통을 감수하는 이 PD극한직접 PD’라는 캐릭터로 자리했다. 다시 돌아온 예정화 코치가 이 PD와 인사를 나누는 장면은 그래서 그 날 방송에서는 또 어떤 고통을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기대감을 만들기도 했다.

 

이들은 분명 <마이 리틀 텔레비전>의 주인공들은 아니다. 단 몇 초 등장해 잠깐 맛을 보거나 보조를 해주는 역할을 할뿐이다. 그런데 왜 이토록 이들의 존재감은 웬만한 게스트들보다 더 주목받을까. 바로 여기에 <마이 리틀 텔레비전>의 비밀이 숨겨져 있다. 그것은 이 프로그램이 소통과 참여라는 보이지 않는 두 축의 힘이 열광의 진원지로 자리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은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네티즌들의 반응과 그 리액션이 가장 중요한 방송이다. 백종원이나 이은결, 예정화 같은 메인 출연자들이 보여주는 방송 콘텐츠가 반이라면 그 콘텐츠를 보는 네티즌들의 리액션이 나머지 반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짧은 한 줄로 올라오는 네티즌들의 댓글은 기발하기 이를 데 없고 때로는 출연자들의 콘텐츠보다 더 큰 웃음을 선사하기도 한다.

 

예정화 코치가 아이유의 좋은 날을 키를 낮춰 부르자 흐린 날’, ‘경상도 민요’, ‘고막아 미안해같은 댓글들이 따라붙는다. 워낙 노래를 못하자 카메라맨이 투입되고 현란한 카메라 워크가 보여지자 붙는 카메라맨 재능낭비, ‘고막에 근육생김’, ‘첫 운동 고막 강화운동같은 댓글들은 방송 장면 위에 덧붙여지며 입체적인 웃음을 만들어낸다.

 

야유회에 어울리는 음식을 물어보는 백종원에게 캠핑엔 역시 남의 살이라는 댓글이 붙고, 설탕을 많이 넣는다는 지적에 대해 백종원이 자가 붙은 건 다 설탕으로 만든 것이라는 걸 설명하며, “매실에 넣으면 매실청. 포도에 녹이면 포도청(?)”이라고 하자 붙는 마음에 녹이면 심청...’이라는 댓글은 이 프로그램에서 댓글이 가진 웃음의 지분이 얼마나 큰 가를 잘 보여준다.

 

결국 댓글이 이렇게 방송 출연자들과 어우러지는 그 소통과 참여의 현장은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 가진 진짜 힘이다. 방송은 출연자들만이 만들어내는 게 아니다. 이제는 방송인들과 그걸 보는 시청자들이 함께 만들어간다는 걸 <마이 리틀 텔레비전>은 방송 화면을 통해 보여준다.

 

이 관점으로 보면 왜 기미작가나 초딩작가 그리고 극한직업 PD가 그렇게 짧은 순간 등장하고도 강렬한 존재감을 만드는 지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은 사실상 저 일반인들의 댓글 참여와 비슷한 차원으로 방송에 들어가는 것이다. 기미작가는 댓글의 리액션 같은 것을 실제로 보여주는 인물이고, 초딩작가는 댓글이 주는 보조적인 역할을 그대로 해주는 인물이다. 또 극한직업 PD는 네티즌들이 가진 로망(?)과 따라잡기 힘든 고통을 동시에 대변해 보여준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 작게 시작한 듯 보여도 그 파괴력이 커진 것은 이처럼 출연자와 제작진의 소소한 접근처럼 보이는 작은 창들이 저 무한하게 열려진 소통과 참여의 장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국 프로그램을 키우는 건 규모 그 자체가 아니다. 더 중요한 건 많은 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의 성공은 그걸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