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가는 유재석, tvN 가는 강호동
유재석이 FNC와 전속계약을 맺었다. 많은 이들이 궁금해 한다. 1인 기획사로 잘 해오고 있던 그가 왜 기획사와 손을 잡았을까. 혹자는 이것이 순전히 돈의 논리에 의한 것이 아니냐고 말한다. 하지만 최근 대중문화계 전반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흐름들을 들여다보면 그가 왜 1인 기획사를 유지하지 않고 좀 더 큰 기획사와 계약을 했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사진출처:SBS)'
한때 그와 쌍벽을 이뤘던 강호동은 일찌감치 SM C&C와 전속계약을 했다. ‘보다 체계적인 매니지먼트’가 필요했다고 한다. 물론 그는 다시 예능으로 복귀하면서 그 연착륙을 하기 위해 기획사의 지원이 절실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큰 틀에서 바라보면 일찌감치 시작된 방송 콘텐츠 산업의 변화가 더 중요했을 것이다.
방송사를 중심으로 하던 콘텐츠 비즈니스는 언젠가부터 콘텐츠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SM C&C가 매니지먼트 사업에서 콘텐츠 프로듀싱 사업으로 확장을 꿈꾼 건 그래서다. 방송사들은 과거 몇몇 스타 MC들을 섭외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의 성패를 다퉜다. 리얼 버라이어티쇼 트렌드 속에서 강호동과 유재석이 쌍두마차를 끌었던 건 당시의 상황을 잘 말해준다. 스타 MC들만 쥐고 있으면 지상파들은 그것만으로도 압도적인 시청률을 거둬가곤 했다.
하지만 상황이 바뀌었다. 복귀한 강호동은 투입되는 프로그램마다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그것은 유재석도 마찬가지다. 유재석은 기존 프로그램들인 <무한도전>과 <런닝맨> 정도에서 지속적인 힘을 발휘했지만 그 역시 <나는 남자다> 같은 프로그램을 성공으로 이끌지는 못했다. 스타 MC를 쥔 지상파가 헤게모니를 장악하던 시대는 그렇게 조금씩 지나갔다.
지금은 방송사로 대변되는 플랫폼 중심에서 콘텐츠 중심으로 재편되는 과정에 있다. 여기서 새로이 떠오르는 이들은 스타 MC가 아니라 제작진이다. 나영석 PD나 김태호 PD 같은 제작진은 이제 콘텐츠 중심의 시대에 주역으로 떠오른다. <삼시세끼>가 성공한 것은 출연자들 때문이 아니다. 똑같은 아이템을 다른 PD에게 맡겼다고 생각해보라. 과연 <삼시세끼> 같은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까. <무한도전>에서 김태호 PD를 빼놓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 얘기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을 성공시킨 건 몇몇 스타 출연자들 때문이 아니다. 그것은 박진경, 이재석 같은 젊고 감각적인 PD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JTBC가 <썰전>에서부터 <비정상회담>, <냉장고를 부탁해> 같은 일련의 예능들을 성공시킬 수 있었던 것도 마찬가지다. 그것은 플랫폼의 힘 때문이 아니라 맨 파워였다. 맨 파워는 거꾸로 플랫폼에 힘을 실어주었다.
유재석이 FNC와 전속계약 체결을 하기 몇 달 전 JTBC에서 프로그램을 할 거라는 소식은 그가 지금의 예능 판세를 정확히 읽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지금은 콘텐츠가 더 중요하다. 그러니 콘텐츠를 잘 만드는 맨 파워가 있다면 플랫폼, 즉 방송사는 지상파든 종편이든 케이블이든 중요한 일이 아니다. 유재석은 JTBC라는 플랫폼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거기 소속된 유능한 PD들과 그들의 콘텐츠 제작능력을 선택한 것이다.
이런 흐름에서 보면 나영석 PD가 강호동, 이승기는 물론이고 과거 <1박2일>의 얼굴들이었던 인물들을 끌어 모아 <신서유기>를 준비 중이라는 사실은 대단히 상징적으로 다가온다. 그것은 과거처럼 강호동을 끌어와 그에 맞는 프로그램을 기획하라며 내려온 오더를 PD들이 수행하던 지상파의 흐름과는 사뭇 다르다. 오히려 나영석 PD가 중심에 있고 그가 기획하는 콘텐츠 속에 강호동과 이승기를 끌어 모은 형국이다. 콘텐츠가 우선이고 그걸 제작하는 PD가 중심이다. <1박2일>이 과거 지상파의 플랫폼 우위를 보여줄 수 있는(지금도 어느 정도는 그 영향력이 있다) 프로그램이었다면, <신서유기>는 이제 플랫폼과 상관없이 콘텐츠의 힘을 보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보인다.
흥미로운 건 유재석도 강호동도 이제는 지상파에만 스스로 묶어놓았던 족쇄를 풀었다는 점이다. 지상파건 비지상파건 상관없는 상황에서 그들이 비지상파쪽으로 모두 고개를 돌리고 있다는 건 의미심장하다. 이미 지상파에서 유능한 제작능력을 보였던 PD들은 상당부분 JTBC와 tvN으로 옮겨갔다. 이명한 PD를 주축으로 나영석, 신원호, 신효정, 고민구 같은 PD들이 tvN으로 옮겨 맹활약하고 있고, 김시규 PD를 중심으로 여운혁 PD, 임정아 같은 PD들이 JTBC 예능의 승승장구를 이끌고 있다.
결국 콘텐츠 중심주의의 흐름에서 가장 중요한 건 맨 파워다. 지상파는 이미 상당한 맨 파워를 비지상파쪽에 빼앗긴 상태다. 유재석도 강호동도 비지상파로 행보를 넓히고 있는 건 그래서다. 그렇다면 이런 맥락에서 유재석의 FNC 전속 계약의 의미를 재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스타 MC 중심으로 흘러가던 시절에야 1인 기획사를 해도 괜찮았을 것이다. 하지만 콘텐츠 중심으로 재편된 지금의 흐름에서는 혼자 서 있는 건 외로울 수밖에 없다. 강호동이 얘기했듯이 좀 더 체계적인 매니지먼트가 필요해진다.
콘텐츠는 혼자 하는 작업이 아니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협업이 필요하다. 또 콘텐츠가 지향하는 건 국내만이 아니다. 유재석의 전속 계약은 그래서 지상파와 비지상파를 나누던 플랫폼 시대에 누리던 스타 MC들의 지위가 이제는 콘텐츠 속에서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절실한 이야기를 전해주고 있다. 만일 지금처럼 지상파가 콘텐츠를 리드해나가지 못한다면 제작진은 물론이고 출연자까지 더 많은 엑소더스는 불을 보듯 뻔한 일이 될 것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도'와 '마리텔', 혁오와 김영만에 열광하는 까닭 (0) | 2015.07.20 |
---|---|
'삼시세끼', 꿀벌 치타의 눈으로 보는 야생화들이란 (0) | 2015.07.19 |
MBC 예능 펄펄 나는데, SBS는 왜? (1) | 2015.07.16 |
성자 샘킴과 대가 이연복, 그들이 사랑받는 까닭 (0) | 2015.07.15 |
'마리텔' 김영만, 세상은 넓고 숨은 고수들도 넘친다 (0) | 201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