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라스트', 이 밑바닥정서에서 느껴지는 씁쓸함이란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라스트', 이 밑바닥정서에서 느껴지는 씁쓸함이란

D.H.Jung 2015. 8. 23. 11:32
728x90

<라스트>가 해부하고 있는 시스템의 밑바닥

 

수 백 억씩 주무르던 펀드매니저가 하루 아침에 노숙자 신세가 된다면 어떤 기분일까. JTBC <라스트>는 이른바 작전 주식을 쥐고 흔들던 장태호(윤계상)가 오히려 누군가 주도한 역작전에 걸려 밑바닥으로 떨어지는 장면에서부터 시작한다. 책상머리에서 숫자로만 수 십 억씩 봐온 돈은 별다른 감흥을 주지 않지만, 막상 노숙자 신세가 되어보니 단 몇 천 원이 아쉽다. 배고픔은 밥 한 끼에 영혼이라도 팔 수 있을 것 같은 처절함을 안겨준다.

 


'라스트(사진출처:JTBC)'

그런데 이 <라스트>가 그리고 있는 밑바닥의 풍경이 심상찮다. 거기에는 노숙자들 위에 군림하는 지하 경제 시스템이 있다. 그 시스템의 맨 꼭대기에 있는 곽흥삼(이범수)은 길거리 맨 밑바닥에서부터 시작해 지금은 펜트하우스에서 지내며 100억 규모의 지하 경제를 움직인다. 넘버1 곽흥삼부터 넘버7까지 서열로 이뤄진 시스템은 위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파티라고 불리는 대결에서 이겨야 한다. ‘파티에서 지면 그 패배자의 몸은 공장으로 가서 해체되는 최후를 맞이한다.

 

살벌한 시스템이지만 이 구조는 다름 아닌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의 시스템 그대로다. 태생으로 결정되는 일종의 사회적 서열 구조는 그 한 단계를 뛰어넘기 위해 사력을 다해야 한다. 그게 아니라면 자신의 서열 위치에서 윗 서열을 위해 열심히 봉사해야 한다. 그것이 시스템에서 생존하는 길이다. 그리고 그 넘버 1은 마치 맨 꼭대기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 위에 보이지 않는 또 다른 윗 서열들이 숨겨져 있다. 밑바닥은 그것이 주먹의 논리로 돌아가지만 윗 세상은 자본의 논리로 움직인다.

 

<라스트>가 그리고 있는 건 장태호라는 인물을 통한 이 시스템의 모험이다. 맨 밑바닥으로 떨어져 한 단계씩 위로 올라가며 알게 되는 시스템의 생리들. 저 위에서 펀드 매니저로 있을 때만 해도 잘 몰랐던 시스템의 구조를 온 몸으로 겪으며 체험해가는 것이 이 드라마가 하려는 이야기다. 장태호는 그래서 서울역 노숙자들의 세상으로 내려와 거기 길거리를 전전하는 이들의 삶을 조금씩 알아간다. 또 신나라(서예지) 같은 길거리의 천사가 어떻게 그 시스템 바깥으로 나와 노숙자들을 돕는 삶을 살아가는지를 목도하게 된다. 길거리에 버려져 죽을 뻔 했던 삶에 내밀어준 누군가의 손길을 이제는 그녀가 내밀며 살아가게 된 것.

 

흥미로운 건 <라스트>의 밑바닥 시스템 안에 살아가는 인물들은 그 서열이 어떻든 결코 행복해보이지가 않는다는 점이다. 장태호가 제끼려고 하는 넘버1 곽흥삼 역시 때때로 쓸쓸한 어깨를 드러내준다. 과거 그가 살아왔던 어두운 삶에서 그가 잔혹해진 건 어찌 보면 시스템에서 생존하기 위한 몸부림처럼 다가온다. 서로 대결하는 것처럼 보여도 한 때는 곽흥삼이나 넘버 2 류종구(박원상)나 서로 의리로 뭉쳐 있던 인물들이다. 그들은 내색은 안 해도 서로 위기에 처했을 때 몸을 사리지 않고 서로를 도우려고 한다.

 

즉 이들의 밑바닥 삶은 그 서열로서 서로 치열하게 싸우고 있지만 그 누구도 행복하지 않다는 점이다. 그런데 이들의 피땀으로 적셔진 생존이 거대한 지하경제를 만들고 그것이 저 지상의 삶을 사는 상류층의 삶들에 이익으로 상납되고 있다는 건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이 어떻게 구획되어 있는가를 잘 말해준다. 즉 저들의 밑바닥이 누군가의 호화로운 삶의 토대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시스템의 부조리는 그래서 밑바닥들이 그 부조리한 시스템과 대적하기보다는 그들끼리의 살기 위한 경쟁을 부추긴다는 점이다.

 

장태호의 모험은 그 시스템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위의 세계와 밑바닥의 세계를 모두 들여다본 자로서의 장태호는 그 부조리한 관계를 아는 인물이다. 그들을 비참하게 만든 건 저 바깥에 있는데 그들끼리 파티라는 이름으로 생존경쟁을 하는 그 광경들이 씁쓸하게 여겨지는 건 그래서다. <라스트>가 액션 느아르 같은 장르적 성격을 보여주면서도 그 안에 어떤 쓸쓸한 밑바닥 정서를 담고 있는 건 이것이 우리 현실의 일단을 해부하듯 잘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