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MBC 사극, SBS 사회극에 밀려버린 까닭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MBC 사극, SBS 사회극에 밀려버린 까닭

D.H.Jung 2015. 9. 9. 10:14
728x90

비현실적인 사극보다 현실 같은 사회극

 

<용팔이><미세스캅>은 주중 드라마의 쌍두마차가 되었다. 월화드라마 <미세스캅>은 심지어 사극인 <화정>을 밀어내고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달리고 있고, 수목드라마 <용팔이> 역시 20%에 육박하는 시청률로 역시 사극인 <밤을 걷는 선비>에 대한 화제조차 덮어버렸다. 전통적으로 사극에 강했던 MBC드라마가 사회극적인 요소가 강한 SBS드라마들에 밀려버렸다는 건 여러 가지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미세스캅(사진출처:SBS)'

그 첫 번째는 MBC 사극이 너무 지나치게 허구로 흘러가고 있다는 점이다. <화정>은 초반만 해도 여러 인물들이 저마다의 관점을 드러낸다는 측면에서 그 새로운 시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다. 하지만 정명공주(이연희)를 중심으로 세워 꾸려나가는 이야기에 근본적인 허점들이 드러나면서 이야기는 역사의 재해석을 넘어서 버렸다. 심지어 너무 심한 역사왜곡이라는 비판까지 나왔다.

 

사실 사극에서 역사 왜곡의 문제는 이제 사극이 역사보다는 극에 더 중점을 두게 되면서 조금은 지나버린 구닥다리 논란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최근 들어 사극은 다시 역사로 되돌아오는 느낌이다. 지나친 상상력의 개입은 그것이 역사와는 무관한 허구처럼 느껴지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한때 고개를 숙였던 KBS 사극이 <정도전><징비록>을 통해 재조명된 건 이런 허구화되어가는 사극에 대한 반작용을 잘 말해준다.

 

<밤을 걷는 선비>는 아예 판타지다. 웹툰 원작의 이 작품은 사극과 뱀파이어물을 섞어 놓은 작품. 나쁘지 않은 시도라고 여겨질 수 있지만 지상파 드라마로서는 기획 단계에서부터 어느 정도는 실패요소를 안고 시작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즉 사극에 대한 충성도 높은 중장년 시청층과 뱀파이어물이 갖는 젊은 세대의 시청층이 상승효과를 내기보다는 오히려 너무 집중력을 분산시킨 작품처럼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런 점은 왜 유독 지상파에서 시도된 뱀파이어물들이 모두 실패했는가를 잘 말해준다. 즉 뱀파이어물은 웹툰에는 잘 맞는 장르인지는 몰라도 지상파의 본방 시청 패턴하고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이다. 게다가 현실성을 벗어나 판타지로 가는 이야기에 시청자들의 시선을 잘 가지 않는다. 물론 이준기 혼자 북치고 장구 치며 극을 끌고 나가고는 있지만 그 판타지가 현실과 무슨 상관이 있는지 시청자들은 찾기가 어렵다.

 

반면 SBS<미세스캅><용팔이>를 통해 들고 나온 건 사회극이다. <미세스캅>은 자본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부조리한 사회에 정의의 문제를 제기하는 작품이다. 전통적으로 형사물은 장르적 특성상 잘 안 된다는 불문율이 있지만 이 작품은 최영진(김희애)이라는 아줌마 형사 캐릭터를 중심에 세움으로써 중장년 남녀 시청자들을 모두 끌어 모았다. 무엇보다 최근 대중들의 관심사일 수밖에 없는 재벌의 문제나, 치안, 불공정한 정의의 문제에 내포된 현실을 상기시키는 정서가 이 드라마에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

 

<용팔이> 역시 마찬가지다. 의학드라마의 틀을 갖고 있지만 그 바탕은 사회극의 정서를 깔고 있다. VIP 병동과 일반 병동 사이에 느껴지는 갑을 정서는 이 드라마가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가장 중요한 설정이다. 속물 의사처럼 가장된 휴머니스트 김태현(주원)이 이 거대 자본과 맞서 생명을 구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모습이 한편으로는 짠하고 한편으로는 공분을 일으키며 시청자들을 몰입시킨다.

 

물론 <미세스캅>이나 <용팔이>의 스토리가 현실적이라고 말하는 건 아니다. 그것 역시 판타지를 자극하는 허구적 요소들이 들어 있다. 하지만 중요한 건 거기에 깔려 있는 현실을 환기시키는 정서들이다. 이 정서들은 <미세스캅><용팔이>의 허구적인 이야기가 우리네 현실을 표징한다는 느낌을 만들어낸다. 현실과 무관하게 흘러가는 듯한 <화정><밤을 걷는 선비>와는 확연한 차이다.

 

한때 잘 나가던 MBC 사극이 SBS 사회극들에 밀려버렸다는 사실은 거꾸로 우리네 서민들이 느끼는 현실에 대한 갈증을 말해주기도 한다. 하루하루가 팍팍한 삶에 우리와 무관한 저들의 이야기에 관심을 둘 여유조차 느끼기 어려운 것이다. 그래도 우리 현실을 확인할 수 있고, 그 안에서 판타지를 통해서나마 어떤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는 사회극에 몰입하고 있다는 것. 그래서 그 사회극 속에는 지금 현실을 살아가는 서민들의 좌절과 분노가 뒤엉켜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