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그녀는'부터 '치인트'까지, 멜로의 이유있는 부활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그녀는'부터 '치인트'까지, 멜로의 이유있는 부활

D.H.Jung 2016. 1. 15. 08:51
728x90

한 물 간 줄 알았던 멜로, 어떻게 대세가 됐나

 

멜로의 부활이 심상찮다. 최근 tvN에서 방영되고 있는 <치즈 인 더 트랩>은 케이블 채널로서는 이례적으로 매회 시청률이 상승해 겨우 4회만에 6%에 육박하는 시청률을 냈다. 새로 시작한 KBS <무림학교>보다도 높은 시청률 수치다. <무림학교>는 무협과 학원물을 퓨전한 장르물로서 애초에 기대가 높았지만 완성도의 부실을 드러내며 첫 회에 5.1%(닐슨 코리아)를 기록하더니 자신 있다던 2회에서는 아예 4%로 내려앉았다.

 


'치즈 인 더 트랩(사진출처:tvN)'

멜로는 한 물 갔다? 최근 몇 년 간 멜로라는 단일 장르로서는 그리 선전한 작품이 많지 않다. 물론 지상파 드라마에서 멜로가 빠진 드라마를 찾기는 어려웠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다른 장르와 결합된 형태였기 때문에 힘을 발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의 사정은 확실히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작년 말 MBC <그녀는 예뻤다>가 보인 기록은 실로 놀라웠다. 첫 회 4.8%로 시작했던 이 드라마는 매회 시청률을 경신하더니 최고 18%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종영했다.

 

올해 초 KBS <오 마이 비너스>가 보인 기록도 놀라운 일이었다. 너무나 전형적인 멜로드라마로서 쉽지 않을 것이라 여겨졌지만 이 드라마는 줄곧 8,9%의 시청률을 유지하며 괜찮은 성적을 냈다. 물론 이야기가 좀 더 신선했다면 더 좋은 결과가 나왔을 것이지만 소지섭과 신민아가 보여주는 달달한 멜로는 시청자들의 시선을 쏙 빼앗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그 흐름은 이제 <치즈 인 더 트랩>으로 이어지고 있다. 4회에 이 정도의 기록을 내고 있으니 잘 하면 두 자릿수까지 넘볼만하다는 이야기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그럴만한 것이 스토리면 스토리, 연출이면 연출 게다가 원작 싱크로율의 논란까지 잠재워버린 박해진과 김고은의 연기까지 더해져 벌써부터 월요병을 치유해준 드라마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도대체 무엇이 달라진 걸까. 온전한 멜로드라마의 부활은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사실 엄밀히 말하면 이들 드라마들이 과거의 멜로드라마와 달리 현실적인 사안들을 더 리얼하게 끌어안고 있는 건 분명해 보인다. 즉 신데렐라 여주인공에 왕자님 남주인공이 나오던 그저 그런 성장 멜로는 더 이상 시청자들의 시선을 잡아끌지 못한다. 그것이 지금 보기에 너무 비현실적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도대체 성장의 사다리가 끊겨버린 마당에, 게다가 재벌2세들은 왕자님이 아니라 부정적인 갑질의 주인공으로 자주 등장하기도 하는 지금 이런 구도는 비현실을 넘어서 정서적으로도 공감 받지 못하는 것일 게다.

 

하지만 <그녀는 예뻤다>는 물론이고 <치즈 인 더 트랩>의 멜로 구도는 확실히 다르다. 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여주인공은 그저 신데렐라가 아니라 더 치열하게 현실에서 뛰는 미생에 가깝다. <그녀는 예뻤다>의 김혜진(황정음)이 그렇고 <치즈 인 더 트랩>의 홍설(김고은)이 그렇다. 그들은 연애라는 것 자체가 배부른 일이라고 생각한다. 당장 생계를 걱정해야 하고 장학금을 받지 못하면 학교 등록금을 벌기 위해 방학도 반납하고 아르바이트를 전전해야 한다.

 

이러한 공감 가는 현실 바탕이 깔려 있기 때문에 그 위에서 벌어지는 사랑이야기에 더욱 몰입하게 된다. 물론 남자 주인공들도 과거의 왕자님과는 궤를 달리한다. <그녀는 예뻤다>의 지성준(박서준)은 본인의 노력으로 그 자리에까지 올라간 인물이다. 그들의 멜로에는 빈부 차이가 만들어내는(특히 남자주인공이 여자주인공을 백화점에 데려가 옷을 사주는 시퀀스로 자주 나오는) 갖는 막연한 판타지가 없다.

 

<치즈 인 더 트랩>의 유정(박해진)은 집안, 외모, 학벌 뭐 하나 빠지는 게 없는 인물이지만 그 조건이 그의 판타지를 만드는 이유는 아니다. 오히려 그것보다는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그 미스테리한 모습이 그의 진짜 판타지다. 결국 최근의 멜로드라마가 추구하는 건 막연한 판타지라기보다는 여주인공의 현실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한 판타지라는 점이다.

 

그러고 보면 멜로드라마가 추락했던 건 그 장르가 가진 근본적인 한계가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비슷한 공식과 캐릭터들을 버무려 냈던 그 매너리즘이 한계였을 뿐. 새로운 공감 가는 캐릭터와 그 캐릭터가 처한 공감 가는 현실이 멜로와 엮어질 때 그것은 또 하나의 가능성이 될 수 있다는 걸 작금의 멜로드라마들은 보여주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