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응팔'의 성공으로부터 지상파가 배워야할 것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응팔'의 성공으로부터 지상파가 배워야할 것

D.H.Jung 2016. 1. 19. 08:06
728x90

지상파 프리미엄은 옛말, 새로움에 시청자는 끌린다

 

18.8%(닐슨 코리아). 요즘 지상파에서도 이런 시청률은 드물다. tvN <응답하라1988>이 낸 성적표는 이 드라마가 거의 신드롬에 가까웠다는 걸 말해준다. 엔딩에 대한 논란이 불거져 나왔지만 그렇다고 이 드라마가 해놓은 공적까지 지워질 수는 없는 일이다. 이 드라마의 신드롬이 지상파 드라마들에 시사 하는 바는 분명하기 때문이다.

 


'응답하라1988(사진출처:tvN)'

지상파 월화드라마의 성적을 보자. 웰메이드 사극 SBS <육룡이 나르샤>15.8% 시청률에 머물고 있고, MBC <화려한 유혹>12.7%의 시청률이다. KBS <무림학교>는 처참하다. 겨우 4%에 머무는 이 드라마는 앞으로도 더 떨어질 수 있다는 불길한 예측이 나온다. 수목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SBS <리멤버-아들의 전쟁>16.4%로 시청률 1위를 달리고 있지만 대작이라고 할 수 있는 KBS <장사의 신-객주>11.4%에 머물고 있고 MBC <달콤살벌 패밀리>4%라는 창피한 성적을 남기고 종영했다.

 

지상파 드라마 시청률이 빠지는 건 시청자들의 시청 패턴 변화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처럼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지상파도 아닌 케이블에서 18.8%의 시청률을 낸다는 건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이런 전반적인 시청률 하락이 단지 시청 패턴의 변화로 인해 받아들여야만 하는 숙명일 뿐일까. 지상파 드라마가 갖고 있는 내부적인 요인 또한 분명하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는 게 아닐까.

 

그렇다고 <응답하라1988>이 대단히 새로운 소재나 내용을 다룬 것도 아니다. 복고 콘셉트에 80년대를 소재로 한 가족드라마가 이 드라마의 정체다. 하지만 <응답하라1988>이 그리고 있는 가족드라마는 지상파의 그것과는 사뭇 다르다. 일단 길이가 그렇다. 지상파의 가족드라마는 기본이 50부작이 되기 일쑤다. 그러니 매 회의 드라마 밀도가 높을 리가 없다. 그저 비슷비슷한 캐릭터들이 나와 갈등을 겪고 그것이 풀어지는 과정을 지겹도록 반복하는 게 지상파 가족드라마다.

 

이런 지상파 가족드라마에 정환(류준열)이나 택이(박보검), 덕선(혜리), 선우(고경표) 같은 반짝반짝 빛나는 캐릭터가 존재할 리가 만무다. 물론 성동일이나 이일화, 라미란이나 김성균, 최무성이나 김선영 같은 중년 캐릭터도 마찬가지다. 어째서 이런 차이가 나는 걸까. 그것은 <응답하라1988>이 갖고 있는 캐릭터의 디테일과 참신함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예능판에서 일해왔던 제작진들은 인물 하나하나의 매력을 먼저 탄탄하게 세워놓는다. 그렇게 되면 이야기가 조금 약하다고 해도 그 느낌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20부작이 짧은 건 아니지만 지상파 가족드라마들과 비교해보면 그 압축도가 압도적이었던 건 분명하다. 게다가 이 20부작은 한 회씩 따로 떼어서 봐도 무방할 정도로 각 회가 저마다의 주제로 완결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20개의 단편 드라마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이다. 이것은 지상파 드라마들이 연속극형태로 시청률을 견인하던 것과는 사뭇 다른 구성 방식이다. 물론 <응답하라1988>도 이어지는 이야기가 존재한다. 하지만 그걸 잘 모르더라도 한 편을 그냥 보는 게 그리 힘들지 않은 드라마다.

 

이 부분은 중요하다. 보다가 중간에 몇 회를 빼먹은 시청자들도 이어서 볼 수 있고, 아예 한 번도 보지 않았지만 워낙 화제가 되다 보니 한번쯤 볼까 생각하는 시청자들에게도 유입장벽을 낮춰준다. <응답하라1988>의 시청률이 갈수록 쌓이게 된 건 이런 구성 방식이 힘을 발휘했기 때문이다. 물론 다음 회에 대한 궁금증 역시 그 구성 안에 자연스럽게 녹여냈지만.

 

이제 지상파는 인정해야 할 것 같다. 더 이상 지상파 프리미엄은 옛말이 되고 있다는 걸. <응답하라1988>은 마치 그걸 상징이라도 하듯 신드롬을 낸 드라마가 되었다. 이 신드롬이 말해주는 건 극명하다. 지상파 드라마에 비해 훨씬 참신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참신함은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제작방식과 드라마의 형식 등에서 나온 것이다. 지상파 드라마들이 배워야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