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그럼 그렇지, '1박2일'이 하얼빈에서 찾은 우리 역사 본문

옛글들/명랑TV

그럼 그렇지, '1박2일'이 하얼빈에서 찾은 우리 역사

D.H.Jung 2016. 3. 22. 08:49
728x90

어째서 <무도><1>이 찾는 역사가 더 감동적일까

 

역시 <12>이다. 하얼빈까지 날아간 데는 우리가 누구나 예상했던 안중근 의사의 마지막 발자취를 찾아가기 위함이었다. 물론 예능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대놓고 감동과 눈물을 전면에 내세우는 게 꺼려졌었던 모양이다. 이 특집이 시작하기 전 유호진 PD3.1절 특집의 성격이 아니라고 말했고, 실제로 방송의 앞부분은 하얼빈에서 벌이는 혹한기 체험을 통한 웃음이 채워졌다. 하지만 하얼빈까지 가서 어찌 안중근 의사의 역사적 순간들을 놓칠 수 있었으랴.

 


'1박2일(사진출처:KBS)'

<12>1909년으로 시간을 되돌려 당시 안중근 의사의 흔적을 되짚자, 교과서에 그저 짧은 문장 몇 줄로 나와 있던 그 역사가 생생히 우리 눈앞에 되살아났다. 당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 의사의 사건이 당시 뉴욕 타임즈부터 이태리, 영국의 신문까지 대서특필되던 세계적인 사건이었다는 걸 알 수 있었고, 중국 정부가 안중근 의사를 영웅으로 기리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고국에서 25백리나 떨어진 그 곳. 우덕순과 구체적 거사를 논의했던 조린공원에는 안중근 의사의 손도장과 이름이 새겨진 비석이 세워져 있었고, 하얼빈역에는 당시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던 그 장소가 특별하게 표시된 채 그대로 보존되어 있었다. 2년 전 건립된 안중근 의사 기념관에는 지금까지 25만 명이 방문했는데, 그 중 90%가 중국인이라고 했다. 그만큼 안중근 의사는 국적을 뛰어넘어 존경받고 있었다는 것.

 

<12>이 안중근 의사의 마지막을 되짚으며 출연자들마저 숙연하게 만들었던 건 그 역시 사사롭게는 아빠이고 남편이며 자식이었다는 점이다. 이미 많이 알려져 있는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 조마리아 여사의 편지는 더더욱 절절하게 다가왔다. 먼저 가는 걸 불효라 생각하지 말고 딴 맘 먹지 말고 죽으라고 자식에게 전하는 어머니의 심정은 얼마나 만 갈래로 찢어졌을까.

 

이미 거사 직전에도 죽음을 예감했을 그지만 단정한 몸가짐을 하고 아침 기도를 하고 나서는 안중근 의사의 마음은 또 어땠을까. <12>의 행로는 그 마음을 헤아려보려는 노력이었다. 안중근 의사의 마지막 144일의 흔적이 남아있는 다롄 역의 뤼순 감옥에 도착한 차태현과 김준호는 새삼 숙연해질 수밖에 없었다. 옥중에서조차 신념과 사상으로 싸웠던 안중근 의사는 일본이 적이 아니라, 일본의 군국주의가 적이라는 걸 분명히 했다. 그리고 사형 집행 5분 전에 찍은 사진 속에서 그는 어머니가 보낸 수의를 입은 채 초연한 얼굴이었다.

 

<무한도전>배달의 무도특집에서 일본의 우토로 마을을 찾아가고, 하시마섬을 찾아가 그 감동이 컸던 것처럼, 이번 <12>이 하얼빈 특집으로 안중근 의사의 발자취를 찾아간 것 역시 더 큰 감동으로 다가왔다. 아마도 교양 다큐멘터리 등에서 무수히 소개됐을 이야기지만 이토록 더 큰 감동이 느껴지는 건 아마도 이들 예능 프로그램들이 보통 사람들의 눈높이에서 그 역사적 현장들을 바라보기 때문일 것이다.

 

<12>의 하얼빈 특집은 그래서 역사책의 몇 줄로 기록된 그 박제된 역사를 생생히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물론 예능 프로그램이기에 지나친 무거움을 내세우는 것이 부담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여행을 담는 <12>에서 역사적 현장을 찾아가 웃음이 아닌 숙연한 마음을 느끼는 것 역시 그 어떤 것보다 의미 있는 일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