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K팝스타6'는 왜 마지막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을까 본문

옛글들/명랑TV

'K팝스타6'는 왜 마지막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을까

D.H.Jung 2016. 5. 11. 08:58
728x90

더 라스트 찬스를 선택한 <K팝스타6>의 속내

 

사실 <K팝스타>는 오디션 프로그램이 시들해질 즈음 다시금 불을 붙여 놓았던 프로그램이다. <슈퍼스타K>가 시즌2에 정점을 찍고 시즌3에서부터 조금씩 하향세를 보이던 시점에 <K팝스타>가 시작됐고 국내의 3대 기획사가 직접 참여한다는 새로운 방식으로 오디션을 부활시켰다.

 


'K팝스타(사진출처:SBS)'

그리고 어언 5년이 흘렀다. 5년 동안 예능 환경도 또 가요계의 환경도 변했다. 오디션 프로그램은 너무 많은 음악 예능들 속에서 대중들에게 피로감을 주었다. 그나마 <K팝스타>가 신선하게 다가왔던 건 심사위원들의 멘트 하나하나가 화제가 될 정도로 힘이 있었고, 참가자들이 기획사에 최적화되면서 연령대가 낮아졌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런 신선함도 세월을 이기지는 못했다.

 

시즌5는 괜찮은 시청률을 냈지만 화제성은 예전만 하지 못했다. 시즌6의 제작발표회에서 심사위원들이 했던 말처럼 심사도 어떤 패턴화가 점점 보이기 시작했다. 나이 어린 친구들의 참가는 장점만이 아니라 아마추어리즘이 드러나는 단점으로도 작용하기 시작했고, 시즌 초반에 팝 가수들만큼 잘 소화해내 불리던 팝송들은(심지어 이것 때문에 국내 차트에 팝송이 진입할 정도였다) K팝스타를 뽑는 프로그램에 적합한가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심사위원들의 진정성과 <K팝스타>가 배출하는 가수들의 특성이 어딘지 어울리지 않는 느낌을 주었다. 인디 가수들 같은 숨은 진주를 발굴하는 건 물론 좋은 일이다. 하지만 그것이 대형 기획사들의 수장들로부터 이뤄지는 풍경은 어딘지 낯설게 다가온다.

 

<K팝스타>가 시즌5를 거쳐 오는 동안 또한 바뀐 건 가요계의 가수를 바라보는 시선이다. 최근 Mnet<프로듀스101> 같은 프로그램을 보면 이미 데뷔를 했거나 기획사의 연습생으로 있는 가수 지망생들도 참여하는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실력 있는 일반인과 이미 데뷔했지만 빛을 보지 못한 가수, 혹은 기획사 연습생들은 그리 큰 차별점을 느끼지 못하게 된 상황이 됐다.

 

<K팝스타6>더 라스트 찬스라는 부제를 달아 마지막을 선포한 건 이런 여러 가지 그간의 변화들을 읽어내고 유종의 미를 거두기 위함이다. 사실 우여곡절은 많았고 구설도 많았지만 <K팝스타>가 가요계에 미친 좋은 영향도 적지 않았다. 악동뮤지션이나 이하이, 백아연 등등 다양한 가수들을 배출하기도 했고, 이진아 같은 인디 뮤지션을 재발견시키기도 했다. 무엇보다 시스템이 갖춰진 기획사들의 제작과정의 면면을 들여다보는 건 흥미로운 일이었다.

 

하지만 이렇게 잘 나가는 프로그램이 라스트를 결단하게 된 속내를 들여다보면 그 선택이 상당히 시의 적절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번 시즌6에 대한 기대감을 확실히 높여놓았다. 소속사가 있는 지망생들에게도 문을 열어 놓음으로써 다양한 출연자들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고, 가수 지망생들의 가창력과 퍼포먼스만이 아니라 기획사들의 프로듀싱 능력을 경쟁적인 틀 안에서 들여다볼 수 있는 새로움도 생겨났다.

 

마지막 한 방울까지 꼭꼭 짜서 <K팝스타>가 시즌1부터 보여 왔던 그 음악의 즐거움을 시즌6에서도 되살려줄 수 있다면 이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기억은 그만큼 남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을 선택한 <K팝스타6>. 마지막이라는 수식어의 크기는 그만큼 크게 다가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