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에 민감해진 백종원, 한결 여유로워진 '집밥 백선생2'옛글들/명랑TV 2016. 6. 2. 09:15728x90
<집밥 백선생2>, 요리가 즐길 거리가 되어가는 과정
백종원은 확실히 양에 민감해졌다. 설탕 한 스푼을 넣거나 소금을 넣거나 혹은 간장을 넣을 때마다 그는 “자기 입맛에 맞게”라는 표현을 입에 달고 있다. 야외 캠핑을 갈 때 가져가면 스타가 될 수 있다며 만들어낸 스페인 정통 소스 로메스코 소스를 만들 때 소금을 넣으면서도 그는 각자 알아서 적당량을 넣으라는 말을 빼놓지 않는다.
'집밥 백선생(사진출처:tvN)'
이렇게 된 건 그의 요리가 설탕과 소금의 양이 많다는 의견들 때문이다.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 설탕 폭포수 CG가 나간 이후 그는 지금까지도 ‘슈가보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내지 못했다. 그러니 맛있게 요리를 만들기 위해 간을 하는 과정에서 그는 항상 조심스럽다.
<집밥 백선생>의 고민구 PD가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밝힌 것처럼 백종원은 과거에 비해서 의기소침해 보일 정도로 위축된 모습을 보인다. 한 때는 ‘자기 자랑’이 자연스러울 정도로 허세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던 그였다. 그가 자주 했던 “그럴싸 하쥬?”라는 말투는 친근하면서도 그의 자신감을 느낄 수 있는 말이었다.
하지만 최근 백종원은 그런 말을 잘 쓰지 않는다. 대신 “먹어봐” “죽어” 같은 말을 아주 은근하게 건넨다. 대신 요리에 대한 반응들은 제자들이 채워준다. 김국진이 그가 만든 요리를 먹어보고 어쩔 줄 몰라 하며 웃는 모습은 백종원의 요리에 대한 신뢰감을 느끼게 해준다.
사실 많은 레시피들은 넣는 재료들과 그 재료의 양을 정확하게 제시한다. 그래서 그 재료를 하나하나 구입하고 그 양을 맞추는 것이 요리에서 굉장히 중요하다는 걸 레시피는 말해준다. 물론 일종의 공식 같은 레시피는 중요하다. 하지만 백종원은 그런 레시피를 알려주면서도 “없으면 패스”라던가, ‘적당히’라는 표현으로 그 강박을 없애준다.
본인은 양을 얘기할 때 강박이 생겼지만, 그래서 각자 알아서 간은 자기에 맞게 맞추라는 이야기는 시청자들에게는 훨씬 더 요리에 대한 편안함을 느끼게 해준다. 사실 무슨 요리를 하려다가도 재료 하나가 비면 그것 때문에 맛이 없을까봐 요리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백종원은 그런 건 과감하게 건너뛰라고 말하고, 원 재료가 없으면 대체할 수 있는 재료를 알려주기도 한다.
이런 식의 편안한 접근은 요리를 해본 적이 없거나 요리를 하는 것에 어떤 강박 같은 게 있는 이들에게는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 요소들이다. 이것은 <집밥 백선생>이 그저 흔한 쿡방이 아니라 실제로 주방의 풍경을 바꾸고 있는 까닭은 바로 이런 문턱을 낮춰주는 이 프로그램만의 편안함 때문이다.
이렇게 편안하게 요리를 즐기는 모습은 <집밥 백선생>이 요리를 직접 하려는 목적이 아니어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집밥 백선생>은 요리 레시피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마치 요리를 갖고 놀이를 하는 듯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물론 양에 대한 분분한 이야기들 때문에 심지어 의기소침해 하기도 하는 백종원이지만, 적어도 이 프로그램이 요리에 대한 편견들, 이를 테면 요리는 어려운 것이라거나, 요리는 특정한 사람들만 하는 것이라는 식의 생각들을 깨주고 있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껴도 좋을 법하다. 그런 양에 대한 강박을 벗어내자 오히려 <집밥 백선생>의 요리들을 여유로워졌다는 것도.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알' 강남역 살인사건, 왜 실험까지 했을까 (0) 2016.06.06 '무도' 11년, '라스' 9년, 장수 예능의 조건 (0) 2016.06.03 과거에 멈춘 주말예능, 트렌드는 바뀌고 있는데.. (0) 2016.05.31 '신서유기2' 안재현, 나영석이 발굴한 예능 보물 (0) 2016.05.29 '무도' 웨딩싱어즈, 생각보다 커져버린 감동의 정체 (0) 2016.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