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마동석, 연기자가 캐릭터가 된 전례 없는 사례

728x90

마동석 전성시대의 비밀

 

영화 <부산행>이 칸느에서 상영됐을 때, 마동석의 존재감은 독보적이었다고 한다. 그가 나올 때마다 관객들이 빵빵 터졌다는 것. 이런 사정은 국내 팬들도 마찬가지다. <부산행>이라는 영화에서 마동석을 빼놓고 얘기하기 어렵다고 할 정도. 그는 주인공 그 이상의 존재감으로 <부산행>을 압도했다.

 

사진출처:영화<부산행>

그가 <부산행>에서 주목될 수 있었던 건 그에게서 느껴지는 압도적인 카리스마 덕분이다. 좀비들이 쏟아져 나오는 열차 속에서 그 두려움을 한 순간에 일소해 버리고 때로는 피식 웃음이 나오게도 만드는 그런 존재. 그래서 <부산행>의 상화라는 캐릭터는 마동석이라는 배우에 의해 압도된다. 영화가 캐릭터를 설명할 필요도 없이, 그저 마동석이 등장하는 순간부터 관객들은 어떤 기대감을 갖게 된다. 이건 실로 놀라운 일이 아닌가.

 

이른바 마동석 전성시대다. 그런데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기존의 연기자들이 전성시대를 맞이하는 그런 방식과 마동석은 정반대의 흐름을 보여준다. 즉 연기자들은 어떤 역할을 맡느냐가 자신들의 성패를 가름하는 중요한 변수가 된다. 그래서 작품이 잘 되고 그 작품의 캐릭터가 매력적이라면 연기자는 상당부분 그 캐릭터의 이미지를 가져가 인기를 누리는 그 흐름이 생겨난다.

 

예를 들어 송중기가 전성기를 맞이한 건 물론 전작들부터 보여온 일관된 매력이 쌓인 결과이긴 하지만, 결정적인 건 <태양의 후예>의 유시진이라는 캐릭터를 만나면서다. 현빈이 주목받을 수 있었던 건 <시크릿 가든>의 김주원이라는 캐릭터를 통해서다. 마찬가지로 유아인이 대세가 될 수 있었던 것도 <베테랑>의 조태오라는 캐릭터와 <육룡이 나르샤>의 이방원 같은 캐릭터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동석은 다르다. 마동석은 그가 갖고 있는 터질 듯한 근육과 어딘지 살벌한 인상 그러면서도 귀여운 면면이 묻어나는 연기자 자신의 이미지를 거꾸로 작품 속으로 갖고 들어온다. 예를 들어 <나쁜 녀석들>이란 작품에서 우리는 박철웅이라는 캐릭터의 이름을 잘 기억하지 못한다. 대신 그 캐릭터를 연기한 마동석을 기억할 뿐이다. 이것은 <38사기동대>의 백성일이라는 캐릭터에서도 동일하다. 이 작품에서 마동석은 이중적인 면을 보여주는데 마치 헐크처럼 어느 순간에 이르러서는 시청자들이 그에게 원하는 모습, 즉 폭발적인 액션 히어로의 모습을 드러내준다.

 

어찌 보면 살벌하게 보이는 마동석이라는 연기자의 존재감이 이토록 빛나게 된 건 무슨 이유 때문일까. 그 비밀은 그가 맡아온 캐릭터들에서 발견된다. 그는 굉장한 완력의 소유자이고, 결코 작품 속에서 선한 인물이라고만 말하긴 어렵지만 더 나쁜 놈들 앞에서 그들을 제압함으로써 어떤 카타르시스를 제공하는 인물이다. <이웃사람>에서 사채업자지만 연쇄살인마를 두들겨패는 장면이 주는 통쾌함과 유머, <나쁜 녀석들>에서 말 그대로 나쁜 놈이지만 더 나쁜 놈들을 혼내주는 시원함, 그리고 <부산행>에서도 어딘지 껄렁대지만 좀비들을 때려눕힐 때 느껴지는 매력은 마동석이 아니면 도무지 기대하기 어려운 면면이 아닐까.

 

마동석은 그렇게 연기자가 고유의 캐릭터가 되어버린 전례 없는 사례다. 이제는 귀여움까지 덧붙여져 심지어 마블리라고도 불리는 마동석. 우리네 영화, 드라마 같은 작품들은 이제 마동석이라는 연기자를 염두에 두고 캐릭터를 그려낼 지도 모를 일이다. 대체불가 한 그만의 매력이 콘텐츠에서 그만큼 힘을 발휘하고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