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굿와이프', 유지태-전도연 낯선 걸까 그게 진면목일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굿와이프', 유지태-전도연 낯선 걸까 그게 진면목일까

D.H.Jung 2016. 8. 3. 09:44
728x90

<굿와이프>의 낯선 인물들, 과연 미드 리메이크 때문일까

 

섹스 스캔들로 인해 남편의 불륜 장면이 만천하에 공개된다면 그 아내는 어떤 감정을 갖게 될까. 만일 우리네 드라마의 상투적인 전개였다면 그 이후의 장면들은 불을 보듯 뻔하다. 남편과의 관계는 끝장을 향해 달려갈 것이고, 만일 내연녀에게 전화라도 온다면 욕지거리 정도는 기본일 게다. 제아무리 좋은 아내라고 해도 이혼을 염두에 두는 건 당연지사일 지도.

 

'굿와이프(사진출처:tvN)'

하지만 tvN <굿와이프>는 다르다. 섹스 스캔들에 휘말린 남편 이태준(유지태)에게 김혜경(전도연)은 끓어오르는 분노를 갖고 있지만 이를 외부에는 전혀 표출하지 않는다. 그 스캔들을 설명하는 공식석상으로 나가는 첫 장면부터 김혜경은 이태준의 손을 꼭 잡고 있다. 그리고 그녀는 아이들을 책임지기 위해 변호사 일을 다시 시작한다. 그러면서도 가끔 남편을 면회 가고 감정은 있지만 그래도 대화를 하려는 노력을 보인다.

 

그녀가 과거 젊었던 시절에 자신에게 호감을 보인 서중원(윤계상)의 키스를 받았을 때, 잠시 흔들렸지만 그녀는 이건 아닌 것 같다며 그를 밀어낸다. 그리고 사무실을 빠져나오다 갑자기 마음이 바뀌었는지 다시 서중원의 사무실로 올라간다. 그가 자리에 없는 걸 알고 아쉬운 듯 돌아선 그녀는 집으로 오자 갑자기 남편의 품으로 파고든다.

 

그 속내를 대사로 드러낸 부분이 없기 때문에 이 장면은 여러 가지 해석들을 가능하게 한다. 그건 그녀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었다가 서중원에 의해 풀린 욕정일 수도 있고, 그런 욕정 때문에 갖게 된 남편에 대한 죄책감일 수도 있다. 다른 한 편으로는 그것은 남편에 대한 복수일 수도 있다. 너도 하듯이 나도 불륜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그런 행위로 표현했을 수 있다는 것.

 

그러고 보면 남편 역할인 이태준 검사 역시 그 속내를 잘 알 수 없는 이중적인 태도들을 보인다. 한편으로 보면 아내에게 죄책감을 가진 남편처럼 보이지만 그가 심지어 감방에 있을 때조차 인맥을 돌려 일을 뒤에서 꾸미는 걸 보면 아내를 이용해먹는 권력자처럼도 보인다. 그가 자신의 섹스 스캔들을 일으킨 상대 여자를 납치해 와 협박을 하는 모습에는 이 이중적인 면면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그건 전형적인 권력자들이 하는 행동이지만 그는 그 자리에서도 나는 아내를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든 한다고 말할 정도로 아내를 사랑하는 남편처럼도 보인다.

 

사실 김혜경이나 이태준이라는 캐릭터의 이러한 행동들은 우리네 시청자들을 혼돈스럽게 만든다. <굿와이프>라는 제목처럼 김혜경을 좋은 아내캐릭터로 바라보는 시청자들은 그녀가 다른 남자와 불륜의 욕망을 드러내는 장면이 낯설게 다가온다. 그건 우리네 정서에서 좋은 아내라는 이미지로 드라마가 그려낸 적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태준 역시 마찬가지다. 그가 한 때 실수를 저질렀지만 그래도 아내를 지극히 사랑하는 건 맞는 것 같다. 그럼에도 자신의 성공을 위해 아내를 이용하는 듯한 모습은 우리네 시청자들에게는 낯선 느낌을 준다.

 

이건 과연 미드의 리메이크 때문에 생기는 정서적 간극일까. 아니면 우리네 드라마들이 너무 선악구도로만 나누어 극적 갈등들을 그려낸 데서 생겨난 낯설음일까. 아마도 두 가지가 모두 혼재된 느낌이다. 미드의 리메이크이기 때문에 확실히 <굿와이프>는 그 관계들이 우리와는 조금 달리 쿨한 면면들이 묻어난다. 하지만 이런 간극을 메워주는 건 다름 아닌 연기자들이다. 전도연과 유지태의 연기는 그 간극마저 이해될 만큼 자연스럽게 우리네 대중을 설득시켜준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네 드라마들이 너무나 천편일률적으로 남녀 관계, 부부 관계를 그려온 건 아닌가 하는 반성을 하게도 만드는 면이 있다. 어찌 남녀 관계 부부 관계가 선악 구도로 무 자르듯 나뉠 수 있을까. 거기에는 사람이 어쩔 수 없는 금기를 넘보는 욕망 같은 것들이 있기 마련이다. 좋고 나쁨은 한 사람이 선택되는 캐릭터가 아니라 한 사람 속에 혼재된 캐릭터라는 점이다.

 

그런 관점으로 보면 <굿와이프>는 우리네 드라마들에 상당히 괜찮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창작이란 때론 굳어진 틀을 벗어나고 깨는 데서부터 비롯된다. 또 삶의 진면목이란 어떤 틀에 박힌 편견과 선입견을 넘어서는 데서 보이기 마련이다. <굿와이프>가 보여주는 새로운 인물들은 그래서 낯설기도 하지만 그것이 본래는 진짜 우리네 얼굴이라는 생각을 하게 만들 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