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 웹툰 속이라 가능해진 것들
‘만화를 찢고 나온 듯한 남자 혹은 여자’ 이런 외모와 이미지를 가진 이들을 ‘만찢남’ 혹은 ‘만찢녀’라고 부른다. 아마도 MBC 수목드라마 <W>의 상상은 바로 이 용어에서 비롯되지 않았을까. 실제로 만화를 찢고 나온 남자와 만화 속으로 들어간 여자가 엮어가는 멜로와 스릴러. 여기서 만찢남 강철과 만찢녀 오연주 역할에 이종석과 한효주 캐스팅은 맞춤이다. 드라마의 성격상 실사와 만화를 오가는 장면들 속에서 이들만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배우들도 없을 게다.
'W(사진출처:MBC)'
만화 속 인물과의 모험과 로맨스라는 단순한 상상에서부터 시작한 드라마일 수 있으나, 막상 그 세계로 들어가니 의외로 모든 것들이 다 허용되는 거침없는 전개가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W>의 멜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던 멜로드라마의 과정 같은 것들이 불필요해졌다. 사실 강철이라는 캐릭터를 이상형으로 꿈꾸고 만든 인물이 다름 아닌 어린 시절의 오연주다. 그러니 뭘 숨기고 잴 것인가.
자신이 만화 속 주인공에 불과하다는 걸 알고는 절망, 한강에 투신한 강철을 다시 구해낸 오연주에게 오히려 강철이 왜 구했냐며 화를 내자 오연주는 대뜸 “사랑하니까!”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런 돌직구에 강철의 마음이 흔들리고 그녀가 원하는 로맨스를 대놓고 선택하라며 여러 선택지들을 늘어놓고는 마치 숙제라도 하듯 그걸 하나하나 실행한다.
현실적인 멜로드라마라면 두 사람이 밀고 당기며 속내를 드러낼 듯 드러내지 않는 그 과정들을 거쳐야 이른바 개연성이라는 것이 생길 것이다. 하지만 웹툰 속 만화 세상에 들어간 오연주에게는 오히려 그런 밀당 없이 바로 속내를 털어놓고 직진으로 달려가는 멜로가 더 개연성이 있다. 이른바 만화 속에서는 현실적이라기보다는 만화 같아야 더 리얼한 셈이니까.
이 드라마가 멜로적인 달달한 시퀀스에서 다시 긴장감을 높이는 스릴러로 넘어가는 과정도 마찬가지로 거침이 없다. 갑자기 들려오는 괴한의 목소리가 화면 위에 글자로 찍히는 장면을 보여주는 것만으로 드라마는 다시 쫄깃해진다. 강철의 온 가족을 죽였던 괴한이 이제는 오연주마저 죽이겠다고 엄포를 놓자 순식간에 드라마는 스릴러와 멜로가 동시에 팽팽하게 된다.
<W>라는 만찢남 만찢녀의 세계는, 상상력이 만들어낸 가상의 세계가 어떤 공감대를 대중들에게 주기만 한다면 얼마나 거침없이 이야기를 펼쳐나갈 수 있는가를 잘 보여준다. 사실 우리들 중 그 누구도 만화 속에 들어가 본 이들은 없다. 그러니 그 리얼리티를 요구하기도 어렵다. 대신 그 안에 존재하는 개연성의 법칙들을 작가가 그럴 듯하게 제시해주는 것만으로 이 상상의 세계는 언제든 어디로든 전개될 수 있다.
그래서 많은 드라마들을 봐왔고 또 그 드라마의 법칙이라는 것들을 꿰고 있는 시청자들이라면 <W>를 보면서 묘한 해방감과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다. 그것은 틀을 벗어나 거침없이 이야기를 달려가는데서 나오는 즐거움이다. 만화 속으로 들어가자 <W>는 함부로 자유로워질 수 있는 특권을 얻었다. 그리고 이런 ‘함부로’는 기꺼이 시청자들이 원하는 것들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춘시대', 한예리의 처절함과 박혜수의 설렘 사이 (0) | 2016.08.14 |
---|---|
'함틋', 함부로 무치한 사회에 대한 애틋한 저항 (0) | 2016.08.13 |
'청춘시대', 어째서 남자주인공이 눈에 띄지 않을까 (1) | 2016.08.08 |
'청춘시대', 청춘의 달콤함보다 짠 내 나는 현실 (0) | 2016.08.06 |
'W'가 던지는 몇가지 흥미로운 질문들 (0) | 2016.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