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스스로도 안 웃긴 '개콘', 무엇이 문제일까

728x90

<개콘>, ‘세젤예나가거든빼고 어디서 웃어야

 

KBS <개그콘서트>에서 아재씨라는 개그 코너는 최근 이른바 유행이 됐던 아재개그를 소재로 했다. 여기 출연하는 박영진은 웃기지 않는 아재개그를 끝없이 시도하게 만드는 아재악령. 그래서 이 아재악령을 퇴치하려 나서지만 쏟아지는 아재개그에 속수무책이 되는 상황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아재개그가 실제로도 별로 웃기지 않다는 건 이 코너가 가진 함정이다. 현장 분위기도 그런 듯, 박영진은 심지어 왜 이렇게 안 웃어?”라고 대놓고 관객들에게 묻곤 한다. 안 웃기는 아재개그를 계속 시도하는 캐릭터로 웃기겠다 만들어진 코너지만 코너 자체가 웃기지 않다면 그걸 왜 유지하는 걸까.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꽤 오래도록 코너가 살아있고 사실상 하이라이트에 해당하는 진지록은 역시 웃기지 않고 진지하게 삼행시를 하는 걸 콘셉트로 갖고 있다. 웃기려고 하지만 웃기지 않아 진지한 상황이 웃음을 주어야 하지만 때로는 진짜로 진지하고 썰렁해 웃음이 나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다. 물론 바로 그 상황을 통해 개그맨이 웃기지 못한다는 걸 몰아세움으로써 웃음을 유발하는 코너지만, 이건 어찌 보면 최근 들어 웃기지 못하는 <개그콘서트>의 상황을 자조하는 것처럼 보일 때도 있다.

 

최근 몇 주 동안 새로 시작한 세젤예나가거든<개그콘서트>가 그래도 어떤 가능성이 있다는 걸 확인시켜준 바 있다. ‘세상에서 제일 예민한 사람들의 준말인 세젤예는 그래서 유민상이 운영하는 카페를 찾은 예민한 손님들이 일종의 말꼬리 잡기를 통해 끝없이 주인을 몰아세우는 상황으로 웃음을 주었고, 영화 <터널>을 패러디한 나가거든은 풍자 요소를 집어 넣어 고구마 현실에 대한 사이다 개그를 선보였다.

 

세젤예나가거든은 모두 다른 코너들에 비해 웃음의 밀도가 높은 편이지만 3,4회를 반복하면서 쉽게 패턴이 읽히는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것은 코너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대본과 캐릭터 연기의 패턴화가 문제로 지목된다. 물론 어느 정도의 패턴은 웃음을 기대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너무 뻔한 패턴은 코너를 금세 식상하게 만든다. 그나마 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코너들이 단 몇 회만에 이런 문제를 드러낸다는 건 지금의 <개그콘서트>가 처한 위기의 본질을 드러낸다.

 

개그 프로그램은 단순하게 말하면 핵심이 웃음이다. 얼마나 웃긴가 하는 점이 프로그램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건 상식에 해당하는 일이다. 그런데 지금 현재 <개그콘서트>에는 별로 웃기지도 않은데 유지되고 있는 코너들이 너무 많다. 오프닝에 자리한 장스타ent’는 어딘가 웹툰 같은 데서 나올 법한 병맛 캐릭터를 보여주고 있긴 하지만 반복되는 유행어만 나올 뿐 영 웃음의 포인트를 잡을 수가 없다. 도대체 이 코너가 무슨 매락의 코미디적 상황을 그리고 있는지조차 애매하다.

 

꽃쌤주의역시 상황은 유사하다. 입을 모아 독특한 얼굴 표정으로 홍홍홍웃어대는 임종혁 캐릭터를 빼고는 역시 웃음을 찾기가 쉽지 않다. ‘비호행은 영화 <부산행>을 패러디한 발상 자체는 좋지만 여기 등장하는 캐릭터들과 대사들은 거의 정해져 있다시피 하다. 조금씩 다른 비호감을 유발하는 대사를 치곤 했지만 그다지 웃기지가 않다. 송영길이 딸 캐릭터에게 하는 비호감 행위는 그래서 웃기지 못하기 때문에 불쾌감만 남기는 상황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님은 딴 곳에는 최근 <개그콘서트>에서 가장 연기적 포인트를 잘 잡고 있다고 여겨지는 개그우먼 이현정이 있어 웃음의 밀도는 높은 편이지만 코너 성격상 외모 비하 같은 내용들은 위험성이 있어 보인다. 이와 비슷한 위험성이 느껴지는 코너는 빼박캔트. 이 코너는 마치 남성들이 여성들을 무조건 챙겨줘야 한다는 식으로 그려지면서 남성은 물론이고 여성들도 비하하는 뉘앙스를 만들어낸다.

 

이럴 줄 알고는 너무 단순해 끝없이 이럴 줄 알고-”라는 유행어만 남발하고 있지만 그게 반복되면 어느 순간에는 지루하게까지 느껴지는 코너다. 이런 코너를 계속 <개그콘서트>가 유지하고 있다는 건 미스테리다. ‘사랑이 Large’는 전형적인 뚱보 캐릭터 코미디지만 그 이상의 아이디어를 찾기가 어려운 코너이고 ‘11’은 이세진이 연기하는 이병원 캐릭터를 빼놓고 보면 다른 캐릭터들에게서 웃음을 찾기가 어려운 코너다. ‘무리텔역시 <마이 리틀 텔레비전>식의 1인 방송을 가져와 소통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사실은 홍보를 하고 있는 방송을 에둘러 풍자하고 있지만 이상훈과 송영길 캐릭터만 보일 뿐 아이디어는 잘 보이지 않는다.

 

<개그콘서트>는 어쩌다 이렇게 웃음 없는 개그 프로그램이 되어버린 걸까. 빠져나간 스타 개그맨들, 과감한 풍자가 쉽지 않은 현실, 새로 채워진 개그맨들의 부진으로 <개그콘서트>를 이끄는 주축이 사라진 상황, 하나하나에 어떤 날카로움이 사라진 코너들, 무엇보다 새롭고 독보적인 캐릭터들이 잘 보이지 않는 상황 등등. 문제는 너무나 많다. 하지만 그 모든 문제들은 단 하나로 귀결된다. 웃음이 약해졌다는 것. 물론 가끔 몇몇 코너들이 반짝 시선을 잡아끄는 건 사실이지만 전체적으로 약해진 웃음을 회복하지 않고는 <개그콘서트>의 미래는 불투명해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