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1박2일', 정준영 없어도 남은 저력 충분하다 본문

옛글들/명랑TV

'1박2일', 정준영 없어도 남은 저력 충분하다

D.H.Jung 2016. 10. 11. 08:42
728x90

<12>, 정준영 빈자리 보단 남은 자산 돌아보길

 

KBS <12>에서 정준영은 결국 하차했다. 든 자리는 몰라도 난 자리는 안다고 그 빈 자리가 아무렇지도 않을 리는 없다. 한글날 570주년을 맞아 특집으로 마련된 <12>은 그래서 그 오프닝 자리에 정준영의 빈자리를 에둘러 표현했다. 마치 사죄를 하고 있는 듯 두 손을 모으고 있는 출연자들의 모습을 의식했고, 어쩌다 삭발을 하고 온 김준호에게 마치 <12>이 새 출발을 하기 위해 의지를 다진 것 같은 뉘앙스를 덧씌웠다.

 

'1박2일(사진출처:KBS)'

판교역에서 출발해 여주까지 가는 경강선에서 게임을 시작하려 할 때 출연자들은 그 동생의 빈자리를 언급했고 목적지인 세종대왕릉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며 간식을 먹을 때도 그 동생을 이야기하며 아쉬움과 그리움을 표했다.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다. 꽤 오랫동안 함께 여행하며 동고동락했던 동생의 빈자리를 단번에 떨쳐낸다는 건 오히려 더 부자연스럽게 보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12>의 출연자들은 저마다 정준영의 빈자리를 얘기했지만 실제로 그 빈자리는 그만큼 크게 다가왔을까? 이번 한글날 특집으로 마련된 여행이 워낙 잘 꾸려져서인지 그 빈자리는 33으로 하던 게임을 이제는 못하게 된 것 정도로 소소하게 느껴졌다. 이 점은 출연자들이 아쉬워하고 있지만 <12>만의 저력은 여전하다는 걸 말해준다.

 

그도 그럴 것이 이번 특집은 기획적으로 적확했다고 볼 수 있다. 한글날을 맞아 기획된 특집으로 새로 개통된 경강선을 타고 세종대왕릉역까지 가는 여정도 여행정보로서는 괜찮은 선택이었고, 그 과정에서 벌어진 게임들, 이를테면 만 원 권의 틀린 그림 찾기 같은 게임을 통해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이유를 자연스럽게 체득하게 하거나 그 외에 여러 발명품들에 대해 이야기하게 된 것들이 <12> 특유의 재미와 의미를 모두 담보해주었기 때문이다.

 

세종대왕릉에서 벌어진 복불복 게임으로 승패에 따라 자음과 모음을 나눠줘 그걸 조합해 음식을 얻는 게임은 <12>의 게임 아이디어가 빛을 발하는 순간이었다. 그것 역시 게임의 재미와 더불어 한글이 얼마나 우수한가를 그 조합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KBS라는 공영방송에서 <12>이라는 프로그램이 가진 가치들, 즉 숨겨진 우리네 여행지 소개나 역사적 사실을 재미있게 알려주는 이런 시도들이 이번 특집에서는 잘 구현되어 있었다.

 

무엇보다 김준호 같은 어떤 상황에서도 웃음을 만들어낼 줄 아는 프로 예능인이 있고, 바른 이미지에 뭐든 적극적으로 임하며 때론 놀라운 지식을 보이면서도 때론 허당의 면면으로 웃음을 주는 동구 윤시윤이 있으며, 오래도록 <12>의 신바(신나는 바보)로서 기상천외한 웃음을 만들어내는 김종민과 프로그램에 따뜻한 정 같은 걸 느끼게 해주는 차태현, 그리고 빼놓을 수 없는 웃기는 먹방러 데프콘은 <12>이 건재하다는 걸 보여주는 자산들이다.

 

여기에 유호진 PD 이후 새로 자리해 무도리로 불리는 유일용PD와 최근 무인도 낙오에서 의외의 존재감을 드러낸 새내기 주종현 PD 같은 연출자 이상의 재미를 만들어내는 제작진이 있다. 물론 프로그램 이면에서 이런 갖가지 게임을 개발하고 여행지와 여행의 방식 등을 기획하는 작가들도 존재한다.

 

그러니 정준영이 하차한 지금, 그의 빈자리를 아쉬워하기보다는 이제 <12>이 충분히 갖고 있는 자산들을 돌아볼 때다. 물론 필요하면 새 멤버를 충원해야 하겠지만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제작진과 출연자들 그리고 무엇보다 지금껏 <12>이라는 브랜드가 쌓아놓은 가치들이 충분하지 않을까 싶다. 물론 빈자리가 주는 아쉬움이 있는 건 당연하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