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박보검 이어 서인국, 왜 순수한 그들에게 빠져들까

728x90

<쇼핑왕 루이> 서인국, 수목극의 반전 이룬 원동력

 

세상에 이토록 순수한 존재들이 있을까. MBC 수목드라마 <쇼핑왕 루이>의 루이(서인국)와 복실(남지현)이 그렇다. 온실 속 화초처럼 자라와 현실감각이 거의 없는 루이는 여기에 사고로 인한 기억상실까지 겹쳐 한 마디로 순백의 도화지 같은 인물이 되었다. 그를 거둬준 복실을 하루 종일 기다리며 시간을 보내는 그의 모습은 심지어 강아지처럼 보여 멍뭉이라는 별칭까지 얻을 정도였다.

 

'쇼핑왕 루이(사진출처:MBC)'

물론 루이와 비교하면 가난하게 산골에서 자라왔지만 복실 역시 도시의 약삭빠름과 욕망과는 유리된 순수한 소녀다.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동생을 찾아 무작정 상경한 그녀는 루이가 동생의 옷과 같은 옷을 입었다는 이유만으로 그를 거둬 함께 살아간다. 그녀를 이용하려는 인물들에게조차 선선히 마음을 내주는 순박한 인물. 동생의 죽음을 알게 되어 깊은 슬픔에 빠졌지만 그래도 동생 때문에 루이를 잃어버리게 된 루이의 할머니 최일순 여사(김영옥)에게 사죄의 말을 하며 먼저 그녀의 마음을 살피는 그런 인물이다.

 

그러고 보면 <쇼핑왕 루이>의 이야기 구조는 이 두 명의 순수하고 순박한 인물들이 서울이라는 정글에서 살아가며 벌어지는 일들을 담고 있다. 이 정글에서 살아가는 이들은 루이가 살아있다는 걸 알면서도 자신의 이익을 위해 그걸 숨기고, 심지어 기억상실에 걸린 루이에게 거짓말로 기억을 조작하는 일까지 벌인다. 또 순박한 복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도용해 자기 것인 양 하는 백마리(임세미)를 통해 이 도시의 비정함을 알게 된다.

 

그래도 이들이 살아갈 수 있는 건 루이와 복실, 두 사람의 순수한 마음이 서로에게 위로와 위안을 주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오는 복실의 발걸음은 한없이 가벼웠고, 그런 복실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루이의 마음은 저 멀리 그녀의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환하게 밝아졌다. 바로 이 느낌은 시청자들이 왜 <쇼핑왕 루이>에 점점 빠져들게 되었는가를 잘 말해주는 대목이다.

 

쇼핑왕이라 제목에 붙여 넣은 건, 우리가 사는 세상이 바로 물건으로 가득 채워져 있고 그것이 돈으로 가치매겨지면서 오히려 진정한 가치를 잃어버린 곳이 되었다는 의미를 담기 위해서였을 게다. 다시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와 남부러울 것 없는 삶을 영위하게 된 루이는 그래서 과연 행복해졌을까. 루이는 어쩌면 다시 꽃거지가 되어 복실과 만났던 그 순간이 진짜 행복으로 들어가는 문이었다는 걸 다시금 깨달았을 지도 모른다.

 

어른들의 세계에 대항하는 순수한 아이들의 세계를 다룬 <쇼핑왕 루이> 같은 드라마들이 최근 들어 눈에 띈다. 따지고 보면 종영한 <구르미 그린 달빛> 역시 <쇼핑왕 루이>와 그 대결구도가 유사한 걸 발견할 수 있다. 궁궐 내 어른들의 세계(세도가들의 권력다툼) 속에서 순수한 아이들이(왕세자와 친구들) 생존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이야기가 <구르미 그린 달빛>이 아니던가. 결국 <쇼핑왕 루이>의 루이와 복실은 저 <구르미 그린 달빛>의 이영(박보검)과 라온(김유정) 같은 소년소녀의 순수를 가진 존재로 해석될 수 있다.

 

시작은 소소했으나 그 끝은 창대하리라. 이 말에 걸맞는 흐름을 보인 <쇼핑왕 루이>의 대반전 드라마의 그 밑바닥을 들여다보면 그래서 순수한 그들에게 빠져드는 도시인들의 어떤 갈증 같은 것들이 느껴진다. 아무런 사심 없이 마음과 마음이 전해지는 그 순수함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어떤 위안이 되는 그런 느낌. 그래서 한없이 그들을 지켜주고 싶고 지지해주고 싶은 마음. 그런 감정들이 <구르미 그린 달빛>은 물론이고 <쇼핑왕 루이>에서도 그대로 발견된다.

 

실로 혼탁한 세상이다. 하루가 멀다 하고 대중들의 마음을 언짢게 만들고 심지어 창피하게까지 만드는 비리들이 폭로된다. 거기서 우리가 발견하는 건 순수와는 정반대편에 있는 더러운 욕망들이다. 그런 세상에 있다는 걸 확인하게 되는 순간, 우리는 어쩌면 판타지 속에서라도 순수를 찾게 되는 건지도 모르겠다. 이토록 자잘하고 보잘 것 없는 보상심리라니. 슬픈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