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과 길라임, 어째서 이렇게 드라마 같을까옛글들/네모난 세상 2016. 11. 17. 10:19728x90
드라마가 시시해진 이유
종영한 <더 케이투>에 대해 한 매체와 인터뷰를 하던 이정진은 자신이 맡은 악역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 갑자기 현 시국 이야기를 꺼냈다. “전개, 스토리보다는 시국이 아쉽다. 저희 드라마에 나쁜 사람이 많이 나오는데 별로 안 나빠 보인다. 차라리 저희 드라마는 착하다. 나랏돈을 쓴 게 아니라 자기 돈을 쓰지 않았냐. 그리고 전 국민들을 괴롭히지 않았다, 두 윤아만 괴롭혔지.”
'뉴스룸(사진출처:JTBC)'
아마도 인터뷰를 한 기자는 당황했을 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평소에 뉴스나 정치에 관심이 많은지를 물었다. 하지만 이정진은 그렇지 않다고 부정했다. “아니다. 그 전엔 정치에서 여당, 야당도 몰랐다. 요새 뉴스가 너무 버라이어티 하니 그렇다. 뉴스를 안 볼 수가 없지 않나. 돈 받고 극장에서 해도 웬만한 흥행 영화보다 잘 될 것 같다.”
이 짤막한 인터뷰 내용에 담겨진 것처럼, 사실 요즘은 드라마나 영화가 심지어 시시하게 여겨진다. 도저히 믿을 수 없어 저건 드라마일 거야 했던 그런 이야기들이 뉴스에서 연일 터져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세월호 7시간의 비밀’ 같은 뉴스의 타이틀은 거의 한 편의 영화제목을 방불케 한다. 거기서 흘러나오는 ‘성형외과’ 이야기나 심지어 ‘프로포폴’ 같은 단어들은 대통령이라는 지칭과 만나면서 엄청난 궁금증을 유발한다. 이정진의 말대로 이런 뉴스는 영화보다 더 영화 같다.
이번엔 2011년 방영됐던 드라마 <시크릿 가든>의 길라임(하지원)이다. 김은숙 작가의 히트작인 이 드라마에서 길라임은 남자 주인공인 김주원(현빈)과 영혼이 바뀌는 캐릭터다. 아버지가 화재 사고로 죽고 맨주먹을 살아온 털털한 스턴트우먼. 그녀는 김주원이라는 재벌2세를 만나고 영혼이 바뀌면서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사랑하게 된다. JTBC <뉴스룸>은 박근혜 대통령이 바로 이 길라임이라는 가명으로 2011년 초부터 차움병원을 이용했다고 보도했다.
왜 하필 길라임이었는가, 그리고 거기에는 어떤 캐릭터와 박 대통령 사이의 심리적 동질감 같은 것들이 존재하지 않았는가 하는 의문들이 제기되고 있지만, 사실 그걸 확실히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사실 누군가가 가명으로 당대에 화제가 되는 드라마의 주인공 이름을 쓰는 경우는 흔하다. 그것은 애정의 표현일 수도 있고 그저 어떤 가명이라도 찾다가 문득 떠오른 이름일 수도 있다.
그것보다 중요한 건 대통령과 길라임이라는 어쩌면 잘 어울려 보이지 않는 단어가 실시간 검색어에 떠올랐다는 사실이다. 대통령이라면 보다 중요한 일들에 이름을 올려야 하는 것이 정상이 아닐까. 그 이름의 연관성보다 대통령에 붙은 길라임 같은 단어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마음이 어떨까 실로 비애스럽다.
<더 케이투> 같은 드라마에서도 대통령의 자리는 보이지 않았다. 게다가 이 드라마에서는 국민을 위한 정치라는 게 실종되고 정치 쇼만을 일삼는 차기 대권을 노리는 정치인들의 이야기가 펼쳐졌다. 물론 이런 이야기는 우리가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 많이 봤던 장면들이지만 요즘 들어서는 더더욱 시시한 느낌을 준다. 그것보다 더 드라마틱한 일들이 우리 눈앞에 현실로 벌어지고 있는 걸 생생히 보고 있기 때문이다.
'옛글들 > 네모난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것이 알고 싶다', 90분 간의 질문만으로도 충분했다 (0) 2016.11.21 JTBC의 승승장구, tvN의 추락 무엇이 갈랐나 (0) 2016.11.18 '스포트라이트', 이규연이 광화문에서 발견한 희망은 (0) 2016.11.15 드라마 같은 '뉴스룸', 그래서 더더욱 슬프다 (3) 2016.11.10 지상파, 예능이 뉴스보다 낫네 (0) 2016.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