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S스페셜' ‘앎’, 지금의 대중들을 특히 울린 까닭옛글들/네모난 세상 2016. 12. 27. 09:10728x90
<KBS스페셜> ‘앎’, 죽음이 삶에 건네는 이야기
망자는 오히려 남은 자들의 등을 두드린다. 그래서일까. 남은 자들도 망자가 가는 그 길에 하는 이야기들은 “걱정하지 말라”, “사랑한다”, “다시 만나자”, “영원히 잊지 않을께” “잘못했어” 같은 말들로 채워진다. 물론 그 가는 길이 쉬울 리 없고 보내주는 마음 역시 선선할 수 없다. 화장되어 나온 고인의 마지막 한 자락을 끝까지 껴안으며 “아직도 이렇게 따뜻한데...”라고 믿기지 않는 마음을 털어 놓는다.
'KBS스페셜(사진출처:KBS)'
도대체 <KBS스페셜> ‘앎’이 굳이 죽음을 물어본 건 무슨 의도였을까. 이 특집 다큐멘터리는 PD가 누나의 말기 암 소식을 접한 뒤 절망적인 상황에서 죽음을 생각하면서 시작됐다. PD는 우리나라 최초의 호스피스 병동인 갈바리 의원을 찾아 그 곳의 수녀님들에게 죽음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늘 죽음 옆에서 임종자를 돌보는 그들이라면 어떤 해답을 줄 것 같았기 때문이다.
갈바리 의원에는 마지막 임종을 맞는 이들이 많았다. 그들은 곧 다가올 마지막을 알면서도 밝게 웃었고 자신을 걱정하기보다는 남은 가족들을 더 걱정했다. 보내는 이들은 그 망자가 자신에게 얼마나 소중한 존재였는가를 새삼 확인했다. 그들은 유일하게 자신을 걱정해준 사람이었고, 이 짧은 여행을 함께 해온 사랑하는 사람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를 태어나게 해준 사람이었으며 자신의 발을 재게도 놀려 일하고 또 일을 해 우리를 먹고 살게 해준 분이었다.
“육남매를 낳아 농사지으며 두부 만들고 콩나물 키워 팔고 오징어, 명태, 배 따서 품삯으로 받아온 곡물과 어물로 저희 배를 채워주시느라...” 망자 앞에서 자식은 말문을 이어가지 못했다. 그 은혜를 어떻게 다 갚을 것인가. 자식들에게 떠난 부모는 천사였다. 고생만 하다 가신 천사. 그래서 “고맙고 사랑한다”는 말밖에는 해줄 수 없었다.
갈바리 의원에서 마지막 순간까지 임종자를 편안하게 인도해주신 에디냐 수녀는 죽음을 묻는 PD에게 이렇게 말했다. “죽음을 부정한다고 해서 죽음이 안오는 거 아니거든요. 물질이나 명예나 이런 걸 좇기보다는 본인이 살고 싶은, 진정 내가 무엇을 원하고 어떻게 살고 싶은지 그것을 좀 더 깊이 생각한다면 좀 더 보람 있는 삶을 살고 나중에 돌아가실 때 후회가 적은 삶이 되지 않을까...”
또 스텔라 수녀는 말했다. “삶은 개떡같이 살다가 잘 죽을 수는 없거든요. 왜냐하면 삶하고 죽음은 같이 붙어 있어서 그래서 삶을 잘 살아야 죽음도 잘 사는 것 같아요.” 늘 옆에서 사멸해가는 생명의 불씨를 봐온 박희원 갈바리 의원 진료원장은 죽음이 “삶을 비추는 거울”이라고 했다. “죽음 앞에 한번 서 보면 내 삶이 어떻구나가 보이잖아요. 그래서 죽음에 비춰봤을 때 내 인생에 이게 중요하겠구나, 중요하지 않겠구나. 내가 이 일을 하는 게 좋겠구나, 안 하는 게 좋겠구나. 이건 나중에 후회 하겠구나, 이런 것들을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는 거울이라는 생각이 들고요. 그래서 살면서 종종 죽음이라는 거울에 비춰보는 게 필요하지 않은가...”
로사 수녀는 죽음 앞에 겸허해지는 삶을 이야기했다. “결국 우리가 아무것도 지니고 갈 수 없다는 진실을 우리는 외면하고 많이 살았던 것 같고 하나하나 버리는 습관, 자세로 살아갈 때 즐거운 마음, 가벼운 마음으로 자유롭게 누리면서 우리의 인생도 이제는 내 마지막 목적지에 도달했구나 라고 겸허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그런 자세로...”
정말 마지막을 보내는 분들은 의외로 담담하고 평안해 보였다. 그들은 그 끝에서 우리네 삶에 진정 소중한 것들이 무엇이라는 걸 알고 있었다. 그리고 심지어 그 끝이 있어 삶이 아름다울 수 있다는 걸 긍정하고 있었다. 결국 절망 속에서 PD는 죽음에 대해 물었지만 그 답은 ‘삶의 길’로 돌아왔다.
<KBS 스페셜> ‘앎’은 왜 죽음의 의미를 물었고 그것을 ‘알고자’ 했을까. 특히 이 다큐멘터리가 지금의 대중들의 마음을 파고든 건 무슨 이유에서였을까. 그것은 죽음을 알아야 진정한 삶을 알 수 있다는 취지에서였을 것이다. 어쩌면 우리의 힘겨움과 답답함과 또 도저히 이해될 수 없는 삶을 살아가는 누군가에 의해 치유될 수 없는 상처를 받는 이 많은 일들이 결국 이 질문 자체를 던져보지 못한 삶의 부박함에서 비롯되는 것일 지도 모른다.
'옛글들 > 네모난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룸' 효과, 펄펄 나는 JTBC 프로그램들 (0) 2017.01.04 '뉴스룸'과 '그알', 진정한 국민의 눈이 되어준 (0) 2016.12.31 JTBC '뉴스룸'이 만든 변화, SBS 변하는데 MBC는? (0) 2016.12.17 올해의 대중문화, 일제히 '기억하라' 외친 까닭 (0) 2016.12.12 JTBC는 더이상 종편이 아니다 그저 JTBC일 뿐 (0) 2016.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