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역적'이 묻는다, 누가 이 시대의 진짜 역적인가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역적'이 묻는다, 누가 이 시대의 진짜 역적인가

D.H.Jung 2017. 2. 1. 10:08
728x90

‘역적’, 왜 하필 이 시점에 홍길동인가

“나는 그저 내 아버지 아들이오. 씨종 아모개(김상중). 조선에서 가장 낮은 자.” MBC 새 월화드라마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은 광활한 평원에서 말을 타고 대치하고 있는 임금(김지석)과 길동(윤균상)의 장면을 전제로 깔아놓는다. 절박한 얼굴의 임금과 여유로운 표정의 씨종의 아들 길동. 이 장면은 <역적>이 그리려는 전체 이야기를 압축한다. 결국 임금과 역적이 똑같은 눈높이로 마주 서게 되고 도대체 누가 시대의 역적인가를 되묻는 것. 

'역적(사진출처:MBC)'

사실 우리가 <역적>이 그리려는 세계를 모르는 바는 아닐 것이다. 그것은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라는 거의 유행어가 되어버린 문장으로 기억되는 홍길동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역적>은 이 뻔할 수 있는 홍길동 이야기에 몇 가지 새로운 설정들을 집어넣는다. 그 하나는 길동이 양반의 서자가 아니라 씨종 아모개의 아들이라는 순수 노비 혈통(?)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그 길동이 아깃적부터 남다른 힘을 가진 ‘애기 장수’라는 설정이다. 

홍길동의 이야기가 서자 출신으로서 출사가 금지된 시대의 ‘적서차별’을 그 밑바닥 정서로 깔고 있다면, <역적>은 아예 양반의 핏줄과는 상관없이 온전히 태어날 때부터 종살이가 결정된 삶, 즉 ‘씨종’의 아들이 부여하는 ‘흙수저’의 정서를 깔고 있다. 하지만 남다른 힘을 가진 ‘애기 장수’ 길동은 이 ‘흙수저’가 갖게 되는 평탄치 않은 삶을 예고한다. 만일 금수저로 태어난 애기 장수라면 나라를 구할 영웅이 될 수도 있겠지만, 흙수저 애기 장수란 나라를 뒤흔들 ‘역적’의 씨앗으로 치부되기 때문이다. 

홍길동 이야기가 탄생하던 시기에 힘이란 그런 것이다. 가질 자에게 부여되어야 비로소 힘이 되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 자에게는 절대로 부여되어서는 안 되는 어떤 것. 그래서 가진 자가 절대 갖지 말아야할 자들을 마음껏 부리는데 사용되는 것. 그것이 힘이고 권력이었다. 하지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그렇게 부여된 힘과 권력이 백성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저들끼리 살기 위한 것이었다는 걸 확인하게 되면서 생겨난 민초의식. 그 발현이 홍길동 같은 체제 전복의 서사를 탄생시켰다는 것. 

그런데 그런 이야기가 하필 2016년 현재 다시 재해석되고 있다는 건 그 시국에 대한 공감이 홍길동 시대나 지금이나 별반 다를 바 없다는 공감 때문이다. 국민이 부여한 권력이지만 국민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사익을 위해 치부되었다는 걸 확인한 촛불들이 횃불이 되어 광화문 광장에 모이는 시국이 아닌가. 진정한 힘이 무엇이고 진정한 주인이 누구인지를 묻는 그 촛불의 질문처럼 <역적> 역시 묻고 있다. 진짜 역적은 과연 누구인가. 

이것은 아마도 우리네 민초들이 오랜 세월을 거쳐 어려운 시기마다 소환해와 위로받고 새로운 희망을 갖게 해주었던 영웅서사의 또 다른 시작일 게다. 그래서 <역적>은 그 소재를 소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우리의 시선을 잡아끄는 힘이 있다. 여기에 “그런데 말입니다” 하며 무언가 잘못된 것들에 대해 질문을 던질 것만 같은 김상중이 첫 회부터 깔아놓은 씨종 태생이 갖게 되는 그 아픈 민초들의 정서는 드라마를 보는 시청자들이 느끼는 현실과의 공감대를 만들어내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한껏 자신의 힘을 누르며 잘못된 현실 앞에 그저 고개를 숙이고 살아가는 아모개나 그의 아들 길동이 어느 순간 각성하고 그 힘을 민초들을 위해 쓰게 될 순간을 벌써부터 기대하게 된다. 고구마 현실에 길동이라는 애기 장수이자 ‘백성을 훔친 역적’은 그래서 현재의 시청자들의 마음 또한 벌써부터 훔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 억눌려진 힘이 사이다처럼 터져 나올 그 순간을 기대하게 만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