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하는대로' 안희정의 헬조선 진단 가슴에 와 닿은 이유옛글들/명랑TV 2017. 2. 11. 09:58728x90
안희정의 ‘말하는대로’, 공약보다 소신과 철학 왜 중요할까
“우리는 국토로 치면 10%. 그 좁은 문을 향해 모두 스펙을 쌓기 위해 등허리가 휘고 있는 것 아닙니까? 이 인 서울(in Seoul)이라는 천정부지의 높은 임대료와 그 아파트의 성냥갑 속에서 우리는 치열한 스펙경쟁에 하루하루를 우리 인생을 소모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헬조선이지요. 지난 20세기까지 중앙집권화된 그 국가권력을 모아서 그 권력을 향해서 모든 사람이 충성을 하라고 그랬고 모든 개성을 잠재우라고 했습니다. ‘닥치고 따라와.’ 그러나 21세기 우리의 행복은 이 집중화된 중앙집권화된 체제에서는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우리는 우리답게 새로운 인생을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우리 새로운 인생 한 번 안 살아볼랍니까?”
'말하는대로(사진출처:JTBC)'
JTBC <말하는대로>에서 안희정 도지사의 목소리는 거침이 없었다. 우리 사회가 왜 헬조선이 됐는가에 대한 그의 생각은 명쾌했다. 그는 그 원인을 ‘중앙집권화된 체제’로 명명했다. 전체의 10%밖에 되지 않는 서울에 전체 50%의 인구가 몰려들어 살아남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는 사회. 그 곳에 가야만 더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있다는 그 암묵적인 강박이 하루하루를 스펙경쟁에 내몰고 그것으로 우리네 인생 대부분을 소모하게 만드는 사회. 그것이 그가 본 헬조선의 실체였다.
안희정은 그러나 그것이 20세기의 삶의 방식이었지 21세기 우리의 삶은 달라야 한다고 강변한다. 사실상 압축 성장이라는 목표를 향해 개인적 삶의 행복 따위는 접어든 채 달려오게 했던 건 강력한 중앙집권 체재를 통해서였다. 우리에게는 군사독재라고도 불리는 그 체재 속에서는 질문 따위가 용납되지 않았다. 안희정이 그 중앙집권화된 권력의 목소리를 “닥치고 따라와”라고 명명한 건 그래서다.
그리고 그 군사독재는 끝났지만 그 잔재의 그림자가 여전히 드리워진 것이 이번 국정농단 사태를 통해 드러난 것이 아닐까. 대기업과의 정경유착과 공적 권력의 사적 착복 같은 군사독재 시절의 통치방식과 하나도 달라지지 않은 정부의 실체가 드러남으로써 달라졌다 착각해온 그 환상을 여지없이 깨고 있는 게 현재의 상황이 아닌가.
<말하는대로>에서 안희정은 이 여전한 중앙집권화된 체제의 문제를 메르스 사태를 거론하며 확인시켜 주었다. 지방에서 생겨난 메르스 의심 환자들의 검사를 반드시 서울에서 확인해야 하는 그 비효율적인 시스템이 국가 위기 상황을 더 위기로 몰아넣는 원인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현재 AI에 이어 구제역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국가적 사태에 속수무책인 통제 불능의 정부를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말하는대로>에서 안희정이 던진 “새로운 인생 한 번 안 살아볼랍니까?”하는 그 질문이 더 가슴에 와 닿은 건 그래서다. 물론 중앙집권화된 권력의 예를 인 서울(in Seoul)을 예로 들어 말했지만, 사실 이건 지역분권의 문제를 넘어서 ‘다양성’을 추구하는 사회에 대한 비전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한 가지만이 옳고 그래서 그렇게 권력화된 한 가지에 모두가 몰두하는 몰개성한 사회가 아닌 저마다 자신이 원하는 것들을 소신 있게 해나갈 수 있는 다원화된 사회. 실로 안희정이 ‘말하는 대로’의 사회가 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안희정은 공약보다 중요한 게 소신과 철학이라고 했다. 공약은 언제든지 속임수를 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선거 때마다 공약을 보고 뽑게 되면 돌아오는 건 배신감일 수 있다는 것. 그래서 대신 중요한 건 소신과 철학이 보여주는 그 후보의 ‘방향성’이라는 것이다. 철학은커녕 생각 자체가 없어 보이는 권력자들의 민낯을 목도하고 있는 현재, 그리고 조기에 치러질 가능성이 높은 대선을 앞두고 있는 현재 곱씹어봐야 할 말이 아닐까.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도' 공백기에 여실히 드러난 주말예능들의 무도전 (2) 2017.02.13 '신혼일기' 구혜선·안재현, 그래 나도 저런 때가 있었지 (0) 2017.02.12 '개콘', 박소영 인턴 같은 참신한 풍자가 절실하다 (0) 2017.02.07 사십춘기', 권상우에 대한 선입견이 사라진 까닭 (0) 2017.02.06 '신혼일기' 구혜선·안재현에게 중년들도 마음 설렌 이유 (1) 2017.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