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재심'을 보면 '그것이 알고 싶다'의 위대함이 느껴진다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재심'을 보면 '그것이 알고 싶다'의 위대함이 느껴진다

D.H.Jung 2017. 2. 24. 08:48
728x90

‘재심’, 진실에 대한 갈망은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SBS <그것이 알고 싶다>는 2013년 6월 그리고 2015년 7월 이렇게 2회에 걸쳐 이른바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을 다뤘다. 그 사건은 이미 2000년에 벌어진 사건으로, 당시 살인죄로 검거된 15세 소년은 재판에서 법정최고형인 징역 15년을 구형받았고 결국 10년을 감옥에서 살다 나왔다. <그것이 알고 싶다>가 이미 다 지나가버린 사건을 다시 들고 온 건 한 소년의 청춘을 송두리째 날려버린 그 사건의 숨겨진 진실을 찾기 위함이었다. 형사들의 강압수사로 모텔에 끌려가 몇 시간 동안 죽도록 맞고는 어쩔 수 없이 쓴 자술서 한 장이 만든 엄청난 비극. 

사진출처:영화<재심>

영화 <재심>은 바로 이 <그것이 알고 싶다>가 다시 끄집어낸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을 다시금 영화로 끄집어낸 작품이다. 그래서 이미 <그것이 알고 싶다>를 통해 많이 알려진 사건이라는 점은 영화로서는 약점이 될 수도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재심>은 이 실화에 다양한 영화적 장치를 덧붙여 극화함으로써 사건을 이미 알고 있는 관객들도 충분히 빠져들 수 있게 만들었다. 

<재심>이 영화를 통해 담고자 하는 건 저 <그것이 알고 싶다>가 처음 이 지나간 사건을 다시금 꺼내온 의도와 같다. 그것은 2000년에도 그리고 <그것이 알고 싶다>가 방영됐던 2013년, 2015년에도 또 지금 현재 2017년에도 여전히 같은 질문이 가능하다는 걸 말해준다. 극중 변호사인 이준영(정우)과 피해자인 조현우(강하늘)가 던지는 질문, “과연 법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가 그것이다. 

<재심>이라는 제목에 담겨져 있지만 이 영화에서 핵심적인 키워드는 ‘다시 들여다본다’는 점이다. 이미 구형도 끝나고 감옥에서 수감생활도 마쳤지만 애써 그 고통스런 세월을 다시 들여다보는 이유는 여전히 진실이 묻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진실을 묻어둔 이들은 그 대가로 얻은 권력을 여전히 쥐고 살아간다. 다시 들여다보려는 이들로부터 그 진실을 다시 숨기려 권력을 이용하면서. 

이 영화가 흥미로운 건 이렇게 진실을 외면하고 살아가던 이준영과 조현우 모두 그 진실을 다시 들여다보려는 노력을 하는 과정을 통해 비로소 진정한 삶을 찾게 된다는 점이다. 변호사가 하는 일이 일종의 서비스로 의뢰인의 진실이 중요한 게 아니라 의뢰인이 낸 돈만큼의 서비스를 해야 한다는 주장을 해왔던 이준영. 그리고 진실을 묻어두고 심지어 자신이 범인이라고 거짓 자백을 한 후 자기 파괴적인 삶을 살아온 조현우. 그들은 그 묻어준 진실을 다시 꺼내려 노력하기 시작하면서 구원을 받는다. 웃음이란 걸 잃고 살아가던 그들이 진실 앞에 연대하고 비로소 웃음을 찾게 되는 과정은 그래서 사건을 기억하는 관객이라도 깊은 울림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재심>을 보다보면 새삼 <그것이 알고 싶다> 같은 프로그램의 위대함을 느끼게 된다. 당시 약촌오거리 살인사건을 추적하던 담당PD는 강압수사를 했던 담당형사를 찾아가 끊임없이 질문을 던진다. 그 때까지도 버젓이 형사 일을 하고 있는 그는 인터뷰를 함부로 할 수 없다며 정식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말한다. 거기에 대해 PD는 질문을 던진다. “지금 경위님께서 정식절차를 말씀하십니까? 최영진(가명)을 정식절차에 의해서 수사하셨습니까?” 아무 답변도 하지 못하는 담당형사가 버럭 화를 내자 PD는 계속해서 묻는다. “모텔에는 왜 데려가셨습니까?” “왜 구타하셨습니까?” 

어쩌면 세상을 바꾸는 건 이런 의혹들에 대한 계속된 질문이 아닐까. <그것이 알고 싶다>가 던진 질문이 한 억울한 소년의 삶과 잘못된 법 정의를 바꾸어 놓았듯이, <재심>은 그 이야기를 다시금 가져와 지금도 어딘가에 묻혀지는 진실로 인해 고통 받는 현실이 바꿔지기를 꿈꾸고 있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감동적인 영화가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