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해빙', 조진웅은 어쩌다 미칠 지경이 되어버렸을까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해빙', 조진웅은 어쩌다 미칠 지경이 되어버렸을까

D.H.Jung 2017. 3. 13. 09:55
728x90

‘해빙’, 얼었던 것이 녹으면 진실은 과연 드러날까

(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실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봄이 생각보다 일찍 오면서 예년보다 한강물이 일찍 해빙되었다는 소식이 깔리며 카메라는 이전에는 어떤 집들이 있었을 지도 모를 공지에 아파트가 건설되고 있는 장면을 보여준다. 그리고 길을 따라 가다가 어느 한강변에서 불쑥 솟아오른 시체를 보여준다. 얼굴과 팔다리가 잘려져 몸통만 둥둥 떠오른 시체는 그것이 본래 사람의 육신이었는지가 애매할 정도로 하나의 덩어리처럼 보인다. 영화 <해빙>의 오프닝은 얼었던 것이 녹아 시체가 떠오른다는 그 사건이 던져주는 이미지와 그 의미들로부터 시작한다. 

사진출처:영화<해빙>

승훈(조진웅)은 이혼 후 미제사건으로 유명한 경기도의 신도시에 있는 선배의 병원에서 일하며 살아간다. 그런데 그가 지내고 있는 건물의 집주인인 정육점을 운영하는 성근(김대명)이 의심스럽다. 성근의 아버지인 정노인(신구)이 자신에게 내시경을 받으며 가수면 상태에서 내뱉은 토막살인을 의심케 하는 이야기가 그 의심을 촉발시킨다. 그는 필리핀에서 왔다가 집을 나가버렸다는 성근의 전 부인이 과연 가출한 것인지 아니면 그들에 의해 도륙당한 것인지를 의심한다. 승훈은 정육점에서 머리카락처럼 보이는 것이 비죽 뛰어나와 있는 비닐에 쌓여진 어떤 물건을 본 후 그것이 머리라고 생각한다. 그는 목 잘린 여인을 정노인과 성근 부자가 토막내는 악몽에 시달린다. 

<해빙>은 이 낯선 곳으로 이주해와 살아가고 있는 승훈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래서 영화의 중반 이후까지 관객들은 승훈의 관점에서 이 살벌한 살육이 벌어지고 있는 신도시, 정육점의 사건들이 공포영화 같은 긴장감을 만들어낸다. 여기에 히스테리를 갖고 있는 이혼한 승훈의 전 부인과 아들이 끼어들면서 긴장감은 한층 더 커지고, 병원에서 일하는 간호사 미연(이청아)이 프로포폴을 빼돌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사건은 더 복잡해진다. 게다가 승훈에게 자꾸만 나타나는 전직형사 조경환(송영창)은 자신이 과거부터 이 마을에서 벌어진 미제사건을 지금껏 추적하고 있다고 말한다. 승훈의 시점에서 관객들에게 사건은 명백해 보인다. 분명 성근과 정노인이 연쇄살인을 벌인 범인들이라는 것. 

하지만 영화는 이렇게 승훈의 시점으로 나가다가 그가 경찰서 취조실로 들어가는 순간부터 시점을 바꿔놓는다. 즉 승훈이라는 사람을 다시금 바라보는 형사의 시점으로 바뀌는 것. 그런데 이 형사의 시점으로 보면 승훈은 일종의 정시착란을 겪고 있는 정신질환자다. 조경환이 사실은 형사가 아니고 자신이 탐독했던 추리소설 작가의 이름이며, 실제로는 자신의 선배이자 정신질환 담당의였던 남인수였던 것. 결국 그 많은 공포스런 사건들은 사실상 승훈의 망상이었던 것으로 드러난다. 그는 자신이 사실 아내를 죽였고 미연마저 죽이려 했었다는 증언들이 모두 거짓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렇게 주장하면서도 혹시 자신이 망상 속에서 그랬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빠진다. 

영화 <해빙>은 한 가지 일관된 시점을 유지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관객들에게는 당혹감과 불편함을 줄 수밖에 없다. 믿었던 것이 깨지는 그 순간은 극중 주인공인 승훈이 겪는 “아닐 거야”라는 그 부정을 똑같이 관객들도 공유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시점은 맨 마지막에 가면 또 다시 뒤집어진다. 결국 이 모든 것이 승훈의 망상일 뿐이었다고 사건은 일단락되는 듯 보이지만, 차량용 블랙박스에 찍혀진 영상으로 승훈의 아내를 살해하는 정노인이 포착되고 그것이 익숙한 듯 그 노인에게 항변하다 결국 시체와 블랙박스를 치워버리는 성근의 모습이 포착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진실은 무엇인가. <해빙>이 주는 당혹감은 그 진실을 그 누구도 알아차리지 못한다는 점이다. 누가 진짜 살인자이고 누가 진짜 피해자인지 알 수 없고 심지어 자신이 한 일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승훈마저 어쩌면 내가 저지른 일인지도 모른다는 의심과 죄의식을 갖고 있다. 그런데 이 영화는 왜 이렇게 시점의 변화를 통해 모호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일까. 

그 단서는 시작에 담겨져 있고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에 오히려 숨겨져 있다. 왜 굳이 ‘해빙’이라는 모티브를 가져왔고 ‘덮여진 진실’이 드러난다며 사실은 드러난 것이 없고 오히려 더 모호해지는 상황을 보여줬을까. 영화가 맨 처음 보여준 지금은 말끔하게 밀어내져 버린 공지는 어쩌면 누군가의 삶의 터전이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멀쩡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 그 곳에서 살아가는 이들은 그 곳이 그런 곳이었다는 사실을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은 직접적인 가해자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밀려난 사람들의 입장에서 보면 가해자가 아니라고 말하기도 어렵다. 

여러 차례 밀어내지고 덮이고 다시 세우고 하는 것들을 반복하다보면 무엇이 어디서부터 어떻게 잘못된 것인지를 찾아내기 어려워지는 지점에 이르고 만다. 그것이 강물이 녹아 시체가 떠오른다고 해도 그 아무런 단서가 남아있지 않아 진범이 누구인지를 찾아내기 어려운 상황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 그런데 분명한 건 시체가 있다는 사실이고, 공지가 밀어낸 자리에 아파트들이 세워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최악의 국정농단 사태 속에서 그 사태를 만든 이들이 아마도 이런 상태가 아닐까. “도대체 내가 무슨 잘못을 했는데...” 라고 그들은 생각할 지도 모른다. 수없이 여러 사람들이 개입하고 그들의 행위들이 중첩되고 겹쳐지면서 그것이 자신이 저지른 일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고, 어쩌면 자신이 저질렀지만 그것을 까무룩 스스로 지워버리는 망상 속으로 숨어들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태는 그들 가해자들에게만 생기는 증상이 아니다. 그건 피해자들 역시 나도 모르게 공모한 건 아닌가 하는 죄의식을 만들어낸다. 

<해빙>은 그래서 마치 얼음이 녹으면 진실이 드러날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풀어지면서 더 복잡해지는 사건의 양상들을 여러 시점의 교차와 변화를 통해 보여준다. 영화는 당연히 불편할 수밖에 없다. 해결된 것이 하나도 없고 오히려 더 복잡해지니 말이다. 하지만 이 복잡하고 불편한 이야기가 우리네 현실에 건드리고 있는 지점은 예사롭지 않다. 모든 게 명쾌해 보이지만 사실은 하나도 명쾌한 것이 없게 되어버린 현실을 <해빙>은 공포에 가까운 시점변화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봄이 온다고 물이 녹는다고 진실이 모두 드러나기에는 우리가 맞닥뜨리고 있는 현실의 문제가 너무나 복잡하게 얽혀있지 않은가. 물론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진실을 밝히는 노력을 멈추면 안되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