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끼줍쇼’, 훈훈한 밥 한 끼가 주는 온기의 놀라운 힘
어둑해져가는 골목길. 집집마다 불이 켜지고 저마다의 밥 냄새가 그 길로 스며든다. 어린 시절 골목에서 놀던 아이들은 그 밥 냄새와 함께 들려오는 어머니의 부르는 소리에 아쉬운 놀이를 파장내고 집으로 달려가기도 했었다. 하루의 고단함을 어깨 가득 짊어진 채 집으로 돌아가는 직장인들이나 학생들 역시 그 밥 냄새가 주는 알 수 없는 푸근함에 이끌릴 것이다. JTBC 예능 <한끼줍쇼>가 굳이 숟가락 하나씩 들고 다시금 골목을 전전하게 된 까닭이다.
'한끼줍쇼(사진출처:JTBC)'
사실 첫 회가 방영되고 <한끼줍쇼>는 오래 지속되지 못할 거라는 이야기들이 공공연했다. 그도 그럴 것이 요즘 같은 세상에 그 누가 선뜻 낯선 이들, 그것도 카메라를 들고 들어오는 이들을 반갑게 맞아줄 것이며, 나아가 밥 한 끼를 챙겨주는 수고를 감수할 것인가. 그건 자칫 민폐가 되는 일일 수 있었다. 그리고 실제로 이 프로그램이 잘 알려지지 않던 초반부만 해도 <한끼줍쇼>의 제작진과 출연진이 동네를 어슬렁거리는 것이 주민들에게는 영 낯선 느낌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오래 걷다 보면 길이 생긴다고 했다. <한끼줍쇼>는 계속해서 그 길을 걸음으로써 시청자들은 물론이고 일반 대중들에게 그 낯선 느낌을 상쇄시켰고, 무엇보다 그 좋은 취지를 공감하게 했다. 상도동의 골목길을 걸으며 만나는 주민들은 이경규와 강호동이 얼굴만 내밀어도 대충은 그것이 <한끼줍쇼>라는 프로그램이라는 걸 알아챘고, 같이 저녁 한 끼를 먹는다는 콘셉트도 미리 알고 있어 먼저 밥을 먹은 어떤 주민은 너무나 안타까워하며 한 끼를 더 먹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추성훈과 광희 같은 게스트와 함께 하는 콘셉트로 바뀐 <한끼줍쇼>는 과거 초창기에 강호동과 이경규 둘이 덜렁 동네 한 가운데서 고군분투하던 그 그림에 그나마 함께 기댈 동료가 있다는 안정감을 줬고, 매번 비슷한 패턴으로 흐를 위험성을 게스트의 변화를 통해 넘어설 수 있게 해줬다. <슈퍼맨이 돌아왔다>로 국민아빠로 불리는 추성훈이 겨우 한 끼를 함께 할 수 있었던 집에서 낯을 가린다는 아이와 너무나 잘 어우러지는 모습을 보여주거나, 한때 요리 프로그램을 진행했던 광희가 방문한 집에서 살림의 팁을 알려주는 모습은 그래서 <한끼줍쇼>가 단순한 형식이면서도 어째서 늘 다른 느낌을 줄 수 있는가를 잘 보여줬다.
결국 <한끼줍쇼>에 시청자들의 시선이 머무는 가장 큰 이유는 ‘온기’다. 골목길에서, 그것도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길에서 집집을 전전하는 그들을 통해 느껴지는 어떤 한기나 쓸쓸함 같은 것들이 문을 열어준 주민의 집에 들어서는 것만으로도 마치 스르르 녹아 사라지게 만드는 듯한 그 ‘온기’. 그들이 나누는 것은 그저 밥 한 끼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정이다. 그저 통상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로 눈앞에서 벌어지는.
사실 저녁 시간의 집밥이 주는 그 아련한 그리움과 따뜻함, 포만감 같은 것들은 그 날의 반찬이 주는 풍성함 때문은 아닐 게다. 그것보다는 한 데서 하루를 고생하고 돌아오는 이들이 어쩔 수 없이 느낄 수밖에 없는 ‘허기’가 그저 집에서의 한 끼에 대한 따뜻함을 더욱 느끼게 해주는 것이다.
망할 거라던 <한끼줍쇼>가 이렇게 살아난 건 그래서 겉으로 보기엔 꼭꼭 문을 닫고 지내는 것처럼 보여도 사실은 그만큼 이웃과의 온기를 나누고픈 욕망 역시 커지고 있었다는 걸 말해주는 건 아닐까. 강호동과 추성훈에게 문을 열어준 집의 젊은 새댁과 이경규와 광희에게 문을 열어준 집의 아주머니가 강호동과 이경규의 주선으로 서로 통화를 하며 나누는 대화는 그래서 우리를 미소 짓게 한다. “동네목욕탕에서 만나요.” “제가 음료수 한 잔 사줄게요.” 어느새 <한끼줍쇼>의 강호동과 이경규가 걷는 그 길 위에는 주민들도 같이 이야기를 나누며 걸어가고 있었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혼일기’ 구혜선·안재현, 요리만 봐도 그 사랑을 알겠네 (0) | 2017.03.12 |
---|---|
‘해투’ 15년, 어째 옛날이 더 좋게 느껴진다는 건 (0) | 2017.03.11 |
‘집밥 백선생3’, 전 시즌과 뭐가 달라졌나 했더니 (0) | 2017.03.09 |
'차이나는', 왜 유시민 작가의 답변은 귀에 쏙쏙 박힐까 (1) | 2017.03.07 |
'썰전'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유시민·전원책의 공로 (0) | 2017.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