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영화 이어 드라마도..앞다퉈 일제강점기를 다루는 까닭

728x90

‘시카고 타자기’와 ‘도둑놈, 도둑님’이 담는 일제강점기

재작년 영화 <암살>이 일제강점기를 소재로 끄집어낸 이후 이듬해 <밀정>, <덕혜옹주>, <귀향>, <동주> 등이 쏟아져 나왔다. 그리고 이런 흐름은 이제 드라마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tvN 금토드라마 <시카고 타자기>가 그렇고 MBC가 새로 시작한 주말드라마 <도둑놈, 도둑님>이 그렇다. 도대체 일제강점기의 무엇이 영화와 드라마의 소재로서 매력적인 걸까. 

'도둑놈 도둑님(사진출처:MBC)'

그 첫 번째는 그 시대가 가진 아픔이다. 일제강점기라는 특징은 그 안에 일제에 항거하는 독립투사들의 이야기는 물론이고, 일제에 의해 고통 받고 희생됐던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담아낸다. 그 시대의 상처들은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아물지 않았다. 일본은 그 때의 잘못들을 여전히 제대로 사과하지 않고 있고, 그 피해자들은 지금도 거리에 나와 투쟁중이다. 

이렇게 된 데는 친일파 청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음으로 해서 당대의 가해자들의 잘못들이 그저 덮여지고 잊혀지는 과정을 밟았기 때문이다. tvN <시카고 타자기>가 굳이 전생과 후생을 나누고 후생에 태어난 소설가가 일제강점기였던 전생의 기억을 되짚어 그 사건들을 소설로 기록한다는 이야기를 그려내고 있는 건 그래서 대단히 의미심장한 설정으로 다가온다. 우리에게 일제강점기는 마치 전생처럼 아련한 기억이 되고 있다는 것이고, 그것을 다시 끄집어 기록해낸다는 건 그 역사를 잊지 않겠다는 뜻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MBC <도둑놈, 도둑님>은 의열단원이었던 선조를 둔 후손들이 오히려 그 사실 때문에 겪는 지독한 가난과 핍박으로 이야기를 연다. 생계형 도둑이 된 독립운동가들의 후손이라는 아이러니. 그래서 제목이 <도둑놈, 도둑님>이다. 진짜 도둑은 따로 있다는 것. 일제강점기의 적폐들이 제대로 청산되지 않아 생긴 현재에 대한 문제의식을 이 드라마는 바탕에 깔고 있다. 결국 <시카고 타자기>도 <도둑놈, 도둑님>도 현재 당면하고 있는 우리의 문제들의 근원으로서 일제강점기를 연원으로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제강점기가 이처럼 영화에 이어 드라마의 매력적인 소재가 되고 있는 건 단지 이러한 의미적 차원만은 아니다. 두 번째 이유는 이 시대가 가진 드라마틱한 삶의 풍경들과 중국과 일본 그리고 서구의 문화들이 뒤섞인 혼종적 성격이 주는 매력이다. 사실 일제강점기라는 시기는 일제와의 대결구도로만 주로 다뤄지면서 실제적 삶의 풍경들이 제대로 조명되지 않은 면이 많다. 

<시카고 타자기>에 등장하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극장식 카페 ‘카르페 디 엠’이라는 공간을 보면 그 혼종적 성격이 가진 매력이 드러난다. 그 공간은 마치 과거 마피아들이 운영했던 클럽을 연상시키기도 하고, 상하이의 클럽이 떠오르기도 한다. 기관총을 누군가 들고 들어와 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것 같은 공간. 게다가 노래 부르는 가수의 모습은 우리 노래를 하고는 있지만 이국적인 느낌마저 준다. 콘텐츠 제작자라면 이런 다양한 문화들이 뒤섞여 있고 또 거기에 드라마틱한 삶이 보여지는 공간을 소재로 한다는 것에 매력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런 느낌이 만들어지는 건 당시 외세에 의해 이뤄진 것이지만 문호가 열리며 생겨난 독특한 분위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제강점기를 그저 일제에 항거했던 기록으로만 기억하거나 나아가 아예 없었던 시간처럼 방치해 두었던 욕망들은 이 시기에 대한 다른 접근을 허용하지 않은 면이 있다. 

물론 이런 소재적 매력보다 더 큰 건 앞서 거론했던 ‘과거의 청산’문제일 것이다. <도둑놈, 도둑님> 같은 드라마는 그래서 청산되지 않은 과거가 어떤 비뚤어진 현재를 만드는가를 보여준다는 데 의미가 있다. 그것은 또한 현재 우리가 당면한 청산해야할 문제들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을 경우 후세들이 겪을 문제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흔히들 “과거의 총합이 현재”라고 말하는 것처럼, 현재의 총합은 또한 미래가 된다. 일제강점기의 문제가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로 다가오는 건 그래서다.